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achers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2초

국제단위제도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이해 (The Preservice Teachers등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 김성규;김윤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27-36
    • /
    • 2004
  •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well university students, who are going to be prim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focusing on seven basic units such as 'm', '㎏', '㏖', 'A', 'K', 's', 'cd'. This study specifically investigates whether the students know the seven units and understand their uses and how they read and learn them. The subjects were 1030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Jinju, Geongsangnamdo.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was designed by this researcher and checked by an authority,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reponses to each question were obtained and analysed. Findings show all the students knew very well that 'm' and '㎏' are included in the seven units, compared to the others which low percentage of the students considered as the elements.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use, the units of the length 'm', the mass '㎏', and the time 's' are well understood, presumably, because they are often used in ordinary life and school, while the amount of substance '㏖', the electric current 'A', the thermodynamic temperature 'K', and the luminous intensity 'cd' are not as well understood. It is probably because 'A', 'cd', and 'K' are hardly used in everyday life. With respect to reading the units, the subjects read 'm', '㎏', '㏖', and's' much better than the others. As for the source of learning them, most students answered they learned them in schools, which implies schoo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school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with use in everyday life for understanding and using the units. SI Base Units understanding was investigated by an academic year. According to this investigation, generally the right answer rate differed 4<2<3<1 by an academic year in order. For the Senior, Sophomore appeared the right answer rate more high. because, they learned before in deepening or elementary course on chemistry and physics related with SI Base Units. On the other hand, for the junior answered low rate by this reason that they couldn't remember about SI Base Units that learned before. For the Freshman appeared low rate by this reason that they were not learned or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 in high school.

  • PDF

대학에서의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가정과 수업 개발 및 운영 사례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lass utilization of Metaverse Platform in University)

  • 주수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9-15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가정과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하여 예비 가정과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예비 가정과교사를 위한 '가정교재연구 및 지도법' 수업 중 6차시를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으로 설계하여 적용하여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분석단계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연계한 수업 가능성을 탐색하고, 대학에서 적용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수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설계와 개발 단계에서는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가정교재연구 및 지도법 수업의 TBL, 토의수업, 문제해결수업을 운영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수업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실시하여 사전 조사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가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수업에 대해 수업 만족도가 높았고,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과 실제 수업사례의 실재감 부분에서 수업의 효과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가정과 수업이 개발되고 학교현장에서 적용되어 수업의 실재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로 확산되길 기대한다.

교사교육을 위한 딥러닝 인공신경망 교육 사례 연구 (A Training Case Study of Deep 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Teacher Educations)

  • 허경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385-39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 소양교육을 위해, 딥러닝 인공신경망 교육 사례를 연구하였다. 또한, 제안한 교육 사례를 통해, 초중고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 원리교육 콘텐츠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2종 이미지를 인식하는 인공신경망의 동작 원리 교육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인공신경망 확장 응용 교육 사례로, 3종 이미지를 인식하는 인공신경망 교육 사례를 제시하였다. 인공신경망에 인식시키고자 하는 이미지 개수에 따라 출력층의 개수를 변경하여 스프레드시트로 구현한 사례를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인공신경망 동작 결과를 체험하기 위해, 지도학습 방식의 인공신경망에 필요한 학습데이터를 직접 작성해보는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신경망의 구현과 인식 테스트 결과를 스프레드시트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었다.

  • PDF

지구환경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귀추적 추론을 위한 규칙 추리 전략들 (Rule-Inferring Strategies for Abductive Reasoning in the Process of Solving an Earth-Environmental Problem)

  • 오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46-55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환경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에 귀추법이 어떻게 활용되는가를 발견법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현직 지구과학 교사, 사범대학의 예비 과학 교사, 그리고 고등학교 학생 등 서로 다른 배경을 지닌 참여자들이 총 32개 조를 이루어 끝이 열린 형태의 지구환경적 문제를 해결하였고, 그 과정에서 자신들의 추론 과정이 기록된 텍스트를 산출하였다. 이 텍스트에 포함된 추론 과정을 귀추법의 삼단논법적 형식에 따라 정리하고 귀추적 추론에서 사용된 사고 전략들을 반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추론자들이 지구환경적 문제 해결 상황에서 귀추법을 사용하였으며, 그들은 다양한 사고 전략들을 활용하여 귀추적 결론을 낳게 하는 규칙을 추리해 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전략들은 자료의 재구성, 연쇄적 귀추, 특이 정보의 채택, 모델 구성 및 조작, 인과적 결합, 제거, 사례 기반의 유추, 그리고 존재에 관한 전략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사고 능력을 증진시키고 지구과학과 지구환경적 문제 해결 과정의 특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함양하기 위하여 귀추적 추론 과제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Philosophical Views on Science of Major Science Curriculum Documents in USA

  • Jang, Myoung-Duk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01-41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hilosophical views on science of two influential curriculum documents, AAAS' s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Benchmark) and NRC's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Standard), and to get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a desired philosophical view on science at a school science level. In order to determine the philosophical views on science explicitly suggested in the documents, Soh's Philosophical Perspectives Probe (PPP) was use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Forty preservice teachers reviewed the documents, extracting paragraphs with which statements of the PPP' s questions would agre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enchmark's philosophical view on science corresponds to the borderline between inductivism and eclecticism, or eclecticism close to falsificationism. The philosophical positions by the PPP' s themes are very different. Second, the Standard's philosophical position on science corresponds to inductivism close to eclecticism. Its philosophical position by the themes of the PPP is very different like the Benchmark.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ilosophical positions of the documents are more complex than popular conceptions would have it. That is to sa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cience curriculum documents hold not only a contemporary philosophical view on science but also a traditional view on science, and that the philosophical positions on scien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documents and even by the PPP's themes in the same docu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hilosophical views on science in school science contexts need to be adjusted and presented to K-12 students according to topics related to philosophy of science.

함수개념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난 subject-matter knowledge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능력의 발전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Subject-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Function Instruction)

  • 윤석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75-596
    • /
    • 2007
  • 본 논문은 예비교사들이 함수교육과 관련된 subjective-matter knowledge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의미있게 학습하고 발전시키는 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함수의 기본개념과 원칙,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조직되었는지를 이해하는 능력과 의미있는 함수학습이 가능하도록 그들을 표현하고 구성하는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와 협동학습에 기반 한 학습방법을 채택하였다. 사전, 사후테스트와 인터뷰를 통하여 평가한 결과 소그룹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 결과를 전체 구성원과의 토론을 통하여 학습하는 과정에서 보다 깊이 있고 확장된 subject-matter knowledge와 다양한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획득하게 되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 PDF

U.S. and Korean teacher candidates' approaches to mathematical modeling on a social justice issue

  • Eunhye Flavin;Sunghwan Hwa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25-47
    • /
    • 2024
  •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are gaining popularity in K-12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a worldwide. These activities serve dual purposes by aiding students in making sense of real-world situations intertwined with social justice while acquiring mathematical knowledge. Despite efforts to prepare teacher candidates for instructing in mathematical modeling within a single countr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eacher candidates' approaches to mathematical modeling on a social justice issue from different countries. This article employs an in-depth, small-scale comparative study to examine the approaches of U.S. and Korean teacher candidates in solving a justice-oriented mathematics task. Our findings reveal that, although both U.S. and Korean teacher candidates identified certain variables as key when constructing a mathematical model, Korean teacher candidates formulated a more nuanced model than U.S. candidates by considering diverse variables. However, U.S. teacher candidates exhibited a heightened engagement in linking the task to social justice issues, whereas Korean teacher candidates barely perceived real-world problems in relation to social justice concerns. This study serves as a valuable tool to inform the roles and limitation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aped within specific educational contexts.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운영과 임용의 실태 및 과학교육계열 교수들이 제안한 개선 방안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Recruitment of General Science Teachers and Ways to Improve Them as Suggested by Professors from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 양찬호;곽영순;한재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45-358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전국 사범대학의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운영 및 공통과학 교사의 임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과학교육계열 교수들의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및 교사임용의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학과에서는 공통과학 복수 전공이 필수가 아니었고, 학과별로 공통과학 교육과정 이수인원 비율에 큰 차이가 있었다. 심화과학 전공 교사자격증만 취득할 때 다른 전공의 과학 과목의 이수가 필수인 학과는 없었으며, 일부 학과만이 과학사와 융합교육, 과학창의성과 융합교육, 통합과학교육의 실제 등과 같은 통합과학적 성격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었다.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교수들은 공통과학 복수전공 의무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통합과학 관련 과목을 선택과목으로 개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통과학 전공 교사임용과 관련하여 교수들은 공통과학 교사자격증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공통과학 전공의 임용이 따로 필요하지는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화전공 교사자격증만 취득하는 경우에는 다른 전공의 과학 과목을 이수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및 교사임용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Childcare Practice Satisfaction)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30-53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들이 지각한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이 보육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과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및 다면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하여 첫째,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스트레스에서는 보육실습 스트레스 내용과 실습환경이,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은 유아와의 갈등과 자신과의 갈등이, 보육실습 만족도에서는 실습교과 및 실습지도와 실습환경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스트레스,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 보육실습 만족도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의 하위요인이 보육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보육전공 학생들의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을 덜 경험하도록 하는 철저한 실습전 교육 및 현장 직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보육실습 만족도가 향상되도록 효과적인 방안 모색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topic modeling)

  • 신동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1호
    • /
    • pp.63-80
    • /
    • 2020
  •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7종의 KCI 등재지에 게재된 3,114편의 수학교육 논문와 5종의 SSCI 등재지에 게재된 1,636편의 수학교육 논문의 연구 동향을 텍스트 마이닝 기술의 하나인 토픽모델링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는 16개의 유사한 주제와 7개의 상이한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와 관련된 주제는 국내와 해외 수학교육 연구에서 모두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연구주제였다. 현직교사 재교육에 관한 연구주제는 국내 연구에서는 하나의 독립된 주제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해외 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받는 주제로 나타났다. 해외 수학교육 연구에 비해 국내에서는 수학적 역량에 관한 연구의 관심이 높았지만, 이는 문제해결역량과 창의·융합역량에 치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해외 수학교육에서는 정체성과 공정성에 관한 연구가 강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