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chaete diversity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5초

Polychaete Taxocenes Variability Associated with Sediment Pollution Loading in the Peter the Great Bay (the East Sea/Japan Sea)

  • Belan Tatyana A.;Moschenko Alexander A.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0권1호
    • /
    • pp.1-10
    • /
    • 2005
  • Variations in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of polychaete taxocenes that occurred in 1980-1989 under different contamination levels of bottom sediments were studied in three areas of Peter the Great Bay. The most polluted area was shown to be the Golden Horn Inlet where contaminant contents in the bottom sediments exceed the threshold values of negative biota alterations. Amursky Bay is characterized by a moderate level of contamination, while Ussuriysky Bay has the lowest level of contamination. Pollutant contents vary considerably within the same areas and their separate patches are polluted differently. An integral index characterizing the contamination of bottom sediments is proposed. This index is an average grade of the rank value of contaminant contents in sediments. The index was used to compare the contamination level and data on polychaete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of polychaetes is found in the least affected zones. Monotonous decrease of the species number, as well as decrease in the indices of diversity and evenness, is correlated with pollution level increases. Significant growth of the average polychaete biomass and polychaete density is observed in the case of an increase of contamination from low to moderate levels. Conversely, the biomass and abundance of polychaetes decline following an increase in contamination.

2008년 3월 시화방조제 내측과 외측해역에서 저서다모류 군집구조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from Inshore and Offshore of Lake Shihwa (Korea) in March, 2008)

  • 정래홍;최민규;윤상필;이원찬;최희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6-64
    • /
    • 2012
  •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was investigated in 2008 from inshore and offshore of Lake Shihwa, Korea, in order to evaluate status of the benthic environment according to construction of the dike and the water gate. In the present study, the number of species, density, and diversity of polychaete community in insh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offshore. The density of polychaete community in offshore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species whereas the diversity in inshore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species. Dominant species in offshore were 13 species, higher than 1% of the total polychaete individuals. Heteromastus filiformis, known as the most dominant species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dike,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offshore, which collectively account for 54% of the total polychaete individuals. In inshore, the seven species were dominant, higher than 1% of the total individuals. Lumbrineris longifolia, Polydora sp., Capitella capitata,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known as pollution tolerant species, contributed to higher than 75% of the total individuals in inshore.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showed apparent difference in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between inshore and offshore, and also difference between inner sites and outer sites of inshore around the water gate. Sediment characteristics (total organic carbon and nitrogen, ignition loss, and acid volatile sulfide) measured in this study also supported to this result. Therefore, this indicates that the offshore provides better benthic environments for polychaete habitation than the inshore, and the inshore around the water gate shows improving benthic environment, compared to the inner inshore.

퇴적물 총유기탄소와 저서 다모류 군집을 이용한 패류양식장의 환경평가 기준설정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Assessment using Sediment Total Organic Carbon and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y in Shellfish Farms)

  • 조윤식;이원찬;김정배;홍석진;김형철;김청숙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30-43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패류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는 고성 자란만 22개 정점, 거제 한산만 15개 정점, 진해만 18개 정점에 대하여 계절별(2월, 5월, 8월, 11월)로 퇴적물 환경인자(화학적산소요구량, 강열감량, 산휘발성황화물, 총유기탄소)와 저서 다모류 인자(출현 종 수, 서식밀도, 다양도, 균등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총유기탄소와 저서 다모류 다양도간의 상관계수가 0.61로 가장 높고 유의한 상관성(P<0.01)을 보여, 어장환경평가를 위한 대표인자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두 인자간의 상관성에 의한 어장환경평가 기준 총유기탄소는 Peak Point 15 mg/g dry, Warning Point 26 mg/g dry, Contaminated Point 31 mg/g dry이었으며, 저서 다모류 다양도의 경우 H'${\geq}$2.6은 Good, 2.6>H'${\geq}$2.1은 Moderate, 2.1>H'${\geq}$1.2는 Poor, H'<1.2는 Bad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어장관리를 위한 환경기준 설정에 과학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韓國) 동남해역(東南海域)의 대륙붕(大陸棚)에 분포(分布)하는 다모류군집(多毛類群集) (The Polychaete Assemblages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 최진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69-183
    • /
    • 1989
  • 한국(韓國) 동남해역(東南海域)의 대륙란(大陸爛)에 서식(棲息)하는 다모류군집(多毛類群集)의 종류를 파악(把握)하고, 또한 이들 군집(群集)이 서식지(棲息地) 환경(環境)에 어떻게 적응, 서식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총80개 조사정점에서 채집된 다모류(多毛類)의 종류와 개체수의 자료로부터 집괴분석(集塊分析)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해역은 크게 연안역(沿岸域)과 외해역(外海域)으로 양분되었고, 8개의 다모류(多毛類) 군집(群集)이 구별되었다. 이질(泥質) 퇴적물(堆積物)이 우세한 연안역(沿岸域)에서는 Nothria holobranchiata 군집(群集)이 포항 근해역에, Magelona-Maldane 군집(群集), Ophelina acuminata 군집(群集), Nothria conchylega 군집(群集)이 연안해역의 남북방향으로 존재(存在)하였다. 이들 연안역(沿岸域)의 군집(群集)들은 종수가 적고 종다양성 지수도 낮았다. 외해역(外海域)에서는 이질퇴적물(泥質堆積物)로 구성된 대륙붕단에 Terebellides-Aglaophamus 군집(群集)이 존재(存在)하였고, 이사질(泥砂質)과 사질(砂質)이 우세한 지역에서는 Myriochele oculata 군집(群集), Spiophanes kroyeri 군집(群集) 및 Ninoe palmata 군집(群集)이 존재(存在)하였다. 외해역(外海域)의 군집(群集)들은 연안역(沿岸域)에 비해 종수나 종다양성이 높았으나, 평균서식밀도는 낮았다. 대부분의 우점종들은 그들의 식이형(食餌型)과 내장의 내용물로부터 특정 퇴적물(堆積物)에 높은 선호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동일 퇴적물(堆積物)에서의 다양한 군집(群集)의 존재(存在)는 수심과 수온이 저서(底棲) 다모류(多毛類)의 분포와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연구해역의 다모류군집(多毛類群集)은 퇴적물(堆積物)의 특성과 수심(水深) 또는 수온(水溫)에 따라 결정됨을 보여준다.

  • PDF

Two Species of the Genus Discorsopagurus (Malacostraca: Decapoda: Paguridae) New to Korea

  • Jung, Jibom;Kim, 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2호
    • /
    • pp.141-147
    • /
    • 2016
  • The genus Discorsopagurus and two species belonging to this genus, Discorsopagurus maclaughlinae and Discorsopagurus tubicola, are herein first reported in Korean waters. Species belonging to Discorsopagurus are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hermit crabs of the family Paguridae by their telsons that lack indentations and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straight abdomens, fused third and fourth abdominal tergites, and symmetrical uropods. Discorsopagurus maclaughlinae and D. tubicola were found to live in a tube made by a polychaete tubeworm. The two species differ in the shape of the posterior margin of the telson, the length of the pereopod, and the presence of setae on the antennal flagellum. Discorsopagurus tubicola is reported for the second time in the world. In this paper, there will be provided plates and descriptions of the two species.

DNA Barcoding of Boccardiella hamata (Annelida: Polychaeta: Spionidae) in South Korea

  • Lee, Geon Hyeok;Yoon, Seong Myeong;Min, Gi-Si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3호
    • /
    • pp.268-273
    • /
    • 2020
  • A spionid polychaete, Boccardiella hamata (Webster, 1879) has been found from mud in crevices between the shells of oysters and adherent substrates in South Korea. The sequences of mitochondrial DNA (mt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1), 16S ribosomal DNA (16S), and the nuclear 18S ribosomal DNA (18S) from Korean individuals of Boccardiella hamata were determined in the present study. The molecular analysis based on the 18S rRNA gene sequences showed clear separation among the spionid polychaete species, and the sequences of Korean and Japanese individuals are completely identical. The morphological diagnosis and photographs of B. hamata are also provided.

해상 가두리 양식이 저서 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Fish Farming on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 정래홍;윤상필;권정노;이재성;이원찬;구준호;김연정;오현택;홍석진;박성은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159-169
    • /
    • 2007
  • 가두리 양식으로 인해 과잉 공급된 유기물은 연안의 저서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주요인의 하나로 알려져 왔다. 이 연구는 2003년 6월과 8월 가두리 밀집해역인 통영연안의 두 양식장(A, B)에서 가두리 양식으로 인한 유기물 오염이 저서동물군집, 특히 저서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정도와 범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다모류가 저서동물 군집의 개체수 조성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 조사선에서 $81%{\sim}87%$로 매우 높았다. 가두리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다모류군집의 종 수, 밀도, 다양도 그리고 우점종의 분포 양상은 현격히 변하였다. 가두리로부터 10 m 이내에서는 유기물 오염지표종인 Capitella capitata가 우점하였으며, 종 수도 가장 낮아 군집이 유기물에 의해 심하게 교란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 capitata는 가두리 양식장의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지형학적으로 보다 은폐된 양식장 A에서 최대 $18,410\;ind.m^{-2}$의 고밀도 출현 양상을 보였으며, 두 양식장의 거리에 따른 개체밀도와 다양도 패턴의 전체적인 차이를 좌우하였다. C. capitata의 개체수가 급감한 10 m 지점 이후 15 m까지 구간에서는 종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런 종 수 및 밀도의 급격한 변화는 이 구간이 심한 유기물 오염 상태(highly polluted)에서 약한 유기물 오염 상태(slightly polluted)로 전환되는 추이점(ecotone point)임을 말해준다. $15{\sim}60m$ 구간에서는 종 수와 밀도의 추가적인 증가와 유지가 관찰되는 약한 유기물 오염 상태의 점이역(transitional zone)이 형성되었으며 군집의 주 구성원은 Lumbrineris longifolia, Aphelochaeta monilaris 등과 같은 잠재적 유기물 오염지시종들 이었다. K-우점도 곡선과 다차원 척도법의 결과도 앞의 군집변화와 일치하였다. 이 연구에서 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유기물 오염의 영향은 가두리로부터 떨어진 거리, 가두리가 위치한 해역의 지형학적 특성 및 가두리 양식장의 밀집도에 의해 좌우되었다.

가막만의 2005년과 2006년 동계 저서환경 및 대형저서다모류군집구조 (Benthic Environments and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in the winter of 2005-2006 in Gamak Bay, Korea)

  • 윤상필;김연정;정래홍;문창호;홍석진;이원찬;박종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1호
    • /
    • pp.67-82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한 환경개선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막만에서 저서환경과 대형다모류 군집구조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 조사는 2005년 2월과 2006년 2월 두 차례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생물학적, 무생물학적 변수들을 측정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측정된 총 10개의 환경변수 가운데 연간 차이가 유의하였던 변수는 용존산소(DO), 강열감량(IL), 그리고 산휘발성황화물(AVS)이었다. 특히, 강열감량은 2005년에 비해 2006년에 1.5배, 산 휘발성황화물은 3배 낮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북부내만역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저서다모류는 두 번의 조사에서 총 95종이 채집되었다. 출현종수, 개체 밀도, 그리고 다양도의 연도 간 변화 양상은 만 내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북부내만역에서는 2005년 보다 오히려 2006년에 더 적은 수의 다모류가 채집되었지만 일부 우점종의 우점도가 2006년에 현저히 감소함으로써 다양도는 증가하였다. 반면, 만의 중부역에서는 출현종수, 개체 밀도, 그리고 다양도가 2006년에 모두 증가하였다. 만의 입구역에서는 이러한 변수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2005년의 우점종은 기회종 또는 유기물 오염지표종으로 알려진 Lumbrineris longifolia, Capitella capitata, Mediomastus californiensis,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등으로 주로 북부내만역에 분포하였다. 한편, 2006년에는 Euchone alicaudata, L. longifolia, Paraprionospio pinnata, Flabelligeridae sp. 등이 우점하였으며 주로 만 중앙부에 분포하는 종들이 많았다. 전체자료에 대한 다변량 분석 결과, 저서다모류군집은 크게 5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이는 채집 정점의 지리적 위치 그리고 북부내만역 정점들에서 관찰된 2005년과 2006년 사이의 변화가 반영된 결과였다. BIO-ENV 분석을 통해 저서다모류군집의 시 공간적 구조 변화와 연관성이 가장 높은 환경변수를 알아본 결과, 단일변수로는 총유기탄소(TOC; ${\rho}=0.52$), 산휘발성황화물(${\rho}=0.49$) 등이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총유기탄소, 산휘발성황화물, 분급도, 그리고 수온의 조합(${\rho}=0.60$)이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가막만의 저서환경 및 저서다모류군집에 대한 연간 비교 결과는 최근의 집중적인 환경개선 노력이 만 전반에 걸쳐 그리고 특히 북부내만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한 매립과 준설공사 기간중 저서 다모류 군집의 공간 및 계절 변화 (Spatial and Seasonal Patterns of Polychaete Community During the Reclamation and Dredging Activitie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ohang Steel Mill Company in Kwangyang Bay, Korea)

  • 정래홍;홍재상;이재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30-743
    • /
    • 1997
  • 본 연구는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해 매립과 준설이 행해지고 있던 시기인 1983년 8월과 1984년 2월에 이와 같은 대규모의 환경교란이 다모류 군집 구조 및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여름철의 다모류 군집은 총 76종이 출현하였으며, 평균밀도는 $342\;ind.{\cdot}m^{-2}$, 겨울철에는 76종, $437\;ind.{\cdot}m^{-2}$의 밀도를 보였다. 종수 및 밀도의 지역적인 분포 양상은 섬진강 하구역에서는 낮은 종수와 다양도, 수로지역에서는 높은 출현종수와 다양도, 그리고 묘도 서쪽 내만역에 서는 종수, 다양도, 밀도 모두가 중간정도의 값을 기록했다. 하계 다모류군집의 집괴분석 결과 5개의 정점군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이런 결과는 광양만에서의 다모류 군집이 섬진강에서 유입되는 담수 및 퇴적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겨울철 군집의 분석 결과는 하계와는 다소 상이 한 결과를 보였다. 우점종의 조성에 있어서도 1982년도의 조사시 (Choi and Koh, 1984) 우점종이던 Lagis bocki와 Chone teres가 다모류군집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한 반면 본 조사시에는 Glycinde gurjanovae와 Heteromastus filiformis의 개체군은 점차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Shin and Koh (1990)와 Jung et al. (1995)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광양만에서 행해진 대규모의 매립 및 준설은 저서 다모류군집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본 조사기간 동안에는 저서다모류 군집이 서서히 변해가는 과정중의 중간단계에 처해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easonal Dynamics of Marine Benthic Communities in Intertidal Zone of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Yoo, Jong-Su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519-528
    • /
    • 2003
  •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benthic community were studied in the intertidal zone of Jijindo Island, Gwangyang Bay. A total of 85 species of benthic marine plants including the 5 Cyanophyta, 9 Chlorophyta, 13 Phaeophyta, 56 Rhodophyta and 2 Magnoliophyta that were listed. The community structure was represented by Gelidium divaricatum in the upper zone, Celidium divalicatum and Ulva pertusa in the middle, and Ulva pertusa, Chondria crassicaulis, Chondracanthus intermedia and Sargassum thunbergii in the lower intertidal zone. The dominant species in the rnscro-zoobenthic community were Chthamalux challengeri in the upper and middle, Littorina brevicula between the upper and middle, and Mytilus edulis and Crassostrea gigas in the middle and lower intertidal zones. The economic benthic organisms such as Undaria pinnatifida, Mytilus edulis, and Crassostrea gigas found in the lower intertidal zone were frequently disturbed due to their collection by local resid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rd the correct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se cases.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estimated kom different sources were quite different. They were 2.22 derived from frequency, 1.67 based on coverage, 2.17 based on sum of frequency and coverage and 2.04 derived from importance value. Species diversity and number of algal species in Gwangyang Bay have noticeab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ir previously reported status. It is estimated that their decreases were caused by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especially pertaining to the polychaete community resulting from reclamation and dredging activity undertaken for the industrial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