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macea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8초

국내 유입 외래 연체동물 (Introduced Molluscan species to Korea)

  • 이준상;이용석;민덕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5-49
    • /
    • 2010
  • Up until now, we have identified 17 exotic species of Mollusca in Korea. These include Achatina (Lissachatina) fulica, Limax flavus, Limax marginatus, Deroceras reticulatum, Hawaiia minuscula, Zonitoides yessoensis, Zonitoides arboreus, Physa acuta, Pomacea canaliculata, Pomacea insularus, Crepidula (Crepidula) onyx, Mytilus galloprovincialis, Xenotrobus securis, Perna viridis, Argopecten irradians irradians, Pinctada fucata, and Pinctada margaritifera. Among them Achatina (Lissachatina) fulica, Pomacea canaliculata, Pomacea insularus, Argopecten irradians irradians, Pinctada fucata, and Pinctada margaritifera were intentionally introduced, whereas remainings were unintentionally introduced into Korean fauna. These foreign spec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habitats: A. fulica, L. flavus, L. marginatus, D. reticulatum, H. minuscula, Z. yessoensis, and Z. arboreus in terrestrial habitat; P. acuta, P. canaliculata, and P. insularus in fresh water; and C. onyx, M. galloprovincialis, L. fortuneikikuchii, P. viridis, A. irradiansirradians, P. fucata, and P. margaritifera in sea water. Taxanomically, 11 species belong to Gastropoda, whereas 6 species are classified to Bivalvia.

Genetic Diversity and Molecular Markers in Introduced and Thai Native Apple Snails (Pomacea and Pila)

  • Thaewnon-Ngiw, Bungorn;Klinbunga, Sirawut;Phanwichien, Kantimanee;Sangduen, Nitsri;Lauhachinda, Nitaya;Menasveta, Piamsak
    • BMB Reports
    • /
    • 제37권4호
    • /
    • pp.493-502
    • /
    • 2004
  • The genetic diversity and species-diagnostic markers in the introduced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and in the native Thai apple snails; Pila ampullacea, P. angelica, P. pesmei, and P. polita, were investigated by restriction analysis of COI and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wenty-one composite haplotypes showing non-overlapping distributions among species were found. Genetic heterogeneity analysi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P < 0.0001) and within P. pesmei (P < 0.0001) and P. angelica (P < 0.0004). No such heterogeneity was observed in Pomacea canaliculata (P > 0.0036 as modified by the Bonferroni procedure), P. ampullacea (P = 0.0824-1.000) and P. polita (P = 1.0000). A neighbor-joining tree based on genetic distance between pairs of composite haplotypes differentiated all species and indicated that P. angelica and P. pesmei are closely related phylogenetically. In addition, the 16S rDNA of these species was cloned and sequenced. A species-specific PCR for P. canaliculata was successfully developed with a sensitivity of detection of approximately 50 pg of the target DNA template. The amplification of genomic DNA (50 pg and 25 ng) isolated from the fertilized eggs, and juveniles (1, 7, and 15 d after hatching) of Pomacea canaliculata was also successful, and suggested that Pomacea canaliculata and Pila species can be discriminated from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의 생리·생태학적 특성 및 논 잡초방제용으로 투입된 왕우렁이의 집단패사 원인 (The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olden Apple Snails (Pomacea canaliculata) and the Cause of Their Massive Death used for Weed Control in Wet Rice Paddies)

  • 이상범;이상민;고병구;이초롱;김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97-316
    • /
    • 2018
  • 본 연구는 왕우렁이의 생리 생태적 특성 및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된 왕우렁이들의 집단패사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983년 국내에 도입되어 양식과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활용되고 있는 왕우렁이의 종(species)은 연체동물문(Mollusca), 복족강(Gastropoda), 중복족목(Mesogastropoda), Ampulariidae과, Pomacea속에 속하는 Pomacea canaliculata Lamarck이다. 왕우렁이의 생리 생태적 특성조사 결과 왕우렁이 성체들이 국내에서 월동되고 있으나 왕우렁이 알로는 월동되지 못하고 있다. 수컷과 암컷의 비율은 1:1.99~2.33배로 암컷의 구성비가 높았다. 생장량은 1일에 87.7 mg이었으며, 껍질은 각고가 0.31 mm, 각경이 0.33 mm씩 자랐다. 왕우렁이의 생장은 먹이의 조건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매우 빠른 생장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건조에 대한 저항성은 매우 강하여 3개월까지 생존율이 약 80%에 달하였다. 왕우렁이 서식에 따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다량의 서식 밀도에서는 약간의 영향을 줄 수는 있겠으나,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되는 밀도에서는 전혀 영향이 없었다.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벼 이앙초기에 투입되는 왕우렁이가 2~3일 이내에 일시에 집단 패사되는 직접적인 원인은 미소생물인 패충류(참씨벌레)에 의하여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만 패충류 (참씨벌레)에 의하여 패사되는 비율은 밀도에 따라 2.86%와 5.71%로 매우 미미하였고, 통계적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된 왕우렁이들은 벼 이앙시기가 빨라지고, 일교차가 커지면서 추운 저온의 날씨로 인하여 논의 흙속으로 들어가서 죽거나 일부는 새의 먹이가 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다량이 죽은 것으로 오해되었다.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 Ampullariidae) 방제를 위한 오리 및 통발 이용 (Management of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Ampullariidae) Using Duck and Fish Trap)

  • 김도익;김선곤;최경주;강범용;김정준;박형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7-122
    • /
    • 2007
  • 전남지역 담수직파재배지에서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왕우렁이를 방제하기 위해 오리 및 통발과 유인제를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왕우렁이를 포식하는 오리는 작은 오리(700g)가 큰오리(1300g) 보다 더 많이 포식하였다. 작은 오리 1마리보다는 2마리 있을 경우 포식량이 더 많아 투입 2일째에 90% 이상의 우렁이를 섭식하였다. 왕우렁이와 오리를 동시에 투입하는 것 보다 왕우렁이 투입 7일후에 오리를 투입하는 것이 왕우렁이 방제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왕우렁이를 잡초제거 용으로 활용한 1개월 후부터는 오리를 어느 시기에 투입하더라도 왕우렁이 밀도를 억제시킬 수 있었다. 왕우렁이 월동이 끝나는 5월 상순에 오리를 $30m^2$ 당 4마리 투입함으로써 밀도를 억제할 수 있었다. 왕우렁이를 방제하기 위해 통발로 떡밥과 유인제를 혼합하여 유인한 결과 왕우렁이는 잉어용 떡밥에 menthol이 첨가된 통발에서 216마리/1주(週) 유인되었다.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의 국내 분포와 확산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and Dispersal of Pomacea canaliculata in South Korea)

  • 이대성;박영석
    • 생태와환경
    • /
    • 제53권2호
    • /
    • pp.185-194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외래종인 왕우렁이의 분포와 확산에 있어 영향을 미친 환경 및 인위적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 왕우렁이 분포지역 및 관련 사회정책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된 국내 왕우렁이 서식지 중 대부분은 고도 및 경사가 낮고, 농경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러한 왕우렁이 서식지의 특성은 친환경 농업이라는 인위적 활동에 의한 왕우렁이 확산 및 분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왕우렁이와 관련하여 왕우렁이 농법의 국가적 장려, 왕우렁이 농법에 대한 국가 보조금 폐지, 생물다양성법 제정 등과 같은 정책적 변화와 친환경 농산물을 중시하는 웰빙 열풍 등 다양한 정책적, 사회적 사건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왕우렁이의 확산 양상은 사회적 요소 중 유기농 농산물의 재배면적과 비율, 내수면 왕우렁이 생산량과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왕우렁이 확산에 대한 인간 활동의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미 뉴트리아, 미국선녀벌레 등 많은 외래생물종이 우리나라로 유입되고 있는 가운데, 왕우렁이와 같이 인위적 생물 확산이 반복되지 않도록 충분한 제도적 대책 보완과 함께 외래생물에 대한 범국민적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Effects of Global Warming on the Distribution of Overwintering Pomacea canaliculata (Gastropoda: Ampullariidae) in Korea

  • Bae, Mi-Jung;Kwon, Yong-Su;Park, Young-Seuk
    • 생태와환경
    • /
    • 제45권4호
    • /
    • pp.453-458
    • /
    • 2012
  • The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is a freshwater snail native to tropical and subtropical South America. The species was introduced into Korea as a human food source in 1983 and was first applied as a weed control agent for the paddy fields in 1992. As the snail is well known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weeds, the area of cultivation in which the golden apple snail is used for biological control has been enlarged substantially each year. Currently, the species is observed in open water courses. It is possible that the snail may overwinter in these open water courses and may become a serious pest, as is already the case in many Asian countrie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status of the overwintering golden apple snail based on a literature survey and investigated the potential distribution area of the snail, as a result from global warming in Korea. The potential distribution area of the overwintering golden apple snail would be enlarged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 warming; ranging from 45.5% of South Korea's land area in the 2020s to 88.4% in the 2080s.

충남 및 전북지역의 왕우렁이 생태 연구 (A Study on the Ecology of the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Lamark) in Chungnam and Jeonbuk Province of Korea)

  • 서홍렬;백채훈;최만영;이건휘;이경보;노태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72-780
    • /
    • 2010
  •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는 1983년에 식용으로 일본에서 한국으로 도입된 외래종으로서, 농업에서 벼의 직파 논의 잠재적인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충화되고 있는 왕우렁이의 생육특성과 충남 및 전북지역에서의 월동생태를 구명하였고, 또한 농수로에서 수생식물과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연수로에서 조사결과를 보면 왕우렁이가 높은 밀도로 서식하는 수로에서는 왕우렁이가 서식하지 않을 경우에 많았던 검정말, 붕어마름,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등의 수생식물들이 발견되지 않았다. 폐쇄형 인공수조실험에서는 왕우렁이가 수생식물들을 먹이로 섭식하면서 이들 식물들을 제거하고, 수질 지표인 EC, COD, T-N 및 T-P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왕우렁이 추출물의 역류성 식도염 억제 효과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in Reflux Esophagitis Model)

  • 남현화;류승목;양선규;김욱진;문병철;서윤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5-96
    • /
    • 2021
  • 본 결과를 통해, 왕우렁이 추출물의 역류성 식도염 모델에서 위 내용물의 역류로 인한 조직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식도 점막의 육안 소견과 조직병리학적 분석 결과 점막의 괴사, 염증세포의 침윤 등의 증상이 완화됨을 확인하였으며, 상피조직의 tight junction을 보호하여 위산과 펩신으로부터 점막을 보호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왕우렁이 추출물의 식도 보호효과는 NF-κB 기전의 조절을 통해 점막의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왕우렁이 추출물이 역류성 식도염 완화를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