• Title/Summary/Keyword: Price Flexibility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1초

수산자원의 가격형성모형의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oice of Price Formation Models for Fishery Resources)

  • 박환재
    • 수산경영론집
    • /
    • 제44권1호
    • /
    • pp.59-7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grate various models of price formation and let the data choose the most proper model. After the data choose the proper model, one can analyze the price formation process and demand structures for fishery resources under the restriction of Korean fisheries regulations. This study suggests the integrated model including quasi-linear price formation model, Translog price formation model, AIDS price formation model and Lewbel price formation model as level variables. It also suggests another integrated model including AIDS price formation model, Rotterdam price formation model, Latinen-Theil price formation model and Neves price formation model as difference variable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AIDS price formation model is the most preferred in both level and difference variables of fishery resources. The estimated parameters show that all sample species have (-) sign of price flexibilities, thus following the law of demand. The scale flexibilities of all species are estimated as (-) sign, thus being adapted to the theory. The contribution an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model of fishery market demand has been developed and the data can choose the proper model without arbitrary choice of the researcher. Second, the fishery market demand structure could be analyzed in a way different from the ordinary demand analysis, which is based upon price flexibility and scale flexibility. Third, the integrated model for fishery resources can be used easily when catching restrictions are imposed by policies.

어류의 가격형성과 수요구조분석 (Model for Price Formation of Fish and Its Demand Structure)

  • 박환재
    • 수산경영론집
    • /
    • 제40권1호
    • /
    • pp.133-15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odel price formation and analyze demand structures for fishes under the restriction of Korean fisheries regulations. This study suggests the model that the price of fish is formed by its quantity, expenditure, and habit persistence. In economic literature, such a fishery market demand is called the inverse demand with dynamic habit persistence. Based upon a static differential price formation model, the paper has generalized it dynamically incorporating habit persistence effect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ll the species have values less than one and (-) sign of price flexibilities, thus being price inflexible. The estimated habit adjustment coefficients are significant at the level of 1%. Especially, TAC species have the smaller values of them than those of other main fish species. The contribution an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shery market demand has a strong dynamic effects from habit persistence. Second, the fishery market demand structure could be analyzed in a way different from the ordinary demand analysis, which is based upon price flexibility, scale flexibility, and cross adjustment flexibility. Third,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hat it ignores the increasing stock effects by catching restrictions, thus raising consumers' benefit in the future.

  • PDF

한국의류제품 수출의 유연성(flexibilit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exibility in Exporting Korean Apparel Products)

  • 김용주
    • 복식
    • /
    • 제34권
    • /
    • pp.37-56
    • /
    • 1997
  • The Korean Apparel industry has played an significant role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which is mainaly due to the apparel exports to the world market. However the Koran apparel industry has confronted drastic changes in domestic and also in international market for the last several years. Korean apparel products have lost price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market because domestic labor costs have increased so fast and al-so newcomers such as China or other Asian countries have emerged as compet-itive producers. Furthermore domestic market has been saturated with the Korean apparel manufacturers and also with the foreign retailers. Therefore the Korean apparel industry should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regain competitivenes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for non-price competitiveness of Korean apparel industry and propose the way to regain competitiveness form the buyers' point of view. The present study utilize the survey data for the internet database which is established by the Cotton Incorpor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apparel industry is not competitive in terms of non-price factors such as minimum orders terms of payment preproduction stage use of new technolo-gy and lead times. These factor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ice of product which is suggested to the buyers. However these are flexibility factors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decision making process of buyers because they can reduce risks in uncertain business environment. Therefore the Korean apparel industry should establish global marketing strate-gies which can enhance non-price competitiveness as well as price competitiveness.

  • PDF

오렌지 수입이 국내산 과일 및 과채 가격에 미친 영향 (An Effect of Orange Import on Domestic Fruits and Vegetables Price in Korea)

  • 조재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03-713
    • /
    • 2015
  • A Linear Approximated Inverse Almost Ideal Demand System, suggested by Eales and Unnevehr, is estimated with monthly data set of Korean fruits consumption. LA/IAIDS consists of 6 demand equations which correspond to domestically produced Hanrabong, overwintering mandarin, strawberry, melon and tomato with imported orange. The results indicate that price and scale flexibilities are negative, as expected. And the significance is that a 10% increase in imported orange quantity is associated with 5.5% declines in the price of Korean Hanrabong while the price of other fruits is minimally affected. In addition, the estimate of scale flexibility of Hanrabong (-2.96) is much smaller than any other fruit. Hanrabong farmer might be in the face of deficit operation as a consequence of the substitution effect if orange would be imported in accordance with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현행 건설공사 물가변동 제도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계약금액조정 개선방안 (An Improvement Plan of Contract Price Adjustment through the Problem Analysis of the Current Price Escalation Regulation in Construction Projects)

  • 박양호;권범준;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35-439
    • /
    • 2006
  • 본 연구는 건설공사 불가변동으로 인한 계약금액조정을 함에 있어 산출과정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물가변동 조정 후 설계변경이 수반될 때 물가상승액이 변경되면서 일어나는 비합리적인 정산방식과 법적인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계약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건설공사사례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로 물가변동제도의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계약금액조정에 판한 개선방안 및 산식을 제안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약금액조정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합계단가로 비목군편성, 물가변동 조정 후 설계변경 수반시 증가된 물량 또는 신규품목에 대하여 설계변경당시 시점으로 물가변동 산출 등을 제시하였다. 2) 물가변동으로 인한 계약금액조정 후 설계변경이 수반될 경우 발생하는 기존물량 삭제 또는 물가변동제외금액 이하로 수량이 변경되는 경우와 수량 변경이 없는 경우에 대한 물가상승액 정산산식을 제안하였다.

  • PDF

노지감귤의 출하구조 분석 (An Analysis on Shipment Structure of Field Tangerine in Jeju)

  • 고성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14-22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지감귤의 출하구조를 순별, 월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를 위해 노지감귤의 가격신축성함수를 추정, 분석함으로써 어떻게 출하조절을 하는 것이 노지감귤농가의 소득을 안정시키고, 증대시킬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함축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노지감귤 출하물량 1% 증가에 따른 순별 가격신축성은 시기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10월 하순에서 1월 초순까지의 하락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출하조절의 필요성이 크다. 품질이 떨어지는 해를 나타내는 더미변수인 DUM_Q의 부호는 (-)이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설날 연후 7일 이상이 2월에 들어있는 해를 나타내는 더미변수인 DUM02의 10월 초순부터 1월 하순까지의 부호가 (-)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설날이 1월에 있는 경우보다 2월에 있는 경우가 물량증대에 따른 하락폭이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노지감귤의 출하물량 1% 증대에 따른 월별 가격신축성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10월에서 12월까지의 하락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출하조절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품질이 떨어지는 해를 나타내는 더미변수인 DUM_Q의 부호는 (-)이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설날 연후 7일 이상이 2월에 들어있는 해를 나타내는 더미변수인 DUM02의 10월부터 1월까지의 부호가 (-)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설날이 1월에 있는 경우보다 2월에 있는 경우가 물량증대에 따른 하락폭이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순별 및 월별 가격신축성함수의 더미변수인 DOM_Q와 DUM02의 부호가 음(-)을 보인다는 것은, 품질이 좋은 해보다 품질이 나쁜 경우에, 그리고 설날이 1월에 있는 경우보다 2월에 있는 경우에 출하조절의 필요성이 더 중요함을 의미한다.

A Dynamic Price Formation System and Its Welfare Analysis in Quantity Space: An Application to Korean Fish Markets

  • Park, Hoan-Jae
    • 수산경영론집
    • /
    • 제41권2호
    • /
    • pp.107-133
    • /
    • 2010
  • As policy makers are often concerned about dynamic effects of demand behavior and its welfare analysis by quantity changes, the paper shows how dynamic price formation systems can be built up to analyze the effect of policy options to the markets dynamically. The paper develops dynamic model of price formation for fish from the intertemporal optimization of the consumer choice problem. While the resulting model has a similar form of the error correction types of dynamic price formation system, it provides the rational demand behavior contrary to the myopic behavior of error correction demand models. The paper also develops appropriate tools of dynamic welfare analysis in quantity space using only short-run demand estimates both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as a first attempt in the literature of price formation and fisheries. The empirical results of Korean fish markets show that the dynamic model and the welfare measures are reasonably plausible. The methodology and theory of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and extended to the commodity aggregation, dynamic demand estimation, and dynamic welfare effects of regulation in the similar framework. Thus, it is hoped that this will enhance its applications to the demand-side economics.

한라봉의 출하구조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Shipment Structure of Hallabong Tangor in Korea)

  • 고성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670-67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라봉의 출하구조를 순별, 월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한라봉의 가격신축성함수를 추정, 분석함으로써 어떻게 출하조절을 하는 것이 한라봉 농가의 소득을 안정시키고, 증대시킬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함축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월별 가격신축성함수 추정결과, 출하물량 1% 증대시 가격신축성은 시기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가장 하락폭이 큰 시기는 12월과 1월이므로 이때의 출하조절의 필요성이 다른 시기에 비해 더 많이 요구된다. 품질이 다소 떨어지는 해를 나타내는 더미변수인 dummy는 3월~5월까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들의 평균은 -0.337%로 나타났다. 이는 품질이 좋은 해보다 품질이 나쁜 경우에 품질관리와 출하조절의 필요성이 더 중요함을 정책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한라봉의 월별, 출하물량 1% 증대시 가격신축성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가격신축성은 12월의 것이 -0.46로 가장 높았다가 품질향상과 설날 수요 등 특수 수요증대로 인해 가격하락폭이 다소 적어져, 1월 -0.33%, 2월 -0.261%, 3월 -0.307%, 4월 -0.318%을 보였다. 그 이후 저장물량이 점차 소진되면서 가격신축성은 5월 -0.243%, 6월 -0.236%으로 다소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미변수인 설날연후 7일이상이 2월에 들어있는 해를 나타내는 DUM02는 1월달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2월~6월까지의 부호가 전부 (+)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설날이 1월달에 있는 경우보다 2월에 있는 경우가 물량증대에 따른 가격하락폭이 적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설날이 1월달에 있는 경우에는 출하조절의 필요성이 더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지역별 전화서비스 수요의 추정 - 주택용 전화서비스 수요를 중심으로 - (An Estimation on Demand of Telephone Service in Major Cities of Korea)

  • 최동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374-385
    • /
    • 1998
  • This study is estimates telephone service demand based on empirical studies of telecommunication service demand model. First, the telephone charge(call price index) by each location and subscription fee bring about a negative effect to telephone distribution rate: while the other explanatory variables bring about a positive effect. Second, the flexibility of telephone charge in A location(relevant location) and the flexibility between the distance of A location and B location are negative values, while the flexibility of other explanatory variables is represented in a positive value. This means that the long distance call numbers from A location to B location are in inverse proportion against the phone charge(call price index) of A location and against the distance between A location and the distance of other locations except A location, while they are in direct proportion with an average call number per minute from A location to other locations except A location, and also with subscription numbers of A location, other subscribers in locations other than A location, and the total expenditures of A location.

  • PDF

하우스감귤의 출하구조 분석 (An Analysis on Shipment Structure of House Tangerine in Jeju)

  • 고성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55-56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하우스감귤의 출하구조를 순별, 월별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 하우스감귤의 가격신축성함수를 추정, 분석함으로써 어떻게 출하조절을 하는 것이 하우스감귤농가의 소득을 안정 증대시킬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제주도 하우스감귤의 순별 가격신축성은 시기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6월 상순에서 7월 하순까지의 하락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출하조절의 필요성이 크다. 품질이 떨어지는 해를 나타내는 더미변수인 DUM_Q의 부호는 음(-)이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추석이 10월에 들어있는 해를 나타내는 더미변수인 DUM_SUK의 10월 중순부터 하순까지의 부호가 음(-)을 보이고 있다. 하우스감귤의 출하물량 1% 증대에 따른 월별 가격신축성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6월에서 7월과 9월에서의 하락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출하조절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월별 가격신축성함수의 더미변수인 DUM_Q 및 DUM_SUK의 부호는 음(-)이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순별 및 월별 가격신축성함수의 더미변수인 DOM_Q와 DUM_SUK의 부호가 음(-)을 보인다는 것은, 품질이 좋은 해보다 품질이 나쁜 경우에, 그리고 추석이 9월에 있는 경우보다 10월에 있는 경우에 출하조절의 필요성이 더 중요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