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beads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6초

수용액에서의 소수성실리카를 이용한 스티렌/부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및 카본블랙을 함유한 복합체 입자의 합성 (Preparation of Copoly(styrene/butyl methacrylate) Beads and Composite Particles containing Carbon Black with Hydrophobic Silica as a Stabilizer in Aqueous Solution)

  • 정경호;박문수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1호
    • /
    • pp.43-53
    • /
    • 2012
  • 물을 반응매체로 하고 스티렌과 부틸메타크릴레이트 (BMA)를 단량체로 하여 $65^{\circ}C$에서 $95^{\circ}C$ 사이의 선택된 온도에서 현탁중합을 실시하였다. 소수성 실리카를 안정제로, azobisisobutyronirile (AIBN)을 개시제로 선택하였다. 안정제의 최적 분산은 pH 10에서 이루어졌으며 반응은 pH 7에서 진행하였다. TGA 및 EDS 측정으로 사용한 실리카의 90%는 안정제로 10%는 입자 내로 유입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안정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평균입경은 감소하였다. 분자량은 안정제의 농도가 1.67 wt%에 이르며 증가하였다. 개시제의 농도 및/혹은 반응온도의 상승에 따라 반응속도는 증가하였으나 분자량은 감소하였다. 입자의 입경은 개시제의 농도 및 반응온도에 거의 무관하였다. BMA의 비가 증가하면서 유리전이온도는 감소하였으며 불규칙한 형상의 입자가 증가하였다.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스티렌/BMA의 중합반응은 반응완료에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소수성 실리카를 안정제로 하는 현탁중합반응을 이용하여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평균입경이 $1-30{\mu}m$의 구형 폴리(스티렌-BMA) 공중합체 복합체 입자를 합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나노 또는 마이크로 입자의 전사를 이용한 건식 접착제의 제조 및 특성 분석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nano- and micro-particles applied dry adhesives)

  • 유민지;;한석진;박재홍;김성룡
    • 접착 및 계면
    • /
    • 제20권1호
    • /
    • pp.23-2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또는 나노 입자 형상을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에 전사시켜 건식접착제를 제조하고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20 nm, 40 nm, 70 nm의 직경을 가지는 구리 나노 입자형상과 $5{\mu}m$의 직경을 가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PMMA) 마이크로 입자 형상을 전사시켜 PDMS 건식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입자의 종류 및 크기가 변화함에 따라 건식 접착제의 기계적 특성, 인장 접착강도, 표면 형상, 접촉각, 광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 nm 직경을 가지는 구리 나노 입자를 전사시켜 얻은 건식 접착제는 bare PDMS 필름에 비하여 300% 이상 향상된 인장 접착강도를 가졌다. 나노 입자를 전사시켜 얻은 큰 표면적 건식 접착제 구조가 높은 인장 접착강도를 부여하는 원인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결과는 나노 입자를 전사시키는 방법이 PDMS 건식 접착제의 제조에 있어 쉽고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알지네이트 비드를 이용하여 안정화한 0가 철의 수용액 상에서의 과염소산 이온의 환원 분해 특성 (Reduction of perchlorate in aqueous solution using zero valence iron stabilized with alginate bead)

  • 주태경;이종철;팽기정
    • 분석과학
    • /
    • 제23권6호
    • /
    • pp.560-565
    • /
    • 2010
  • 과염소산 이온($ClO_4^-$)은 로켓, 그리고 미사일 추진체등의 군사적 무기에 산화제로서 널리 사용이 되고 있다. 또한 주요 오염물질로 간주되는 과염소산 이온을 분해하려는 연구도 계속 진행이 되고 있다. 과염소산 이온을 환원 분해 처리하기위한 촉매로는 0가 철이 많이 응용되고 있다. 0가 철은 지표수의 정화나 오염물질의 처리에 널리 활용이 되고 있는 물질이다. 그러나 이것은 뭉침이 잘 일어나고 쉽게 침전이 되며 제한적인 유동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칼슘-알지네이트 고분자를 응용하여 나노크기의 0가 철 입자를 고정시켜 안정화하고 과염소산 이온을 환원분해 하였다. 안정화된 0가 철 입자는 분산되어 넓은 표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과염소산 이온의 환원분해 효율을 더욱 증가 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지지체 물질인 알지네이트 비드로 0가 철을 고정화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가교제 역할을 하는 칼슘이온을 함께 사용하였다. 이것을 이용하여 과염소산 이온의 환원분해 효율을 온도를 변화하면서 실험 하였고 재사용 가능성을 점검하였다.

Alginate/Carboxymethyl Scleroglucan Hydrogels for Controlled Release of Protein Drugs

  • Lee, Chang-Moon;Jeong, Hwan-Jeong;Kim, Dong-Woon;Lee, Ki-You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5호
    • /
    • pp.429-433
    • /
    • 2008
  • Alginate/carboxymethyl scleroglucan (CMSG) hydrogels were suggested as a novel carrier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protein drugs. The drug release characteristics of alginate hydrogels were improved by CMSG addition. Scleroglucan (Sclg) was carboxymethylated using monochloroacetic acid in aqueous alkaline medium. Alginate/CMSG hydrogels were prepared by dropping the mixture solution of alginate/CMSG into calcium chloride solution. The swelling behaviors and drug release characteristics of the hydrogels were investigated in the buffers of pH 1.2 or 7.4. As the CMSG content increased in the hydrogels, the swelling ratio of the alginate/CMSG hydrogel increased rapidly in the buffer of pH 7.4. At pH 1.2, however, the swelling ratio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at pH 7.4. According to in vitro release tests, only 15% of ovalbumin, investigated as a model protein drug, was released from the alginate/CMSG hydrogels at pH 1.2 within 6 h. At pH 7.4, however, the drug release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the rapid swelling of the hydrogels. The release and swelling behaviors of the hydrogels could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CMSG content in the hydrogels. These results supported the use of alginate/CMSG hydrogels as a suitable carrier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protein drugs in a pH responsive manner.

Cutting Fluid Effluent Removal by Adsorption on Chitosan and SDS-Modified Chitosan

  • Piyamongkala, Kowit;Mekasut, Lursuang;Pongstabodee, Sangobtip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6호
    • /
    • pp.492-502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adsorption of a synthetic cutting fluid and cutting fluid effluent on chitosan and SDS-modified chitosan, Chitosan and SDS-modified chitosan were prepared in form of beads and fibers. A series of batch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s a function of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cutting fluid, contact time and pH of the fluid. The contact angle study suggested that the SDS-modified chitosan was more hydrophobic than chitosan. The Zeta potential study showed that chitosan, SDS-modified chitosan and synthetic cutting fluid had a point of zero charge (PZC) at pH 7.8, 9 and 3.2, respectively. SDS-modified chitosan has a greater adsorption capacity than chitosa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dsorption capacity of the cutting fluid on 1.0 g of SDS-modified chitosan at pH 3 and for a contact time of 120 min was approximately 2,500 g/kg. The adsorption capacity of chitosan and SDS-modified chitosan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The Langmuir, Freundlich, and Brunauer Emmett and Teller (BET) adsorption models were used to explain the adsorption isotherm. The Langmuir isotherm fitted well with the experimental data of chitosan while the BET isotherm fitted well with the SDS-modified chitosan data. Pseudo first- and second-order kinetic models and intraparticle diffusion model were used to examine the kinetic data. The experimental data was fitted well to a pseudo second-order kinetic model. The significant uptake of cutting fluid on chitosan and SDS-modified chitosan were demonstrated by FT-IR spectroscopy, SEM and heat of combustion.

Polyurethane과 Poly(Ethylene Oxide)를 이용한 hybrid 나노섬유 지지체의 제작 (Dual Electrospinning to Manufacture Hybrid Nanofibrous Scaffold using Polyurethane and Poly(Ethylene Oxide))

  • 신지원;신호준;허수진;김지희;황영미;김동화;신정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24-228
    • /
    • 2006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dual-electrospun polymer based structure for vascular tissue engineering, especially for the medium or small sue blood vessels. Polyurethane(PU), which is known to be biocompatible in this area, was electrospun with poly(ethylene oxide) (PEO). Concentration of PU was fixed at 20wt%, while that of PEO was set from 15 to 35wt%. Morphological features were observed by SEM image and measurement of porosity and cellular response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extracting PEO from the hybrid scaffolds by immersing the scaffolds into distilled water. The diameter of PEO fibers were ranged from 200nm to 500nm. The lower concentration of PEO tended to show beads. The porosity of the scaffolds after extracting PEO was highly increased with higher concentration of PEO as expected. Also, higher proliferation rate of smooth muscle cells was observed at higher concentration of PEO than at the lower concentration and without PEO. As conclusions, this dual electrospinning technique combined with PU and PEO is expected to overcome the current barrier of cell penetration by providing more space for cells to proliferation.

키토산 비드의 교차결합(crosslinking)과 건조공정이 흡착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rosslinking and dry for the adsorption rate on the chitosan bead)

  • 신정우;김태훈;이영민;안병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01-309
    • /
    • 2021
  • Chitosan, natural organic polymer, has been applied in water treatment as adsorbent due to non-toxic for human being. The amino group as functional group, can interacts with cation and anion at the same time. The prepared chitosan bead (HCB) was crosslinked to increase chemical stability (HCB-G) and both HCB and HCB-G were prepared to increase physical strength by drying referred to DCB and DCB-G, respectively. The adsorption effect for crosslinking and drying for four types of chitosan bead was tested using pseudo fist order (PFO), pseudo second order (PSO), and intraparticle diffusion model (ID). Regardless of PFO and PSO, the order of K, rate constant, is as followed: HCB > HCB-G > DCB > DCB-G for Cu(II) and phosphate. Drying leading to contraction of bead significantly reduced adsorption rate due to reduce the porosity of chitosan. In addition, crosslingking also negatively effect on adsorption rate. When compared with Cu(II) using hydrogel bead, phosphate showed higher value than Cu(II) for PFO and PSO. The application of ID showed that both hydrogel beads (HCB and HCB-G) obtained a very low R2 ranging to 0.37 to 0.81, while R2 can be obtained to over 0.9 for DCB and DCB-G, indicting ID is appropriate for low adsorption rate.

식용 제비집으로부터 비극성 비드기술을 활용한 시알산의 분리정제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rification Process of Sialic Acid from Edible Bird's Nest Using Affinity Bead Technology)

  • 김동명;정주영;이형곤;권용성;백진홍;한인석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1-90
    • /
    • 2020
  • Sialic acid, which is contained in about 60-160 mg/kg in the edible bird's nest (EBN), is known to facilitate in the proper formation of synapses and improve memory fun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ffectively the sialic acid from edible bird's nest using affinity bead technology (ABT). After preparing the non-polar polymeric bead "KJM-278-28A" having a porous network structure, and then desorbed sialic acid was concentrated and dried. The analysi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ad "KJM-278-28A" showed that the particle size was 400-700 ㎛, the moisture holding capacity was 67-70%, the surface area (BET) was 705-900 ㎡/g, and the average pore diameter 70-87 Å.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bead "KJM-278-28A" for sialic acid was shown a strong physical force to bind sialic acid to the bead surface of 400 mg/L.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effects of sialic acid on water, ethanol, and 10% ethanol on the bead, it was confirmed that desorption effectively occurs from the beads when only ethanol is used. As a result of HPLC measurement of the separated sialic acid solution, a total of four sialic acid peaks of N-acetyl-neuraminic acid (Neu5Ac), α,β-anomer of Neu5Ac and N-glycoly-neuraminic acid were identified.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separate sialic acid from EBN extract with efficient and high yield when using ABT.

소수성 실리카를 안정제로 이용하는 수용액 상에서의 현탁중합법에 의한 폴리스티렌 입자 합성 (Preparation of Polystyrene Beads by Suspension Polymerization with Hydrophobic Silica as a Stabilizer in Aqueous Solution)

  • 박문수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498-504
    • /
    • 2006
  • 물을 반응매체로 하고 스티렌을 단량체로 하는 현탁중합법을 이용하여 입경이 $1{\sim}20{\mu}m$에 이르는 입자를 합성하고자 시도하였다. 소수성 실리카를 안정제로, azobisisobutyronitrile(AIBN)을 개시제로 선택하였다. 반응은 65에서 $95^{\circ}C$ 사이의 선택된 온도에서 진행하였다. 안정제의 농도는 물에 대하여 0.17 wt%에서 3.33 wt%까지 변화시켰으며, 개시제는 단량체에 대하여 0.13 wt%에서 6.0 wt%까지 변화시켰다. 소수성 실리카의 수용액 내의 분산은 정확한 pH 조절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pH 10에서 최적의 분산을 보였다. 안정제의 농도를 증가하는 경우 초기에는 평균입경이 감소하다 안정제의 농도가 1.67 wt%에서 최소 평균입경을 나타낸 후 증가하였다. 이는 과다한 안정제의 농도로 인한 반응매체 내에서의 이차반응과 이로 인한 입자간의 응집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안정제의 농도 증가에 따른 분자량은 안정제의 농도가 0.13 wt%에서 1.00 wt%의 사이에서는 일정하였으나, 안정제의 농도가 1.67 wt%를 초과하며 증가하였다. 이러한 분자량의 변화는 과다한 안정제로 인한 개시제의 활성 및 효율 저하, 그리고 반응매체 내에서의 이차반응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개시제의 농도 증가 및/혹은 반응온도의 증가는 반응속도와 입경을 증가시켰다. 그 결과, 소수성 실리카를 안정제로 하는 현탁중합반응에서 안정제의 농도, 개시제의 농도, PH 그리고 반응온도의 조절을 통하여 평균입경이 $1{\sim}20{\mu}m$ 영역에 포함되는 구형의 폴리스티렌 입자를 합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s}20cm$에 대해 $0.941{\pm}0.008,\;1.032{\pm}0.004,\;1.049{\pm}0.014$이다. 치료 계획용 시스템과 수 계산에 의한 MU값의 계산 비교결과 7개 기관의 값이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났다. 쐐기를 제외한 8가지 조건에서 계산된 평균 MU값들은 SAD 조건으로 출력 교정된 장비가 SSD 조건으로 교정된 장비에 비해 6 MV 광자선은 3 MU, 10 MV 광자선은 5 MU 정도 더 높았다. 쐐기를 사용할 경우 MU값은 Varian사 장비와 Siemens사의 장비에 따라 다르고 동일 각의 쐐기를 사용할 경우 Siemens사의 쐐기를 사용할 때 MU값이 크다. 결론: 수집된 광자선 빔 데이터를 분석하여 빔데이터의 정확성과 치료계획용 시스템의 계산 정확성을 대략적으로 점검 할 수 있는 기준 값을 제시하였다.동결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 이용된 OPS 동결 방법이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며 이 때가 최상의 교배 적기로 사료되며, 혈장 progesterone농도가 4.0 ng/ml 이상으로 증가한 날(Bay 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부터 CI는 혈장 estradiol-$17{\beta}$ peak 후 1일째인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CI peak 후 1일째인 Day 0에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최초로 4.0 ng/ml 이상으로 증가하여 CI가 90% 이상으로 지속된 시기가 최상의 교배 적기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혈장 progesterone농도 측정으로 정확한 배란 시기 및 교배 적기를 판정할 수 있으나, 시설비가 저렴하고 검사 방법이 간단한 질 세포 검사가 Shih-tzu 견에서 발정 주기, 교배

효소 및 미생물의 고정화에 관한 연구 제1보. 방사선조사에 의한 Glucose Oxidase의 고정화법 (Studies on the Immobilization of Enzymes and Microoganism Part 1. Immobilizing Method of Glucose Oxidase by Gamma Radiation)

  • Kim, Sung-Kih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8
    • /
    • 1979
  • 혈액 및 생체반응물질등에 함유된 미량의 glucose를 효소적으로 간편하게 측량하기 위하여 먼저 고가의 glucose oxidase를 고정화 시켰다. 전리 방사선조사에 의하여 이 효소를 쉽게 고정화 시킬수 있는 방법과 그 알맞는 조건 및 높은 잔여 활성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러가지 monomer 및 polymer의 combination 중에서 AA-Bis, NK ester 23G, 물 (1:1:2)에 가용성 효소 1ml를 고정화 시켰을 경우를 비롯하여 GOD의 잔여활성이 50%이상인 여러 monomer Combination 찾았다 2) Carrier의 방사선중합에 필요한 선량은 100 krad 이상 이였으나, 400~500krad가 적당하였고, solvent는 toluene, n-haxane, petoleum ether chloroform 등을 이용할 때 고정화된 GOD의 잔여 활성 및 이화학적 성장이 좋았다. 3) GOD 고정화에 이용될 수 있는 완충 용액은 tris-glycerol buffer (pH 7.0)가 phosphate (pH 7.0) 보다 높은 활성을 보여 주었다. 4) 고정화된 GOD의 최적 pH는 6.0~6.5 또 온도는 30~4$0^{\circ}C$로서 가용성 효소보다 작용범위가 넓었고, pH 및 온도의 변화도 완만하였다. The author acknowledges with gratitude financial assistance from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Vienna, Austria and also sincerely thanks Dr. K. Kawashima and his colleagues,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Tokyo, Iapan for encouragement and assist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