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Depression of Elderly Police Officers and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Health

고령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건강의 조절효과

  • 전병주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5.07.17
  • Accepted : 2015.08.31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n the depression conducted with 360 police officers working at police station branch and police box in Chungbuk area,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based on the age of 50 in order to analyze the buffering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group older than 50 and younger than 50 were 3.22 and 2.90 respectively showing that in the group older than 50 were significantly higher.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pression were shown to be similar for each group, bu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ir influence of each group.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pression in the group older than 50 were shown in the order of organizational structure, job stress, readership.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pression in the group younger than 50 were shown in the order of job stress, police officers ability, readership.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buffer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health were identified to be different in each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ways were suggested to prevent or ease the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police officers.

본 연구에서는 고령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 관계에서 조직건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충북 지역의 지구대와 파출소에 근무하는 경찰공무원 360명이며, 50세를 기준으로 2개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연구에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 수준은 '50세 이상' 경찰공무원 집단이 '50세 미만'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두 집단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요인의 영향력은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 경찰공무원은 조직건강의 구조영역, 직무스트레스, 조직건강의 관리자 리더십, 건강상태, 근무기간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50세 미만' 경찰공무원은 경찰관 능력, 직무스트레스, 관리자 리더십, 건강상태, 근무지역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조직건강의 조절효과는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 경찰공무원은 조직건강의 구조 및 관리자 리더십 영역, '50세 미만' 경찰공무원은 조직건강의 관리자 리더십 및 경찰관 능력 영역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을 감소하고,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에서 경찰공무원의 인사정책을 재정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 지구대 및 파출소 근무자 현황, 서울: 경찰청, 2014.
  2. 최성락, 박경래, "경찰공무원의 연령별 인적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44권, pp.335-362, 2011.
  3. 박찬석, "재난대응조직 연령 구성비 변화 추이분석 및 구성원의 현장 활동 한계연령 도출,"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제10권, 제3호, pp.466-480, 2014. https://doi.org/10.15683/KOSDI.2014.10.3.466
  4. 엄태순, 김현실,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제34권, pp.135-158, 2013.
  5. 경찰청, 경찰공무원 자살현황(2008-2013), 서울:경찰청, 2014.
  6. T. Cox and L. Howarth, "Organizational health, culture and helping," Work Stress, Vol.4, No.2, pp.107-110, 1990. https://doi.org/10.1080/02678379008256972
  7. 윤종건, "학교조직건강 진단검사 제작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2권, 제2호, pp.469-483, 2004.
  8. W. K. Hoy and A. E. Woolfolk,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Elementary School Journal, Vol.93, No.4, pp.355-372, 1993. https://doi.org/10.1086/461729
  9. 손영주, 송영아, 최은영,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제16권, 제3호, pp.225-231, 2008.
  10. 전병주,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수준 및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직렬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168-179, 2014.
  11. 박기관,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제22권, pp.171-202, 2008.
  12. 김종선, 황성원, "해양경찰의 조직문화 진단과 분석," 경찰학논총, 제7권, 제2호, pp.493-520, 2012.
  13. 한유미, 김연하, "보육시설의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제62권, pp.79-96, 2010.
  14. 문유석,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영향요인," 지방정부연구, 제14권, 제4호, pp.41-60, 2010.
  15. L. S. Radloff, "The CES-D scale,"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 pp.385-401, 1977.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16. 전겸구, 이민규,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1권, 제1호, pp.65-76, 1992.
  17. 이용재, "사회복지조직의 비전공유와 가치일치가 종사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748-75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748
  18. M. J. Withey and W. H. Cooper, "Predicting exit, voice, loyalty and neglec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4, pp.521-539, 1989. https://doi.org/10.2307/2393565
  19. 김정은, 유규창, "건강한 조직의 의미와 조직건강의 통합관점,"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제5호, pp.2641-2673, 2011.
  20. 이병도, 이창한, 문준섭,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위험성 인지수준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경찰학회보, 제4권, 제1호, pp.61-77, 2014.
  21. 신재은, 김영진, 신강현, 경기도 사회복지종사자 및 사회복지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소진 극복방안기초연구, 경기: 경기복지재단, 2011.
  22. 최선우, "경찰조직의 진단과 건강성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44권, pp.305-334, 2011.
  23. 이종목, 직무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전략, 전남:전남대학교 출판부, 2008.
  24. 이강호, "호텔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우울감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7권, 제3호, pp.111-129, 2010.
  25. 남기섭, 유병주, "직무불안정성 지각과 정신적 건강 및 조직성과와의 관계," 대한경영학회지, 제20권, 제1호, pp.65-85, 2007.
  26. 이환범, 이수창, 나경엽, "경찰공무원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 연구," 한국지역혁신논집, 제3권, 제2호 pp.95-115, 2008.
  27. 김태곤, "조직문화에 대한 일선경찰관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제7권, 제1호, pp.107-125, 2010.

Cited by

  1. Exploration of people centric organizational health dimensions: a study of Indian R&D organization pp.0019-7858, 2018, https://doi.org/10.1108/ICT-04-2018-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