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tical

검색결과 4,538건 처리시간 0.028초

정치 유튜버의 공신력 속성이 콘텐츠 태도와 유권자의 정치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urce Credibility of Political Youtubers on Voters' Attitude toward Contents and Political Decision Making)

  • 김하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563-574
    • /
    • 2022
  • 본 연구는 정치정보원이 다양화되면서 그동안 설득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정보원의 속성을 정치 콘텐츠를 노출시키는 정치 유튜버에 적용해 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남녀 326명을 대상으로 국내 여론조사 기관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정치 유튜버의 유사성, 카리스마, 전문성의 순으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콘텐츠를 통해 노출되는 정치인/정당에 대한 태도에는 정치 유튜버의 친숙성, 카리스마, 유사성, 매력성, 신뢰성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유튜브를 통해 노출되는 정치콘텐츠의 경우 콘텐츠에 대한 태도와 그 콘텐츠에 등장하는 정치인/정당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콘텐츠에 대한 태도는 정치인/정당에 대한 태도와 이들에 대한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간호대학생의 정치효능감과 간호전문직관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litical effica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nursing students)

  • 우정희;하지연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63-27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nursing students who, as they become future leaders in the nursing field, will need to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health policy decision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web-based questionnaires answered by 157 nursing students between March 13 and 27, 2023. Thos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political participation was 2.77±0.70 out of 5 points. Political particip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olitical efficacy (r=.48,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27, p<.001). Furthermore, sex (female) and political efficacy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on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nursing students, which explained it with 24.0% power. Conclusion: Providing timely nursi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enhancing political efficacy, which could promote political participation among nursing students.

Democratization and Politics of Trasformismo : Explaining the 1990 Three-Party Merger in South Korea

  • Kwon, Hyeokyong
    • 분석과 대안
    • /
    • 제1권2호
    • /
    • pp.2-12
    • /
    • 2017
  • Research on democratic transitions has relatively ignored the question of why some countries experience a regressive form of political pacts, while others do not. This paper develops a simple game-theoretic model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collusive pacts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Trasformismo is a term that refers to a system of political exchange based on informal clientelistic politics. The existing studies of the politics of trasformismo have emphasized the timing of industrialization and the tradition of strong state as conditions of the politics of trasformismo. However, not every late industrializers and not every strong states experienced some variants of collusive political pacts in their trajectories of democratization. In this paper, I contend that the politics of trasformismo is rather a generalizable pattern of political elites' behavior under particular circumstances. By developing a simple game theoretic model, this paper suggests the conditions under which political actors are likely to collude to a regressive form of political pacts. The model shows that the likelihood of collusion to a regressive form of political pacts is a function of a set of parameters. First, a higher level of incumbency advantage in electoral competition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a higher probability of collusive political pacts. Second, a higher degree of the monopoly of political representation of political parties without a close link with a variety of societal forces is likely to induce collusive behavior among politicians. Third, the ruling party leader's expectations about the likelihood of a safe extrication are related to collusive political pacts. This paper then engages in a case study of the 1990 three-party merger in South Korea. The 1990 Korean case is interesting in that the ruling party created a new party after having merged with two opposition parties. This case can be considered a result of political maneuver in a context of democratization. The case study suggests the empirical relevance of the game-theoretic model. As the game of trasformismo and the case study of the 1990 three-party merger in South Korea have shown, the collusive political pact was neither determined by a certain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nor by a particular cultural systems. Rather, it was a product of the art of trasformismo based on party leaders' rational calculations of the expected likelihood of taking governing power.

  • PDF

종합편성채널 저널리즘의 비판적 재조명 시사토크쇼 정치 매개 엘리트들의 텔레비전 정치 (A Critical Review on the Comprehensive Cable TV Channels' Journalism Focused on the TV Politics of Political Mediating Elites in Current Affairs Talk Show)

  • 이영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7권
    • /
    • pp.36-72
    • /
    • 2016
  • 정치적 산물로서 출범한 지 5년을 넘어선 종합편성채널의 영향력과 방송 영역에서의 지위가 상승하고 있다. 종편의 안정화는 저널리즘의 물량 공세에 기초한다.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쏟아 내는 뉴스와 시사토론 프로그램들이 '종편 타임대'라 불리는 오후 시간대를 점유한다. 시사토크쇼는 종편이 만들어 낸 대표적인 프로그램 형식이자 상품으로 독특한 종편 스타일 저널리즘을 이끌고 있다. 시사토크쇼의 주인공은 평론과 토론을 위해 모인 출연자들이다. 이 연구는 이들을 정치 매개 엘리트라는 개념적 위치화와 함께 TV조선, 채널A, MBN, JTBC의 대표적인 시사토크쇼에서 이들이 벌이는 텔레비전 정치의 풍경들을 살펴본다. 이 연구는 종편의 시청률을 상승시키고 시청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시사토크쇼에서 정치 매개 엘리트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편향성과 감정을 과감하게 드러내고 독특한 규정과 서술적 발화들을 통해 특정 대상들을 형상화하는 텔레비전 정치의 효과들을 읽어 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출연자로 불리는 정치 매개 엘리트들은 주로 극우, 보수, 중도보수적 정치 성향들을 가지며, 특정한 정당이나 정치 집단과 밀착된 관계를 형성한다. 정치 매개 엘리트들은 종편 시사토크쇼에서 수행하는 텔레비전 정치를 통해 대중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자산을 확보하면서 정치 집단과 정치적 교환 혹은 거래 관계를 형성한다. 이 같은 정치적 동원, 교환, 거래의 관계 속에 종편의 시사토크쇼가 위치하며, 시사토크쇼는 정치적 전장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이 연구는 강조한다.

  • PDF

정치엔터테인먼트 시청이 정치대화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와 정치정보효능감의 매개 효과 (The Effects of Political Entertainment Viewing on Political Talk Mediating Roles of Audience Involvement and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 권오주;민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3권
    • /
    • pp.7-34
    • /
    • 2015
  • 이 연구는 제 18대 대통령 선거를 전후로 대중화된 정치엔터테인먼트가 시민들 간의 정치대화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특히 정치엔터테인먼트 시청이 정치대화를 촉진할 수 있는 심리적 매개 요인으로 수용자 관여도와 정치정보효능감을 제시했으며, 등장인물과의 동일시와 준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내용에 대한 몰입 등을 관여도의 하위 차원들로 고려했다. 총 3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중 해당 프로그램 시청 경험이 있는 273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엔터테인먼트 포맷 위에 정치 메시지를 얹는 오락성이 강한 프로그램만이 시청자의 동일시와 몰입 수준을 높였으며, 이 중 동일시 경험은 정치지식에 대한 효능감을 증진시켰다. 나아가 이용자의 정치정보효능감은 정치대화 참여의사와 정치적 이견에 대한 경청의사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정치엔터테인먼트 시청이 동일시와 효능감을 매개로 정치대화나 이견경청에 미치는 간접적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정치엔터테인먼트 시청은 정치정보효능감을 매개로 정치대화에 대한 참여적인 태도를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튜브 정치성향에 따른 선택적 노출이 온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태도극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lective Exposure of Political Orientation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 Polarization)

  • 이민규;김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61-272
    • /
    • 2022
  •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자 420명을 대상으로 정치성향의 선택적 노출과 태도극화 및 온라인 정치참여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선택적 노출과 온라인 정치참여 관계에서 태도극화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선택적 노출은 태도극화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적 노출은 온라인 정치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도극화는 온라인 정치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도극화는 선택적 노출과 온라인 정치참여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유튜브 정치동영상에 대한 선택적 노출은 태도극화와 온라인 정치참여를 높이고 선택적 노출에 의해 태도극화가 강화될수록 온라인 정치참여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패션 디자인을 통한 정치·사회적 발언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ement through Fashion Design)

  • 고현진
    • 복식
    • /
    • 제62권5호
    • /
    • pp.108-12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ements through fashion design, by comparing with more activated statements in the general design area. To achieve this, the documentary study and practical case study have been executed. First of all, the meaning of design politics was defined and the cases of design practice of political and social statements were reviewed and classified historically. Traditionally, designs have been inextricably linked with political authorities and ideologies. As propaganda, it has been used for power authority to seize power and maintain dominance. On the contrary, they could be an instrument to resist and criticize against contemporary power authority and dominant. Next,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ements were traced historically through fashion design on the basis of the two previously reviewed categories. And then, comparing political and social statements between design and fashion design, the contents and ways of their expressions were similar. In design, there were more various ways when the designers were leading collective behavior, but in fashion design, there were more leading voices of socio-political organizations and resistant counter culture groups. Now, new trends are rising constantly where individual designers' creations express many different socio-political beliefs. This study which inquires designers' political and social involvement will be helpful in making people rethink the social role of fashion design and encouraging conscious fashion design activism.

MZ세대의 공동체 의식이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뉴스리터러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Z Generation Sense of Community on Political Efficacy : Focusing on the News Literacy Mediation Effect)

  • 김진희;김남숙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89-10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news liter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political efficac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MZ gener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data from 309 ca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nse of community, political efficacy, and news literac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news literacy sub factor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political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olitical efficacy as sense of community increas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news literacy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ews literacy as sense of community increased. Fourth,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ws literacy and political efficacy, it was confirmed that news liter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olitical efficacy.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political efficacy, news literacy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political efficacy of the MZ gener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news literacy education is required from the perspective of civic education, and differentiated educational contents by age are proposed.

정치적 신뢰 변화의 원인과 결과: 이론적 쟁점 (Theoretical Perspectives on the Causes and Effects of Political Trust)

  • 최준영
    • 의정연구
    • /
    • 제15권1호
    • /
    • pp.65-92
    • /
    • 2009
  • 정치적 신뢰란 정부가 자신이 기대한 바대로 결과물을 산출하고 있는지에 대한 국민들의 주관적 인식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정치적 신뢰의 내생적(endogenous) 측면과 외생적(exogenous)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정치적 신뢰가 어떤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또 어떤 정치적 결과를 만들어 내고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치적 신뢰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부정책, 정치인의 비윤리적 행태, 국민들의 참여민주주의적 성향,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왜곡된 이해, 정치문화에 초점을 맞추어 각각의 요인들이 어떻게 정치적 신뢰를 변하게 만드는지 살펴본다. 또한 정부의 통치능력, 선거결과, 정치충원, 정부정책의 방향성의 측면에서 정치적 신뢰가 정치과정에 어떠한 결과를 만들어내는지를 알아본다.

Witty or wicked? The predictors and impact of agreement with user-generated political satires

  • Chen, Chi-Ying;Chang, Shao-Li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8권3호
    • /
    • pp.25-30
    • /
    • 2016
  • User-generated content (UGC) satirizing the presidential candidates was widespread during the 2016 election in Taiwan. Using an experimental design, this study explored the predictors of viewer agreement to satirical UGC, and its influence on viewer attitudes towards candidates after watching the satirical videos from YouTub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agreement with the satirical UGC was predicted by their political cynicism and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but not by candidate favorability. Watching the UGC satirizing the presidential candidates effected the favorability toward the male candidates but not the female candidate. In addition, the evidence suggested that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satirical UGC is related to political information efficacy, but not with political cynicism or candidate favor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