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lychaete Assemblages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한국(韓國) 동남해역(東南海域)의 대륙붕(大陸棚)에 분포(分布)하는 다모류군집(多毛類群集)

  • Choi, Jin Woo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oh, Chul Hwan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1988.07.18
  • Accepted : 1988.12.21
  • Published : 1988.12.01

Abstract

Polychaete assemblages and their responses to habitat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in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two regions, one including the shallow coastal region and the other the offshore region. The shallow coastal region sustained 4 polychaete assemblages: Nothria holobranchiata assemblage in the most northern part of fine sediments off Pohang, Magelona-Maldane assemblage off Gampo, Ophelina acuminata assemblage in the middle coastal area off Ulsan, Nothria conchylega assemblage in the south part off Pusan. These coastal polychaete assemblages contained less than 10 species per station and showed very low species diversity (H' = 1.22-1.52). The offshore also contained 4 assemblages: Terebellides-Aglaophamus assemblage in the northern and deep area of very fine sediments, Myriochele oculata and Spiophanes kroyeri assemblages in the central area of sandy bottoms, and Ninoe palmata assemblage in the southern offshore of sandy bottom. The offshore assemblages showed rather more species and higher diversity than coastal assemblages (H' = 1.90-2.26). The offshore region consisting of sandy sediment showed very low population densities. Some dominant species showed specific preference to sediment types and this phenomenon could be detected through their feeding modes. Depth or bottom temperature seems to be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most dominant worms. Thus the polychaete assemblages of the study area are found to be under the control of both a gradient of sedimentary properties and that of bottom temperature.

한국(韓國) 동남해역(東南海域)의 대륙란(大陸爛)에 서식(棲息)하는 다모류군집(多毛類群集)의 종류를 파악(把握)하고, 또한 이들 군집(群集)이 서식지(棲息地) 환경(環境)에 어떻게 적응, 서식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총80개 조사정점에서 채집된 다모류(多毛類)의 종류와 개체수의 자료로부터 집괴분석(集塊分析)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해역은 크게 연안역(沿岸域)과 외해역(外海域)으로 양분되었고, 8개의 다모류(多毛類) 군집(群集)이 구별되었다. 이질(泥質) 퇴적물(堆積物)이 우세한 연안역(沿岸域)에서는 Nothria holobranchiata 군집(群集)이 포항 근해역에, Magelona-Maldane 군집(群集), Ophelina acuminata 군집(群集), Nothria conchylega 군집(群集)이 연안해역의 남북방향으로 존재(存在)하였다. 이들 연안역(沿岸域)의 군집(群集)들은 종수가 적고 종다양성 지수도 낮았다. 외해역(外海域)에서는 이질퇴적물(泥質堆積物)로 구성된 대륙붕단에 Terebellides-Aglaophamus 군집(群集)이 존재(存在)하였고, 이사질(泥砂質)과 사질(砂質)이 우세한 지역에서는 Myriochele oculata 군집(群集), Spiophanes kroyeri 군집(群集) 및 Ninoe palmata 군집(群集)이 존재(存在)하였다. 외해역(外海域)의 군집(群集)들은 연안역(沿岸域)에 비해 종수나 종다양성이 높았으나, 평균서식밀도는 낮았다. 대부분의 우점종들은 그들의 식이형(食餌型)과 내장의 내용물로부터 특정 퇴적물(堆積物)에 높은 선호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동일 퇴적물(堆積物)에서의 다양한 군집(群集)의 존재(存在)는 수심과 수온이 저서(底棲) 다모류(多毛類)의 분포와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연구해역의 다모류군집(多毛類群集)은 퇴적물(堆積物)의 특성과 수심(水深) 또는 수온(水溫)에 따라 결정됨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