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ocamium telfairia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참곱슬이(Plocamium telfairiae)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Growth-inhibitory Effects of the Plocamium telfairiae Extracts on Cancer Cells)

  • 김주영;황지환;차미란;최병대;최선욱;박해룡;황용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59-663
    • /
    • 2006
  • 해조류로부터 항암활성을 가지는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홍조해조류의 하나인 참곱슬이를 용매별 추출한 후,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연구하였다. 참곱슬이를 이용하여 대장암 세포주 HT-29에 대해 methanol, ethanol 및 acetone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모두 농도에 의존적으로 성장저해 효과가 나타났고, 그 중에서도 methanol 추출물에서는 50 mg/ml 농도 처리 시 12% 이하의 생존률을 보이는 가장 강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HT-29 암세포 성장에 대한 현미경 관찰 결과 methanol 추출물은 대조구에 비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정도와 세포의 수축등 형태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활성이 좋은 methanol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 중 n-hexane과 diethyl ether 분획물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n-hexane 분획물이 HT-29 세포주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n-hexane 분획물에 대한 여러 인체 암세포주에 대해 항암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HT-29와 같은 대장암 유래의 세포주 SW620, 자궁경부암 세포 HeLa 및 유방암세포 MCF-7에 대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확인한 결과, 3종의 암세포주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암활성을 보임에 따라 참곱슬이에 여러 인체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가지는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남해안 돌산도의 해조 II 조하대 해조군락의 구조 (Benthic Marine Algal of Dolsan-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I Structure of Algal Communities of Subtidal Zone)

  • 손철현;이인규;강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9-388
    • /
    • 1983
  • 본 조사는 전남 여천군 돌산읍 죽포리 두문포의 조하대 해조군락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1982년 6월 부터 1983년 5월 까지 연간 계절별로 SCUBA 잠수에 의해 채집된 자료를 분석하므로 수행되었다. 조하대의 수직분포는 sheltered 지역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상부, 중부, 하부의 3개 구역으로 나누어지며, 상부는 Ulva pertusa, Codium fragile, Chondria crassicaulis, Gigartina tenera의 녹조, 홍조류, 중부는 Myagropsis myagroides와 Sargassum tortile의 대형갈조류, 하부는 Plocamium telfairiae, Callophyllis japonica, Symphyocladia linearis의 홍조류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Normal association analysis를 통한 군락분석결과 이 지역 해조군락은 9개의 group으로 나누어지고, 각 group의 우점종은 각각 Sargassum tortile, Myagropsis myagroides, Chondrin crassicaulis, Codium fragile, Pterocladia tenuis, Gigartina tenera, Gracilaria textorii등이었고 이 지역의 해중림을 조성하는 대표적 종은 Myagropsis myagroides와 Sargassum tortile 이었다. 한편, Myagropsis myagroides의 현존량은 $50{\times}50cm$당 봄철에 5,248g, 여름에는 650.4g, 가을에는747.6g이었고, 평균체장은 봄부터 가을까지 계절별로 각각 169.9cm, 48,4cm, 149.9cm여서 생식이 끝난 직후인 봄철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소멸기인 여름에 최소치를 나타냈다.

  • PDF

제주 가파도 해역의 조하대 해조상 및 군집구조의 연간 변동 (Annual Variation of Macro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Subtidal Zone at Gapado Island, Jeju, Korea)

  • 김보연;한송헌;이승종;고준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79-87
    • /
    • 2024
  • We seasonally examined marine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s in the subtidal zones at Gapado Island, Jeju, Korea, from February 2013 to November 2019. A total of 164 macro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5 green, 40 brown, and 109 red algae. Species richness ranged from 54-106 species, with the maximum observed in 2013 and the minimum observed in 2015. Cladophora wrightiana var. minor, Ecklonia cava, Amphiroa anceps, Corallina aberrans, Corallina crassisima, Synarthrophyton chejuense, Sonderophycus capensis and Plocamium telfairiae occurred in all seasons. The average annual seaweed biomass was 1,258.22 g wet wt./m2, ranging from 917.51 g/m2 in 2017 to 1,551.95 g/m2 in 2014. E. cav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ccounting for 46.57% of the total seaweed biomass. The subdominant species were P. telfairiae and A. anceps, comprising 8.64% (108.75 g/m2) and 6.65% (83.61 g/m2) of the total biomass, respectivel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ubtidal seaweeds were represented by E. cava and P. telfairiae at 5-20 m, A. anceps at 10-20 m, C. aberrans and C. crassisima at 5 m and C. wrightiana var. minor at 10 m.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groups: group A (2014-2018), group B (2019) and group C (2013),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nual seaweed community.

동해안 울진 연안 조하대 저서 해조류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Subtitdal Marine Algae at Uljin on theEast Coast of Korea)

  • 최창근;곽석남;손철현
    • ALGAE
    • /
    • 제21권4호
    • /
    • pp.463-470
    • /
    • 2006
  • Studies have been made of the species composition and variation of benthic marine algae at subtidal zone of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Destructive method was employed to measure biomass over four seasons (2000-2002). Of 87 marine algae species identified, 11 were Chlorophyta, 29 were Phaeophyta and 47 were Rhodophyta.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Ulva pertusa,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sum piluliferum in summer, Laminaria religiosa, Sargassum fulvellum and Gigartina tenella in autumn, Codium fragile,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horneri, S. piluliferum and S. ringgoldianum in winter, and Undaria pinnatifida, Dictyopteris divaricata, Sargassum confusum and S. horneri in spring. In general, green algae (Ulva pertusa, Codium fragile) and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fulvellum, S. horneri, S. piluliferum) appeared predominantly in the 3, 6 m depths and red algae (Gelidium amansii, Plocamium telfairiae) in the 9, 12 m depths. The barren ground of the rocky shore might provide the decrease of benthic marine algae biomass and species.

한국연안 해조류 생물량의 연간 변동 양상: 제주도 문섬지역 (Temporal Variations of Seaweed Biomass in Korean Coasts: Munseom, Jeju Island)

  • 고영욱;성건희;이창호;김현희;최동문;고용덕;이욱재;고형범;옥정현;정익교;김정하
    • ALGAE
    • /
    • 제23권4호
    • /
    • pp.295-300
    • /
    • 2008
  • Seaweed biomass was estimated using a nondestructive method in the rocky subtidal zones in Munseom, Jeju Island, Korea from July 2006 to April 2008. Seasonal samplings were done at the depth of 1, 5, 10 m using 50 x 50 cm quadrat. Mean biomass was comprised of 2,784 g wet wt m$^{-2}$ and the biomass values varied seasonally from 1,176 g wet wt m$^{-2}$ to 4,217 g wet wt m$^{-2}$ with the highest point in April. Biomass reached maximum at 5 m depth in spring, but was shifted to 10 m depth in summer. Common seaweeds appeared year round in Munseom were Codium minus, Ecklonia cava, Sargassum spp., articulated corallines and Plocamium telfairiae. Among them, E. cava showed the highest biomass (average of 1,288 g wet wt m$^{-2}$), comprising 4% of total biomass. Only 12 species’' biomass covered 98% of total value, which indicated the contribution of few common species to algal community. Seaweed biomass in Munseom represented one of the highest values in coastal regions in Korea.

동해안 춘·하계 조하대 해조군집의 생태학적 평가 (Ecological Evaluation of the Spring and Summer Subtidal Marine Algal Communitie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 한수진;김영윤;김현정;황철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1007-1016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distribution patterns of subtidal marine algal communitie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from 2016 to 2017, and recorded the coverage ratio (%) by the algal type. During the study period, 134 marine algae species (16 green, 29 brown, and 89 red) were identified at the survey sites. The maximum number of species was observed at the Nagok site (70 species), and the minimum at the Gisamoon site (50 species). The total average biomass (dry weight) during the survey period was 66.22 g/m2, including green algae (2.19 g/m2), brown algae (38.10 g/m2), and red algae (25.94 g/m2). The dominant seaweeds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based on coverage rates (%) were Sargassum yezoense and Dictyopteris divaricata at the upper, Symphyocladia latiuscula and Undaria pinnatifida at the middle, and Agarum clathratum subsp. yakishiriense and Plocamium telfairiae at the lower sections of the distribution. Richness, evenness, and diversity index, calculated based on the biomass of the abundant species, were estimated to be 6.36, 0.55, and 1.98, respectively, over the entire sea area.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states using community indices, the ecological evaluation index (EEI-c) of subtidal marine algal communitie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was marked as 'good-moderate'.

우리나라 전국연안해역에서 저서 와편모조류의 출현 및 분포현황에 대한 첫 보고 (First Report for Appearanc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Epiphytic Dinoflagellates in the Korean Peninsula)

  • 백승호
    • 환경생물
    • /
    • 제30권4호
    • /
    • pp.355-361
    • /
    • 2012
  • 우리나라 전국연안에서 해조류에 부착한 저서성 부착 맹독와편모조류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2011년 11월 25일에서 30일 사이 조사하였다. 해조류에 부착하는 맹독와편모조류 Gambierdiscus spp.는 전국 27개 정점 중 5개 정점[St. 6 (전남고흥군), St. 9 (경남남해군), St. 18 (경북 포항시 구룡포), St. 20 (경북 영덕), St. 26 (강원도 양양)]에서 출현하였다. Ostreopsis spp.는 3개 정점의 해조류[St. 11 (잎꼬시래기, 붉은까막살, 애기풀가사리), St. 18 (진두발, 마디잘록이, 참곱슬이), St. 21 (붉은까막살, 마디잘록이, 큰잎모자반)]에서 출현하였으며, 그중, 정점 18에서는 극히 높은 개체수(140 cells $g^{-1}$)가 관찰되었다. Prorocentrum lima는 서해와 남해안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았으나, 동해해역 대부분의 정점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Coolia spp.는 서해와 남해안에서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으나, 동해해역 일부 정점에서 극히 낮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결과적으로 아열대성 저서 와편모조류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연안해역 (동해를 중심으로)에 정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그들의 개체수 밀도는 해조류의 기질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동해안 천연 해조장의 군집구조와 분포 특성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Natural Seaweed Beds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박규진;주현;최옥인;최창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8-346
    • /
    • 2017
  • 이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12월까지 우리나라 동해안에 위치한 강릉, 울진, 부산 일대에서 천연 해조장 및 서식환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해조류는 총 96종이었으며, 분류군별로는 녹조류 9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4종이었다. 강릉의 경우, 미끈뼈대그물말(D. divaricata)이 정점별로 $173.2{\sim}613.8g\;m^{-2}$로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였고, 가는보라색우무(S. linearis)가 $360.8{\sim}520.4g\;m^{-2}$, 미역(U. pinnatifida)이 $25.9{\sim}470.8g\;m^{-2}$로 생물량이 높았다. 울진에서는 참곱슬이(P. telfairiae)가 $5.5{\sim}256.2g\;m^{-2}$, 구멍쇠미역(A. clathratum)이 $46.8{\sim}241.5g\;m^{-2}$로 생물량이 높았다. 부산에서 높은 생물량을 보인 해조류는 큰잎모자반(S. coreanum)으로 $388.1{\sim}6,972.4g\;m^{-2}$였고, 감태(E. cava)도 $194.9{\sim}958.5g\;m^{-2}$로 다른 해조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생물량을 나타냈다. 생체량 비율의 경우, 강릉에서 0.0 ~ 55.5 %로 평균 19.2 %를 나타내 울진과 부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울진에서는 36.8 ~ 73.3 %으로 평균 63.8 %를 보였으며, 부산은 평균 48.5 %였다. 갯녹음 비율은 강릉에서 평균 46.7 %의 비율을 나타냈고, 울진에서는 평균 91.1 %의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이번 연구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조식성 동물의 밀도는 강릉에서 평균 6.0 개체/$m^2$로 분석되었고, 울진에서는 7.0 개체/$m^2$를 나타냈으며 부산에서 2.0 개체/$m^2$로 전체 지역 중에서 가장 낮은 조식성 동물 밀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종조성, 출현비율, 밀도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 해안개발 등에 의한 물리적, 화학적 오염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