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convergence education

검색결과 431건 처리시간 0.024초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f the 'Life and Electricity·Electron' Unit in Practical Arts Textbook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 Kim, Myung-Jung;Lee, Tae-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99-205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analysis of electric and electronic's unit in paratical arts an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current practical arts curriculum of Korean elementary school 6th graders, the 'information' related chapter is Chapter 3. However, educational contents mainly consist of mak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pecified manual such as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learning about robots, etc. It is very insufficient to develop the computational thinking required by the software-centered society. Therefore, we are to study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f the 'Life and Electricity Electron' unit in practical arts textbook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과학교육에서 융복합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 탐색 - 과학교사 포커스 그룹 논의를 중심으로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cience Teachers)

  • 이선경;황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974-99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과학교육에서 융복합 교육의 실제적인 의미와 수행 방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교사들의 포커스 그룹 면담법을 이용하였으며, 과학교육의 관점으로부터 교육적 목적과 내용을 통합하는 방식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적인 지식을 도출하였다. 4명의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2차의 포커스 그룹 면담에서는 융복합 교육의 개념, 가능성, 수행, 체계적 지원 등에 대한 내용이 질문되고 논의되었다. 면담의 결과는 질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융복합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다섯 가지 주요 주제로 구분하여 주요 범주로 사용하였다. 이들은 1) 관련 개념과 근거, 2) 내용, 방법 및 평가, 3) 융복합 교육에 적합한 과학교과의 특성, 4) 융복합 교육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인식과 전문성과 5) 이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환경적 조건 등이었다. 이로부터 융복합교육을 수행하고 미래 사회를 위해 과학교육을 재정향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적이고 실제적인 쟁점들을 논의하였다.

창의적 융복합 『미래융합IT인문학』 교과목 개발 및 운영 효과성 검증 (Creative Convergence Course 『Future Confluence IT Humanities』 Development and Operational Effectiveness Verification)

  • 최은선;고전;최근배;김희필;이호수;박남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569-582
    • /
    • 2021
  • Education emphasizes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convergent thinking power in an era of rising uncertainty and rapid progress. This paper proactively designed e-Learning team teaching convergence liberal arts courses for prospective teachers by these social needs. It analyzed the empirical effects on the operation of the subjects to foster future talent who can converge and apply knowledge in various fields. The curriculum consisted of professors of mathematics, practical Arts, computer, and education, and was operated to convey convergent knowled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humanities, and consisted of 15 liberal arts courses at J University. Besides,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were also developed by the faculty. As a result of the primary research, prospective teachers who took the course generally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lass, especially for the faculty. The students' overall convergent thinking ability has increas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p<.01), and the students' major has been found to be irrelevan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communication, content convergence, and caring factors, excluding creativity factor, have all risen to a significant level.

미래기술 IT인문학 융복합 교육모델 설계 및 실증 (A Design and Demonstration of Future Technology IT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Model)

  • 최은선;박남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59-166
    • /
    • 2023
  • 본 지능정보사회에서 인문학은 기술 자체만큼이나 중요성을 지닌다. 감성적이고 인간성을 반영한 인간 중심의 융복합 정보기술(IT)은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 시대에 낙관적 전망을 가진 독보적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배경에 따라 본 논문은 융복합 교육모델들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중등학생, 예비교원, 현직교원, 학교 관리자, 일반인 등 여러 학습자의 IT인문학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을 구성할 수 있는 교육모델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제안하는 모델의 실천적 측면을 면밀히 고찰하여 제안하는 교육모델이 교육 현장에 안정적으로 접목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교육모델의 실천 전략은 총 7가지로 교재 및 교수·학습자료 연구, 연구 성과의 대중적 확산 활동 및 교육 연계 활동의 활성화, 메이커 스페이스 조성, 글로벌 공동연구, 온라인 교육 운영, 리빙랩 거버넌스 구축, 지속 가능한 실천 교육을 위한 자생플랫폼 다각화 등을 포함한다. 향후 전문가 Delphi를 통한 타당도 검증이 후속 연구로 요구된다.

국가직무능력표준 교육과 교육전이가 실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CS Education and Education Transition on Practical Results)

  • 최수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82-89
    • /
    • 2019
  • 대학에서 NCS 교육을 실시하는 이유는 실무 중심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능력이 향상되고 취업과 실무에서 직무능력의 경쟁력이 강화되면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NCS의 역할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교육전이 및 산업현장에서 실무성과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모형을 "NCS 교육 ${\Rightarrow}$ 교육전이 ${\Rightarrow}$ 실무성과"로 구성하여 수도권에 있는 대학생 4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만일 NCS 교육이 취업과 실무에 필요하다면 대학을 비롯한 교육기관에서는 NCS 교육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분석 결과 내적 일관성이 확보되었으며 타당성 검증에서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이 모두 확보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한 결과 본 연구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검증결과 연구가설의 표준화계수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 상호 연관성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사결정 트리 기반 인공지능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언플러그드 활동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Decision Tree: Focusing on Unplugged Activities)

  • 김성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59-46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 트리 기반 인공지능 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 절차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개발된 인공지능 융합 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의 '문제의 이해', '아이디어 탐색 및 개발', '실현', '평가'의 4단계로 구성되었다. 특히 이 교육프로그램은 프로그래밍을 포함하지 않는 언플러그드 활동으로서, 프로그래밍을 포함하여 인공지능 기술을 수업시간에 다루는 교과인 초등 실과, 주니어 공학교육의 일환인 기술·가정, 정보 이외의 교과에서도 인공지능 융합교육을 실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즉, 특정 교과가 아닌 대부분의 교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여 교육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교과 내용에 다수 포함되고 있는 분류 개념을 교육할 때 인공지능 기술의 개념과 원리를 활용할 수 있는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는데 큰 의의를 가진다.

비대면 수업 융합교과의 효과적인 팀학습 지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Team Learning Support in Non-Face-To-Face Convergence Subjects)

  • 전주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79-85
    • /
    • 2021
  • In a future society where cutting-edge science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ecomes commonplace, the demand for talented people with basic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science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and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generations is still insuffici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tudents taking convergence courses including practical training, there was a problem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tructor.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distance learning at domestic universities that came suddenly due to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In addition, a case study of the use of technology was conducted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through case analysis of distance classes in convergence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case of developing lecture contents for smooth convergence education in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targeting the developed AI convergence courses and applying them to the education of enrolled students.

창조경제 확산을 위한 중소기업 임직원의 역량강화방안 : 융합과제발굴을 중심으로 (Capacity Building Measures of SMEs Employee for Spreading the Creative Economy : For focus on Excavation of Convergence Project)

  • 한지원;박기남;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607-614
    • /
    • 2014
  • 중소기업 간 지식 기술 융합의 필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는 요즘, 이를 실천하고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부재하고 고품질의 융합 실천 교육 콘텐츠 보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임직원의 융합과제 발굴역량 강화를 위한 사례중심 교육과정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해 3단계로 연구목표를 세분화하여 제시한다. 1차로 중소기업의 국내 외 융합 동향 및 현황파악 및 융합성공사례 분석을 위한 표준분석 방안을 마련하고, 2차로 중소기업 융합 성공사례 발굴 및 자료수집과 융합 성공 사례 분석을 통한 융합 모형을 개발하며, 3차로 중소기업 임직원 융합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분석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융합 교육을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신제품 새로운 서비스 개발 및 신시장 창출, 중소기업 기술과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재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지식 기술 융합을 통한 글로벌 트랜드 부합 및 기업 경쟁력 강화를 이루고자 한다.

대학의 실무 융합교육을 위한 융합모듈 교육 전략 (Educational Strategy for Practical Convergence using Module Curriculum in University)

  • 김기대;박근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205-21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적 인재를 필요로 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여 다방면 전공 분야의 핵심적인 내용을 실무 융합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는 대학교육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교육 과정에 기존의 전공영역과 교양영역 이외에 융합영역을 새롭게 신설하고, 둘째, 기업실무와 연계하여 타 전공학생들만을 위한 전공교과목인 융합교과목을 개설하고, 셋째, 융합교과목을 4개씩 묶어서 융합모듈의 형태로 하여 하나의 독립된 교육과정으로 개설한다. 지방사립대학인 D대학에서는 2016년도부터 이러한 융합모듈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평균 수강생 수, 수강률 및 강의만족도 등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융합모듈들을 다양하게 조합하면 지역 기업이 요구하는 기업설계맞춤전공을 저비용으로 수월하게 창출할 수 있다.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지리학 교육의 개편 방안 연구 - GIS 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Geography education and employment - GIS sector)

  • 오충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1-171
    • /
    • 2016
  • 사회 여건의 변화에 따라 대학 교육에서 사회 진출을 위한 실용 학문으로서의 가치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학 교육도 순수 학문에서 실용 학문으로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사회 진출을 고려한 지리학 분야의 발전 방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학 관련학과의 취업 특성을 분석하고, GIS 분야를 중심으로 실용적인 지리학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에서 지리학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첫째, 사회 진출 활성화를 위해 국가 및 지역 사회 수요 분석, 둘째, 신기술 반영을 통한 교과 내용의 지속적 갱신, 셋째, 캡스톤 디자인, 현장 실습 등의 산학 연계를 통한 실무형 교육 강화, 넷째, 교육 과정의 다변화를 통한 융복합 교육 강화, 다섯째, 지리학 교육의 실용적인 전환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