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ultry Excreta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15초

양계사료의 True Metabolizable Energy측정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시험 V. 기초사료의 에너지수준이 옥수수와 대두박의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및 True Metabolizable Energy가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True Metabolizable Energy Determination of Poultry Feedingstuffs V. The Effect of Levels of Metabolizable Energy of Basal Diets on the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nd True Metabolizable Energy Values of Corn and Soybean Meal)

  • 이영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9-114
    • /
    • 1984
  • 본 시험은 기초사료의 에너지수준을 2,400Kcal/kg에서 3,000Kcal/kg까지 달리하고 옥수수와 대두박의 apparent metabolism energy (AME), true metabolism energy (TME)가에 미치는 영창을 검토하고자 실시한바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옥수수의 AME 측정치는 2,400Kcal/13%를 계외하곤 각 처리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며(P>0.05) 대두박은 2,800Kcal/13%와 2,800Kcal/15%, 3,000Kcal/16% 간에 유의차가 있었으나, (P<0.05) 2,600 Kcal/14% 처리와는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P>0.05) 2. 기초사료의 에너지수준은 2,400kcal/13%를 제외하곤 옥수수 대두박의 AME가에 영향하지 않아 시험사료에 따라 기초사료의 에너지수준을 달리할 필요가 없다. 3. 옥수수 보다 대두박의 표준오차 값이 큰 것은 대치율이 옥수수보다 낮은데서 기인하였다. 4. 옥수수의 TME치는 AME치와 그 경향이 같았으나 대두박의 TME치는 전처리간 없었다. (P>0.05) 5. 옥수수와 대두박의 AME치와 옥수수의 TME치가 2,400Kcal/13% 처리에서 현저히 감소한 것은 사료내 단미사료간 상호작용에 기인한다고 할 수가 있다.

  • PDF

양계사료의 TME 측정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시험 III. 분채집시간과 가용성 탄수화물의 급이가 내인성 에너지 손실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True Metabolizable Energy Determination of Poultry Feedingstuffs III. Effects of excreta collecting period and of feeding of soluble carbohydrates on metabolic and endogenous energy losses)

  • 이영철;강도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3-59
    • /
    • 1983
  • 본 시험은 분채취시간 및 Corn Starch, Glucose Mixture (Starch (50) + Glucose (50))의 급이가 성웅계의 내인성에너지 (FEm+UEe) 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Period II(24-28hr)의 분배설량, 에너지량과 N 손실량은 Period I(0-24hr)의 경우보다 높았으나 유의차 (P=.05)는 없었다. 2. 체중(X)과 분배설량, 에너지 및 N 손실량 (Y) 간에는 유의차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P>.05) 이는 체중이 내인성에너지 (FEm+UEe) 손실에 영향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것이었다. 3 Glucose, Mixture 급이구는 절식구에 비하여 분배설량, 에너지 및 N 손실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P<.05). 4. Corn Starch 급이구의 분배지량, N 손실량은 절식구에 비해 유의적 (P<.05)으로 감소했으나 내인성에너지 손실량은 두 구간 유의차가 없었다. (P>.05) 이는 Corn Starch의 Apparent Digestibility가 Glucose, Mixture구 보다 낮았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5. 급이구의 N 손실량은 절식구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한 사실은 탄수화물 급이가 절식동안 조직의 이화작용에 의한 에너지 손실의 일부를 보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육계 사료 내 Bacteriophage의 첨가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혈액 특성, 도체 특성 및 분내 미생물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acteriophage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rofiles,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ecal Microflora in Broilers)

  • 김승철;김재원;김정언;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5-81
    • /
    • 2013
  • 본 연구는 bacteriophage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혈액 특성, 장기 무게 및 분내 미생물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1일령 ROSS 308 (♂, ♀) 340수 공시하였고, 시험 개시 체중은 $41.71{\pm}0.16$ g으로 31일 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CON, basal diet, 2) SE05, CON+bacteriophage SE 0.05%, 3) SE10, CON+bacteriophage SE 0.10% 및 4) SE15, CON+bacteriophage SE 0.15%로 4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17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1~14일령의 생산성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15~31일령에 있어서는 증체량에서 SE15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 시험 기간 동안의 증체량에 있어서도 SE10 및 SE15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처리구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혈액 특성에 있어서도 처리구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체 특성 중 가슴육의 보수력 있어서는 SE15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장기 무게 중 F낭의 무게가 bacteriophage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분내 미생물 조성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시험의 결과 육계에 사료 내 bacteriophage를 첨가 시 증체량을 향상시키고, F낭의 무게를 증가시킨다. 또한 0.15% 급여시 가슴육의 보수력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bacteriophage의 첨가를 통하여 생산성과 면역력을 향상시켜주고 육내 보수력을 개선하여 보다 고품질의 계육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령토를 첨가한 사료의 급여가 육용오리의 능력과 생산물의 품질 및 사육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Kaolin on the Performance, Product Quality and Feeding Environment of Growing Ducks)

  • 이우진;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1-87
    • /
    • 2005
  • 육용오리 사료에 대한고령토의 추가 첨가 급여가 육용오리의 능력, 시험사료의 영양소 이용율, 배설물의 수분과 유해 가스발생량 및 생산물의 품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육용오리 사료에 고령토를 0, 1, 2, 3 및 $4\%$씩 추가로 첨가하는 5개 처리에 200수의 육용오리 초생추를 공시하여 6주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6주령 체중과 $0\~6$주간 증체량은 고령토 $1\~2\%$ 첨가구가 가장 많았고$(p<0.05),\;3\~4\%$ 첨가구는 감소하여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1수당 평균 사료섭취량과 kg 증체당 사료 요구율은 고령토의 추가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6주간의 폐사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도체율은 고령토 $1\%$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4\%$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나$(p<0.05),\;4\%$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첨가구들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시험사료의 영양소중 조지방 이외의 다른 영양소들의 이용율은 고령토 $2\~4\%$ 첨가구들이 대조구나 $1\%$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배설물의 수분 함량 및 암모니아가스 발생량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황화수소 가스는 고령토 $2\~4\%$ 첨가구들이 대조구나 $1\%$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육용오리의 다리살과 가슴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령토 $3\~4\%$ 첨가구에서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육용오리의 육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도(pH), 보수력(WHC), 지방산패도(TBARS), 과산화물가(POV) 및 가열감량(Cooking loss)등을 조사하였으나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거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성장중인 닭에 있어서 맹장절제수술이 질소의 이용률과 요산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cectomy on Nitrogen Utilization ]Rate and Uric Acid Excretion in Growing Chicks)

  • Son, J.H.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49-253
    • /
    • 2002
  • 본 연구는 성장중인 닭에 있어서 질소 이용에 미치는 맹장절제 및 요소사료 첨가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시험 사료는 19% 단백질 사료와 여기에 1% 요소를 첨가한 사료를, 시험 닭은 모의수술을 실시한 대조구와 맹장절제 수술을 실시한 처리구를 이용한 2 $\times$ 2의 요인시험법으로 행해졌다. 6일 동안의 본 시험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시켰다. 맹잘절제 수술닭의 사료효율은 요소의 급여에 의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19% 단백질사료 급여조건에서 맹장절제 수술 닭은 소화관내 사료의 통과시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지만(P<0.05), 반대로 19% 단백질사료 + 1% 요소 급여조건에서는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맹장절제 수술은 사료에 관계없이 수분 배설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P<0.05), 요소의 급여는 맹장절제 수술과 관계없이 수분의 배설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양 사료 급여조건에서 맹장절제 수술은 요산 질소의 배설량을 체중 1009당 약 30 mg 정도씩 감소시켜서(P<0.05), 총 질소 배설에 대한 요산 질소의 배설비를 유의하기 감소시켰다(P<0.05). 결론적으로 성장중인 닭에서의 맹장절제 수술은 요산의 배설량을 감소시켜서 질소의 이용률을 개선 시켰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이전에 성계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사료 내 목초액의 첨가가 토종닭의 생산성, 혈액성상,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 및 가슴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yroligneous Acid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 Ammonia Gas Emiss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eat in Korean Native Chicken)

  • 심관섭;지중룡;나종삼;박재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7-213
    • /
    • 2010
  • 본 시험은 목초액이 토종닭 한협 3호의 생산성, 유해 가스 발생량, 혈액 성상 그리고 가슴육의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토종닭 사료에 수준별로 첨가하여 70일 동안 급여하였다. 목초액은 0, 0.1, 0.2% 수준으로 첨가 급여하였고,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6수씩 총 240수를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험 결과, 목초액은 생산성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5). 혈중 total cholesterol과 HDL-cholesterol 농도에 있어서는 목초액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triglyceride의 농도는 감소하였다(p<0.05). 가슴육의 포화지방산인 myristic acid와 stearic acid는 목초액을 급여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목초액은 유해 가스 저감 효과가 있으며, 토종닭의 혈중 지질 수준을 개선시키고, 가슴육의 포화지방산 함량을 감소시키고 단쇄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호마박의 영양적 가치 평가 및 산란계 사료 내 첨가각 사양 성적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the Feeding Value of Sesame Oil Meal and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s of Laying Hens)

  • 임호중;안승민;유선종;김용란;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55-263
    • /
    • 2004
  • 본 연구는 호마박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고 산란계의 성적에 미치는 호마박의 첨가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16수의 ISA-Brown 종계 수탉을 공시하여 강제 급여 방법에 의해 호마박의 진정 대사에너지(TME),질소 보정 진정 대사 에너지 (TMEn)및 진정 아미노산 이용률(TAAA)을 조사하였다. 호마박의 TME 및 TMEn은 각각 2.30 kca1/g및 1.99 kcal/g이었고, 15개 아미노산의 평균 이용률은 $76.93\%$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48주령의 ISA-Brown산란계 90수를 3개 처리(대조구, 호마박 $5\%$, 호마박 $10\%$)로 나누어 4주간의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사료 내 호마박 첨가가 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란계 사료 내에 호마박을 $5\%$$10\%$첨가했을 때 난 생산성 및 생산된 계란의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마박 $10\%$ 첨가구에서 난황 내 Cl8:3 $\omega$3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청 내GOT, G-GT, BUN및 cholesterol 조성에 있어서도 처리간에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호마박을 정확한 원료 평가를 거쳐 사용한다면 산란계 사료에 있어서 $10\%$까지 사용하여도 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았으며, 공시계에게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는 않았다는 결과가 시사되었다.

대추씨(Zizyphus jujuba Seed)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Zizyphus jujuba Seed Meal on Broiler Performance)

  • 손장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79-285
    • /
    • 2014
  • 본 연구는 대추씨 분말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소장, 맹장의 길이, 근위의 무게 및 배설물 중 악취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1일령의 육계 Ross 무감별추 180수를 4개 처리구에 3반복으로 공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 사료에 대추씨 분말 0.3%(T1), 0.6%(T2) 및 0.9%(T3)를 첨가한 4처리 배치하였다. 시험 전기(3주령)에서는 증체중과 사료 효율 모두 대추씨 분말 0.6%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전 시험 기간 동안, 시험 기간 동안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대추씨 분말 첨가구 모두에서 증체량이 대조구보다 개선되는 경향이 인정되었다. 사료 효율(feed/gain)도 증체량과 같은 경향으로 증가하였다. 세 개의 대추씨 분말 급여구 모두는 근위의 무게를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그러나 첨가량의 다소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소장 및 맹장의 길이는 대추씨 분말 첨가의 유무 및 다소에 따른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다. 배설물 중 $NH_3$의 발생량은 배설 직후, 배설 후 5일 및 10일 모두에서 대추씨 분말 급여에 의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본 시험의 결과, 육계 사료에 0.3~0.6 %의 대추씨 분말의 첨가는 근위 등의 위장관 발달 촉진으로 인한 사료 중 소화율을 개선 및 배설물 중 $NH_3$ 발생량의 감소에 기인한 육계의 증체량 개선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생각되어진다.

Zeolite의 첨가수준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eolite Level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s)

  • 민병석;김영일;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38
    • /
    • 1988
  • 본 시험은 국내산 zeolite의 첨가수준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육계사요에 zeolite를 0,2,4 및 6% 첨가한 4개 처리에 육계 Arbor-Acre계 초생추 360 수를 공시하여 1986년 8월 25일부터 10월 12일까지 7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증체양은 zeolite 2% 첨가수준에서 2,012.1 g으로 가장 높았으며, 4% 첨가수준 이상에서는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성향을 보였다 (P<0.05). 2. 사요섭취량은 4,204.l∼4,225.6 g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zeolite의 첨가수준간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3. 사요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zeolite 4% 첨가수준에서 2.12로서 차이가 없었으나 6% 첨가구에서 2.16으로 다소 높은 경향이 있었다( P<0.05) 4. 생존율은 95.6∼97.8%로서 처리간에 육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5. 계분의 수분함양은 대조구(73.5, 81.0%)인데 반해 첨가구 ( 67.3∼70.8%, 73.6∼79.4% )로서 zeolite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철저히 감소하였다 (P<0.01 ). 6. 도체율은 첨가구에서 6.86∼68.9% 및 복강지방축적율은 2.49∼2.57%로서 처리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7. 수당 소득은 .zeolite 2% 첨가구가 378.13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zeolite 4% 첨가수준까지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zeolite 6% 첨가구에서 329.32원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P<0.05).

  • PDF

황토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Loess on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 최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
    • /
    • 2005
  • 본 연구는 황토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황토의 첨가수준을 0, 1.5, 3.0및 $5.0\%$로 4개의 처리구로 6주간 실시하였다.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은 모든 황토 첨가구 보다 대조구에서 높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계육의 수분 함량은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 높았고,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 낮았으나, 조단백질 함량과 조회분 함량은 처리구간의 차이가 없었다. 근육내 pH는 모든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보수력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높았다. 계육의 육색 중에서 명도는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증가한 반면, 적색도와 황색도는 차이가 없었다.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황토-$3\%$와 황토-$5\%$ 첨가구에서 높았다. 혈액성분 중에서 HDL-cholesterol 과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 낮았다. 계분의 수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낮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육계사료에 황토를 첨가하였을 때 생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육질개선에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