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the Feeding Value of Sesame Oil Meal and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s of Laying Hens

호마박의 영양적 가치 평가 및 산란계 사료 내 첨가각 사양 성적에 미치는 영향

  • Im H. J. (R&D of Feed Business Unit, Samyangsa) ;
  • Ahn S. M. (Animal Resources Research Center, Konkuk University) ;
  • You S. J. (Animal Resources Research Center, Konkuk University) ;
  • Kim Y. R. (Animal Resources Research Center, Konkuk University) ;
  • Ahn B. K. (Animal Resources Research Center, Konkuk University) ;
  • Kang C. W. (Animal Resources Research Center, Konkuk University)
  • 임호중 (㈜삼양사 사료 BU 연구개발팀) ;
  • 안승민 (건국대학교 축산대학 동물자원연구센터) ;
  • 유선종 (건국대학교 축산대학 동물자원연구센터) ;
  • 김용란 (건국대학교 축산대학 동물자원연구센터) ;
  • 안병기 (건국대학교 축산대학 동물자원연구센터) ;
  • 강창원 (건국대학교 축산대학 동물자원연구센터)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ding values of sesame oil meal (SO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in laying hens. In experiment I, the values of true metabolizable energy (TME), nitrogen corrected true metabolizable energy (TMEn) and true amino acid availability (TAAA) were determined by force-feeding 16 ISA-Brown roosters and collecting the total excreta from the birds, The TME and TMEn of SOM were 2.30 and 1.99 kcal/g,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TAAA of 15 amino acids was $76.93\%$. In experiment 2, a total of ninety, 48 weeks old ISA-Brown layer were randomly divided into 9 groups of 10 birds each and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 5 and $10\%$ SOM for 4 weeks (30 birds per treatment). The inclusion of SOM into laying hen diets at the 5 and $10\%$ level did not affect production and quality of egg. The C18:3 $\omega$3 content of egg yolks in the $10\%$ SOM group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but not significantly. There were no adverse effects on blood parameters in layers fed treated diets containing $5\%$ or $10\%$ SOM, The results indicate that SOM can be used for layers diet up to $10\%$ without an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egg production and quality.

본 연구는 호마박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고 산란계의 성적에 미치는 호마박의 첨가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16수의 ISA-Brown 종계 수탉을 공시하여 강제 급여 방법에 의해 호마박의 진정 대사에너지(TME),질소 보정 진정 대사 에너지 (TMEn)및 진정 아미노산 이용률(TAAA)을 조사하였다. 호마박의 TME 및 TMEn은 각각 2.30 kca1/g및 1.99 kcal/g이었고, 15개 아미노산의 평균 이용률은 $76.93\%$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48주령의 ISA-Brown산란계 90수를 3개 처리(대조구, 호마박 $5\%$, 호마박 $10\%$)로 나누어 4주간의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사료 내 호마박 첨가가 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란계 사료 내에 호마박을 $5\%$$10\%$첨가했을 때 난 생산성 및 생산된 계란의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마박 $10\%$ 첨가구에서 난황 내 Cl8:3 $\omega$3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청 내GOT, G-GT, BUN및 cholesterol 조성에 있어서도 처리간에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호마박을 정확한 원료 평가를 거쳐 사용한다면 산란계 사료에 있어서 $10\%$까지 사용하여도 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았으며, 공시계에게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는 않았다는 결과가 시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EC 1987 Tables AEC recommendations for animal nutrition. 5th ed. RHONE-POULENC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5th ed
  3. Cave NA 1988 Bioavailability of amino acids in plant feedstuffs determined by in vitro digestion, chick growth assay, and true amino acid availability methods. Poultry Sci 67:78-87
  4.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 11:1-42
  5. El Tinay AH, Khattab AH, Khidir MO 1976 Protein and oil compositions of sesame seed. J Am Oil Chem Soc 53:648-655
  6. Folch J, Lee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497-509
  7. Klat LV 1995 Cholesterol analysis in foods by direct saponification-Gas Chromatographic Methods: Collaborative study. J AOAC Int 78(1):75-79
  8. Likuski HJA, Dorrell HG 1978 A bioassay for rapid determinations of amino acid availability values. Poultry Sci 57:1658-1660
  9. Lumeij JT 1997 Avian Clinical Biochemistry. In: Clinical Biochemistry of Domestic Animals (ed. J. J. Kanebo, J. W. Harbey and M. L. Bruss 5th). Academic Press pp. 857-883
  10. Mamputu M, Buhr RJ 1995 Effect of substituting sesame meal for soybean meal on layer and broiler performance. Poultry Sci 74:672-684
  11. Maner JH 1973 Investigation of plants not currently used as major protein sources. Alternative sources of protein for animal production. NAS. Washington, D.C.
  12. Moore S 1963 On the determination of cysteine as cysteic acid. J Biol Chem 238:235-237
  13. Nilo R, Dench JE, Caygill JC 1981 Nitrogen extractability of sesame (Sesamum indicum L.) seed and the preparation of two protein isolates. J Sci Food Agric 32:565-570
  14. SAS 2002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 Inc. Cary NC
  15. Sibbald IR 1976 A bioassay for true metabolizable energy in feedingstuffs. Poultry Sci 55:303-308
  16. Sibbald IR 1979 The effect of the duration of the excreta collection period on the true metabolizable energy values of feedingstuffs with slow rates of passage. Poultry Sci 58:896-899
  17. Spackman DH, Stein WH, Moore S 1958 Automatic recording apparatus for use in the chromatography of amino acids. Anal Chem 30:1190-1206
  18. Titus HW, Mehring AL, Johnson D Jr, Nesbitt LL, Tomas T 1959 An evaluation of MCF (micro-cel-fat), a new type of fat product. Poultry Sci 38:1114-1119
  19. 김은미 최진호 지규만 1997 식이 홍화유와 들깨유 급여가 계란 난황내 지방산 조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39(2):135-144
  20. 백인기 한인규 1976 국산 박류의 사료 가치에 관한 연구. Ⅲ. 산지별 임자박과 다른 박류의 품질 비교 시험. 한국축산학회지 18(1):52-58
  21. 백인기 한인규 김춘수 1975 국산 박류의 사료적 가치에 관한 연구. Ⅱ. 부로일러에 대한 박류 비교시험. 한국축산학회지 17(4):348-358
  22. 오홍록 菅野道廣 1994 산란계 사료에 첨가된 식물 유지류가 난황의 콜레스테롤 농도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1(3):183-193
  23. 유황 한인규 육종륭 1967 중추에 대한 박류 비교 시험. 한국축산학회지 9:52-58
  24. 이선호 조영제 김성 안봉전 최청 1995. 효소에 의한 참깨박 단백질의 최적 가수분해 조건. 한국농화학회지 38(3):248-253
  25. 정정수 한인규 1978 국산 박류의 사료적 가치에 관한 연구. Ⅶ. 산란계에 대한 국산 박류 비교 시험. 한국축산학회지 20(1):104-111
  26. 하재호 허우덕 황진봉 1993 지방산 조성과 탄소 동위 원소 분석에 의한 참기름에 혼입된 타식용유의 검출 방법. 한국식품과학회지 25(4)345-350
  27. 한국사료협회 2000 배합사료 생산 및 원료 사용 현황. pp.261-267
  28. 한인규 1989 제2판 사료자원 핸드북.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pp.213-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