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l-lactide)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5초

광학이성질체를 이용한 폴리락타이드 혼합물의 가수분해성 조절 (Control of Hydrolytic Degradation of Polylactide Mixtures Using Optical Isomers)

  • 이원기
    • 폴리머
    • /
    • 제36권3호
    • /
    • pp.309-314
    • /
    • 2012
  • 생분해성 폴리락타이드의 분해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d$-lactide와 $l$-lactide의 함량을 달리하여 다양한 stereochemical PLAs를 개환중합으로 합성하고 Langmuir 단분자막 장치를 이용하여 알칼리 분해속도를 측정하였다. 알칼리 수용액상에서 혼합 단분자막의 분해속도를 각 혼합고분자의 광학적 순도(100, 99, 97, 95%)의 항으로 측정하였다. 스테레오 콤플렉스에 기인하는 혼합물의 용융온도는 혼합물 성분의 광학적 순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분해거동은 100% 광학적 순도를 가진 혼합물은 각 단일중합체보다 느린 분해속도를 나타내는 반면 다른 혼합물들은 2단계의 분해거동을 나타내었는데 1단계에서는 콤플렉스를 형성하지 않은 부분에서의 분해로 단일중합체에 비해 빠른 분해속도를 나타내었고 2단계에서는 100% 광학적 순도를 가진 혼합물과 유사하게 느린 분해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폴리락타이드의 stereochemistry와 스테레오 콤플렉스를 이용하여 알칼리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co-L-락타이드) 공중합체의 합성 및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MethoxyPoly(ethylene glycol)-Poly$(\varepsilon-caprolactone-co-L-lactide)$ Block Copolymers)

  • 현훈;조영호;정성찬;이봉;김문석;강길선;이해방
    • 폴리머
    • /
    • 제30권1호
    • /
    • pp.28-34
    • /
    • 2006
  •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과 카프로락톤(CL)과 L-락타이드(LA)로 구성된 MPEG-PCLA 블록공중합체의 단량체를 다양한 비율로 $Sn(Oct)_2$의 존재 하에서 개환중합을 통해 합성하였다. MPEG-PCLA 블록공중합체의 특성은 $^1H-NMR$, GPC, DSC 그리고 XRD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동역학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Sn(Oct)_2$의 존재 하에서 MPEG-PCLA 블록공중합체의 중합 시 중합시간, 온도, 첨가하는 촉매의 양을 달리하면서 중합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10\;^{\circ}C$의 중합온도와 첨가하는 촉매의 양은 개시제 대비 1.2배의 경우에서 가장 높은 중합률을 보였다. 또한 합성된 블록공중합체의 수용액상에서의 시간에 따른 생분해 거동은 GPC를 이용한 분자량 분포의 비교를 통해 측정하였다. 합성된 블록공중합체의 생분해 거동을 측정한 결과 MPEG-PCLA 블록공중합체의 L-락타이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생분해성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MPEG-PCLA 블록공중합체의 $Sn(Oct)_2$의 존재 하에서 개환중합을 실시함에 있어 다양한 중합조건에 따른 중합속도를 확인하였으며 MPEG-PCLA 블록공중합체는 PCLA 블록의 PCL 대비 PLA의 함량 비율에 따라 생분해 기간을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DNA가 봉입된 Poly(D,L-lactic-co-glycolic acid) 미립구의 제조 및 시험관내 방출 (Preparation and In Vitro Release of DNA-Loaded Poly(D,L-lactic-co-glycolic acid) Microspheres)

  • 손혜정;김진석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69-73
    • /
    • 2005
  •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의 주요 단점인 낮은 transfection 효율에 기인한 반복투여 등을 극복하기 위하여 poly (D,L-lactide-co-glycolide)를 이용하여 DNA가 봉입된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pDNA 그 자체 또는 여러 비율의 키토산/pDNA 복합체를 사용하여 봉입하였고, 그 결과 44%(pDNA 그 자체), 5%(0.7:1 미토산/pDNA 복합체), 그리고 8%(1:1 키토산/pDNA 복합체)의 봉입효율을 나타내었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본 표면구조에서는 미립구 제조 직후에서는 매우 매끈한 구형을 보이다가 제조 후 41일 경에는 찌그러진 다공성의 구조를 보였는데 이는 미립구 제조에 사용한 poly(D,L-lactic-co-glycolic acid)(PLGA) 고분자의 분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관내 방출실험에서는 0.7:1 키토산/pDNA 복합체를 사용한 미립구에서 47%의 pDNA가 26일만에 방출된데 반해, pDNA 그 자체 혹은 1:1 키토산/pDNA 복합체를 사용한 미립구에서는 각각 15% 혹은 32%의 pDNA 방출을 나타내었다.

생분해성 고분자 코팅이 담관용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의 분해 속도와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degradable Polymer Coating on the Corrosion Rat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iliary Magnesium Alloy Stents)

  • 김현욱;이우일;송기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1호
    • /
    • pp.36-43
    • /
    • 2020
  • 생분해성 금속인 마그네슘 합금 와이어를 이용하여 담관용 스텐트를 제작하였다. 생체 내에서 마그네슘 합금의 문제점인 빠른 분해 및 부식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그네슘 합금 와이어를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caprolactone (PCL), poly(propylene carbonate) (PPC), poly(L-lactic acid) (PLLA),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등으로 코팅하였다. 표면분해가 이루어지는 고분자인 PPC의 경우는 전분해 거동을 보이는 다른 고분자들(PCL, PLLA, PLGA)에 비해 크랙이나 박리가 없어 가장 효율적으로 마그네슘 와이어의 분해 속도를 지연시켰다.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 코팅이 마그네슘 합금 스텐트의 기계적 물성인 축 방향 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생분해성 고분자(PCL, PLLA, PLGA)로 코팅된 스텐트는 코팅되지 않은 스텐트에 비해 축 방향의 힘이 증가하여 스텐트의 유연성을 감소시켰으나, PPC로 코팅된 스텐트는 코팅되지 않은 스텐트와 비슷한 축 방향의 힘을 나타내 스텐트의 유연성을 감소시키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PC가 가장 효율적인 생분해성 고분자로 판단된다.

Evaluation of In Vitro Release Profiles of Fentanyl-Loaded PLGA Oligomer Microspheres

  • Gilson Khang;Seo, Sun-Ah;Park, Hak-Soo;John M. Rhee;Lee, Hai-Ba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0권5호
    • /
    • pp.246-252
    • /
    • 2002
  • In order to the development of the delivery device of long-acting local anesthetics for postoperative analgesia and control of chronic pain of cancer patient, fentnyl-loaded poly (L-lactide-co-glycolido) (PLGA, molecular weight, 5,000 g/mole; 50 : 50 mole ratio by lactide to glycolide) microspheres (FMS) were studied. FMS were prepared by an emulsion solvent-evaporation method. The influence of several preparation parameters such as initial drug loading, PLGA concentration, emulsifier concentration, oil phase volume, and fabrication temperature has been investigated on the fentanyl release profiles. Generally, the drug showed the biphasic release patterns, with an initial diffusion followed by a lag period before the onset of the degradation phase, but there was no lag time in our system. Fentanyl was slowly released from FMS over 10 days in vitro with a quasi-zero order property. The release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drug loading as well as decreasing polymer concentration with relatively small initial burst effect. From the results, FMS may be a good formulation to deliver the anesthetic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Bending and Compressive Properties of Crystallized TCP/PLLA Composites

  • Kobayashi, Satoshi;Sakamoto, Kazuki
    •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 /
    • 제18권3호
    • /
    • pp.287-295
    • /
    • 2009
  • $\beta$-Tricalcium phosphate ($\beta$-TCP) particles reinforced bioresorbable plastics poly-L-lactide (PLLA) composites were prepared by injection molding. The nominal weight ratio of $\beta$-TCP was selected as 5, 10 and 15%. In order to clarify effects of the PLLA crystallinit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specimens were heat treated isothermally. Results of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indicated that the PLLA crystallin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Bending and compressive tests were conducted on the specimen with different $\beta$-TCP contents and crystallin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bending and compressive moduli increased with increasing $\beta$-TCP contents and crystallinity. On the other hand, bending strength decreased with increasing $\beta$-TCP contents. Maximum bending strength was obtained at the heat treatment of $70^{\circ}C$ for 24 h, whereas compressive 0.2% proof strength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This difference is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the microscopic damages.

Poly(l-lactide) membranes with biomimetic nanolayer for bone induction for tissue regeneration

  • Chung , Ji-Eun;Lee, Jue-Yeon;Kim, Kyung-Hwa;Baek, Hyun-Jin;Ku , Young;Chung, Chong-Pyung;Lee, Seung-Ji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26.2-226.2
    • /
    • 2003
  • .The healing of a bone defect is complex, and involves a wide range of cellular, molecular, physiolog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The main effect of bone substitute is to promote wound healing by induce cell proliferation. Bone defect sites usually are localized below the original bone surface; therefore, space production and maintenance between the membrane and the original bone surface is essential. As a result, membranes must have proper mechanical strength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soft tissue and maintain wound space that permits membranes of poly (L-lactide) (PLLA) were fabricated to provide and maintain sufficient space for bone growth. (omitted)

  • PDF

Characterization of Poly(ethylene oxide)-b-Poly(L-lactide) Block Copolymer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 Jeongmin Hong;Donghyun Cho;Taihyun Chang;Shim, Woo-Sun;Lee, Doo-Su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5호
    • /
    • pp.341-346
    • /
    • 2003
  • A poly(ethylene oxide)-b-poly(L-lactide) diblock copolymer (PEO-b-PLLA) is characterized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and a block length distribution map is constructed. Although the MALDI- TOF mass spectrum of PEO-b-PLLA is very complicated, most of the polymer species were identified by isolating the overlapped isotope patterns and by fitting the overlapped peaks to the Schulz-Zimm distribution function. Reconstructed MALDI-TOF MS spectrum was nearly identical to the measured spectrum and this method shows its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n easy and fast analysis method of low molecular weight block copolymers.

pH-Induced Micellization of Biodegradable Block Copolymers Containing Sulfamethazine

  • Shim, Woo-Sun;Lee, Jae-Sung;Lee, Doo-Su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344-351
    • /
    • 2005
  • pH-sensitive block copolymers were synthesized by coupling reaction of sulfamethazine and amphiphilic diblock copolymer, and their micellization-demicellization behavior was investigated. Sulfamethazine (SM), a derivative of sulfonamide, was introduced as a pH responsive moiety while methoxy poly(ethylene glycol)poly(D,L-lactide) (MPEG-PDLLA) and methoxy poly(ethylene glycol)-poly($D,L-lactide-co-{\varepsilon}-caprolactone$) (MPEG-PCLA) were used as biodegradable amphiphilic diblock copolymers. After the sulfamethazine was carboxylated by the reaction with succinic anhydride, the diblock copolymer was conjugated with sulfamethazine by coupling reaction in the presence of DCC.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and mean diameter of the micelles were examined at various pH conditions through fluorescence spectroscopy, dynamic light scatter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or MPEG-PDLLA-SM and MPEG-PCLA-SM solutions, the pH-dependent micellization-demicellization was achieved within a narrow pH band, which was not observed in the MPEG-PDLLA and MPEG-PCLA solutions. The micelle showed a spherical morphology and had a very narrow size distribution. This pH-sensitive block copolymer shows potential as a site-targeted drug carrier.

입자 크기 측정을 통한 생분해성 나노입자의 시간에 따른 분산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Biodegradable Nanoparticle with Time via Particle Size Measurement)

  • 조국영;임진형;박정기;이기석
    • 폴리머
    • /
    • 제32권3호
    • /
    • pp.246-25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분해성 고분자의 종류와 제조조건에 따른 나노입자의 분산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산란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D,L-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단독과 폴리(L-락타이드)와의 블렌드, 그리고 폴리(L-락타이em)-g-폴리(에틸렌 글리콜)과의 블렌드, 세 종류를 개선된 자발적 에멀션/용매 확산 방법을 이용하여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조건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서는 나노입자의 제조시에 대표적인 분산 안정제인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사용 유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간이 진행함에 따라 분산 안정제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서는 나노입자의 분해와 분해를 통해 붕괴된 입자의 응집에 의하여 입자의 크기가 bimodal 분포를 나타내었다. 나노입자가 분산된 수용액에 단백질 용액을 투입한 경우에는 분산 안정제인 PVA의 사용 유무에 의해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PVA가 분산 안정성에 크게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낮은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그래프트 고분자를 미량 블렌드함에 따라 입자의 단백질 흡착에 대한 분산 안정성은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1일 정도 분산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부터 일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