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e Box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5초

파출소 이미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in Image of Police Box)

  • 이정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9호
    • /
    • pp.116-126
    • /
    • 1996
  • Modern society has achieved rapid growth in economy and materials whereas it caused such problems as municipal extension and high density of population, Due to rapid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it became more complicated and multifarious than ever it before. Helping the people all kinds of routine affairs police box is giving a negative image to the citizens, for its environment doesn't have got rid of its old fashion . It's being an unharmonious factor to its surroundings, a solution is needed. So, this study is focused on recognizing the change of value system with the flow of time, planning a new image of police box for the change and in consequence recovering the trustworthy between people and the nation. For this ,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and through space-dividing and design corresponding to it, the plan is provided to make a pleasant interior environment of police box and to make it a symbol of local societ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will have the police box not only as an office providing the locals with security and service but also as eyes of the country which watches the municipal environment.

  • PDF

A study on Causes and Improvements of the Police Corruption

  • Kim, Tae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70-78
    • /
    • 2021
  • It is true that the police have been faithful to the role of the regime's sewer and committed many disruptions and errors, and have been criticized and criticized by the public. It should now be the foundation of the democratic police and an organization supported by the people. The problem is that the quality, personality, and values of 130,000 police officers should be changed and should be in line with the spirit of the times. One of the theories of police corruption is the "rotten apple hypothesis." The theory is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entire police force will be corrupted, as if the defective apple in the apple box is rotten and the whole apple is rotten, without filtering out potential corrupt police officers during the recruitment phase. In other words, the cause of corruption is based on personal flaw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auses of police corrup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that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national security are usually armed with ethics and good conduct. The police should be trusted by the people and need a stronger prescription for police corrupt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solve the corruption problem of police officials, analyze anti-corruption, and find out what are the desirable countermeasures. The main study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irst tried to collect data through research on corruption-related literature.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related papers of police corruption and government reports. Second, police corruption theory and anti-corruption alternatives were analyzed. It was reviewed focusing on the theory of corruption or translated data. Third, a literature survey was analyzed to examine the National Police Agency's perception of police corruption. Based on these research methods, we tried to derive the desirable control measures for the hypothesis of police corruption. This study is believed to have contributed to supporting the organizational corruption and culture of the apple box, including the personality of the individual's values, which is a rotten apple theory of police corruption.

서울 경찰(警察)의 방범체제(防犯體制) 개선(改善)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rime Prevention System Improvement of Seoul Metropolitan Police)

  • 이상원
    • 시큐리티연구
    • /
    • 제1호
    • /
    • pp.175-208
    • /
    • 1997
  • I study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roblem of the crime prevention system of two seoul police station. that is operated on the unit of police box, and present the new improvement. Stragic and active is the new crime prevention system that introduces a concept of community oriented policing, the tendency of a developed country police. I present a medium - sized police station where 250${\sim}$300 policemen work. It consist of a patrol division, a community division and a administration support division. The chief of police bears the responsibility only for crime prevention service by concentrating on pure Patrol - centered crime prevention activity and community relation activity. Next I present a police inspector system. The most important on this paper is the community policing officer system that a policeman bears responsibility on district apart from a patrol division and support a police service related community. To be operated these systems effectively, these need to be regulated according to a police distinct, a police purpose and it's demand. Also a scale, function, authority of a existing. Police station must be regulated and the police training must be carried out.

  • PDF

범죄GIS를 통한 지구대의 위치분석 (A Study on Demonstrating the Propriety of the Location for Police for Jigudea(police box) by Crime GIS Analysis)

  • 황초희;서용철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57-36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monstrate the propriety of the locations of the Jigudea(police boxes) through time and spatial analysis. The study area was limited to BusanJingu of Busan city which includes Seo-myeon district; the biggest downtown in Busan city. In this case, monthly crime position occurrence number of times by time analysis, criminal occurrence number of times and the position have some similarities. In case of Jigudea(police boxes) which handle crime, throngs were piled up. The other case of position which crime, there is no Jigudea(police boxes) in group or two were situated. As a result, it is required that Jigudea(police boxes) in Jin-gu should be rearranged and relocated properly.

  • PDF

지역경찰관서 설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ce Station for Adoption of Local Police System)

  • 박찬혁;정의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536-543
    • /
    • 2018
  • 2003년 자치경찰제 도입으로 탄생한 순찰지구대는 지역경찰관서의 설치와 인력에 변화를 주었다. "경찰법"에 따르면 경찰서장 소속으로 지구대 또는 파출소를 두고, 그 설치기준은 치안수요 교통 지리 등 관할구역의 특성을 고려하도록 되어 있다. "경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상 지역경찰관서의 설치권한은 지방경찰청장에게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동법 시행규칙의 지구대 및 파출소 설치기준을 살펴보면, 경찰서장의 소관사무를 분장하기 위해 지구대를 두고, 교통 지리적 원격지로 인접 경찰관서에서의 출동이 용이하지 아니한 경우, 관할구역 안에 국가중요시설 등 특별한 경계가 요구되는 시설이 있는 경우, 휴전선 인근 등 보안상 취약지역을 관할하는 경우 등에 해당하는 경우 파출소를 둘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기준들이 현재 원칙에 따라 적용되는지 여부, 그리고 자치경찰제 도입을 앞둔 시점에서 적절한 기준인지여부 등에는 의문이 남는다. 현재 전국의 지역경찰관서들의 현황을 살펴보면 이러한 기준들이 원칙에 따라 적용되었다고 보기 힘든 실정이다. 더욱이 획일적인 기준을 전국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은 자치경찰시대를 앞둔 시점에서 부적절해 보인다. 순찰지구대 도입이후, 편성과 인력배치는 담당구역의 광역화로 인한 순찰활동의 곤란, 지역주민과의 관계 약화, 농촌지역 치안서비스 질 저하, 범죄두려움의 증가 등의 비판을 받았다. 따라서 이 논문은 법의 획일적 적용, 지역사회 치안환경에 대한 특성 미반영, 조직구성원에 대한 배려와 소통 부족 그리고 경찰활동 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자치경찰제를 대비한 지역사회 특성이 반영된 기준과 법령 제시, 치안수요자인 지역주민의 의견 반영 그리고 일선경찰관의 의견수렴 과정 등을 제시하였다.

제주자치경찰 시스템의 실태와 발전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ity and Improvement of Autonomous Police System in Jeju Special Self-Government Province)

  • 조철옥
    • 시큐리티연구
    • /
    • 제14호
    • /
    • pp.485-516
    • /
    • 2007
  • 자치경찰 제도의 도입 목적은 지역여건에 적합한 치안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창설 1년을 바로 눈앞에 둔 제주자치경찰은 형식상으로는 지방분권이나 정부개혁의 업적이라고 주장되기도 하나 실제로는 독자적인 자치경찰인지 국가경찰의 보조기관인지 구분이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따라서 제주자치경찰은 국가경찰과의 업무협약을 통해서 업무와 관할의 범위를 약정할 수밖에 없고, 약정의 결과 그 관할은 제주국제공항과 관광지 등 극히 제한적이다. 또한 제주자치경찰은 산림, 환경 등을 수사하는 특별사법경찰관리로 규정되어 일반범죄에 관한 수사권이 없다. 특별사법경찰관리의 관할범죄에 대해서는 긴급체포권이 인정되지만, 일반형사범에 대해서는 긴급체포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특별사법경찰의 관할범죄에 관한 수사권이 인정되고 "경범죄처벌법"과 "도로교통법"에 의한 통고처분은 할 수 있으나 유치장 운영조차 할 수 없고 즉결심판청구권이 없다. 국가는 자치경찰 사무가 지방사무라는 이유로 자치경찰에 대한 국가예산지원에 소극적이어서 정원으로 책정된 인력을 신규채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첫째, 제주 자치경찰 제도가 지역여건에 적합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적으로 독자적이고 자율적인 자치경찰 제도인가를 자치경찰 이념형을 도출하고 이를 배경으로 하여 제주자치경찰의 실태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둘째, 2006년 7월 1일 창립된 후 약 1년 동안의 제주자치경찰의 직무수행과 관련된 다양한 실태분석을 통해 미래의 발전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제주자치경찰 발전 모델은 자치경찰 시스템의 이념형을 기준으로 한 구조개혁, 합리적인 수사권 배분, 자치경찰 예산분담의 합리화, 그리고 특별사법경찰 관할 범죄수사기법의 개발과 전문화의 측면에서 접근된다.

  • PDF

고령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건강의 조절효과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Depression of Elderly Police Officers and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Health)

  • 전병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03-4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령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 관계에서 조직건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충북 지역의 지구대와 파출소에 근무하는 경찰공무원 360명이며, 50세를 기준으로 2개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연구에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 수준은 '50세 이상' 경찰공무원 집단이 '50세 미만'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두 집단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요인의 영향력은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 경찰공무원은 조직건강의 구조영역, 직무스트레스, 조직건강의 관리자 리더십, 건강상태, 근무기간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50세 미만' 경찰공무원은 경찰관 능력, 직무스트레스, 관리자 리더십, 건강상태, 근무지역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조직건강의 조절효과는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 경찰공무원은 조직건강의 구조 및 관리자 리더십 영역, '50세 미만' 경찰공무원은 조직건강의 관리자 리더십 및 경찰관 능력 영역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을 감소하고,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에서 경찰공무원의 인사정책을 재정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블랙박스 기법을 이용한 교통사고 분석 (Traffic Accident Analysis using Blackbox Technique)

  • 홍유식;김천식;윤병주;조영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5권 제2호
    • /
    • pp.452-455
    • /
    • 2005
  • 교통사고를 재현하기 위해서는, 블랙박스를 이용해서 교통사고 전의 30초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해야 된다. 블랙박스 장치는 충돌 교통사고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고, 사고전후에 미리 정의한 기한동안에 차량동의 그리고 운전사 기동을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뺑소니운전자를 붙잡는 것은 쉽지 않다. 왜냐하면, 2시간 또는 3 시간 후에는, 범인이 증거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통사고 현장에서 뺑소니 운전자를 검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조적 질문 언어 서버와 한 부속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의 지문 인식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Fingerprint Cognition System Based on Embedded LINUX)

  • 배은대;김정하;남부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385-387
    • /
    • 2004
  •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 fingerprint cognition system based on the embedded Linux. The proposed algorithm in this paper use the wavelet transform to derive the special feature vector from the captured fingerprint and a probabilistic neural network is used to compare the feature vectors for the fingerprints. The system consists of server PC based on the Linux and the client based on the embedded Linux. The client is a Tynux box-x board using the PXA-255 CPU. For the acquisition of the fingerprint image, we use d the AS-S2 semiconductor sensor. The system is likely to be used to develop a police inspection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