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eryngii mycelia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커피박 첨가에 의한 새송이버섯 균사체의 생육 및 생리활성 증가 (Enhancement of Growth and Bioactivity of Pleurotus eryngii Mycelia by Spent Coffee Ground)

  • 최장원;신동일;박희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157-163
    • /
    • 2012
  • 새송이버섯(Pleurotus eryngii)은 인기 있는 식용버섯 중의 하나로서 항산화, 항암 또는 면역조절 기능 등의 인체에 유익한 생리활성 기능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새송이버섯 균사체 배양 시 커피음료 생산과정으로부터 폐기되는 커피박(spent coffee ground: SCG) 첨가에 의한 균사체의 생장과 기능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SCG(1-10%, w/v) 첨가 시 생장속도가 상당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1% SCG 첨가 시 무첨가에 비해 건조중량이 2.5배 증가함으로써 SCG가 탁월한 새송이버섯 균사체의 생장촉진제 기능이 제시되었다. SCG 첨가에 의하여 균사체의 polysaccharide 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나 polyphenol량 및 항산화능의 증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로 제조한 발효두부 추출물의 면역 활성 (Immuno-Activities of Extracts of Tofu Fermented with Pleurotus eryngii Mycelia)

  • 이상원;강종우;김재용;박경욱;박석규;주옥수;이성태;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5-30
    • /
    • 2010
  • 두부의 기능성 및 저장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두부를 제조하여 물과 메탄올로 추출하여 면역세포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를 배양하기 위한 최적 배지는 PD broth 배지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큰타리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두부의 최적 발효기간은 7일 정도가 적당하였다.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한 두부의 물 및 메탄올추출물은 $0.01 {\mu}g/mL$ 농도 이상에서 비장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은 IL-6, IFN-$\gamma$ 분비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두부 물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대식세포의 일산화질소 생산을 $1 {\mu}g/mL$ 농도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은 $10 {\mu}g/mL$ 농도 이상에서 그 생산을 증가시켰다. 발효두부 추출물들은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IL-6, TNF-$\alpha$, IL-1$\beta$ 및 GM-CSF 분비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따라서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두부는 기능성 두부로 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큰느타리버섯 균사체의 생육촉진을 위한 Pseudomonas sp. P7014으로부터 옥신 확인 (Identification of Auxin from Pseudomonas sp. P7014 for the Rapid Growth of Pleurotus eryngii Mycelium)

  • 강영민;조계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5-21
    • /
    • 2014
  • Pseudomonas sp. P7014 박테리아를 통한 큰느타리버섯 균사체의 생육촉진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박테리아 배양액으로 부터 분리한 ethyl acetate 분획물(F5)에는 성장촉진물질(GPC)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TLC, HPLC, NMR 및 MS/MS분석법으로 확인한 바, indole acetic acid (IAA)로 확인되었다.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는 성장촉진물질(GPC)이 첨가된 PDA와 PDB 배지에서 빠른 성장을 보였다. 성장촉진물질(GPC)의 농도는 1.0 nM로 매우 낮았지만, 확인된 tryptophan은 IAA의 전구체로써 IAA가 아민화된 형태였다. 이들 결과는 박테리아에서 분비된 성장촉진물질(GPC)은 IAA이었고 큰느타리버섯 균사체의 생육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큰느타리버섯에서 석충 페리틴 단백질 유전자의 발현 최적화 및 생물학적 활성 (Optimization of the Expression of the Ferritin Protein Gene in Pleurotus eryngii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우연정;오시윤;최장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59-371
    • /
    • 2019
  • 큰느타리버섯에서 철 저장과 관련된 페리틴 단백질의 발현 및 분비를 최적화하기 위해, T-Fer 벡터에 EcoRI 및 HindIII처리를 해 페리틴 유전자를 얻은 후, BamHI으로 처리된 선형의 pPEVPR1b 분비 벡터에 클로닝하여pPEVPR1b-Fer 재조합 벡터를 구축한 다음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로 도입하였다.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방법에 의해 Pleurotus eryngii로 형질전환하고 kanamycin함유된 MCM 배지에서 올바른 형질전환체를 선별하였고, 단백질 발현은 SDS-PAGE 및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페리틴 단백질의 분비 발현은 batch culture 및 20 L airlift type fermenter에서 배양 시간 및 온도와 같은 배양 조건에 의해 최적화되었다. 페리틴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은 MCM 배지에서 25℃ 및 8 일 배양에 의해 최적화되었다. 페리틴 단백질의 양은 정량적 단백질 분석에 의해 2.4 mg/g mycelium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PR1b (32 amino acid)의 분비서열은 큰느타리버섯 내부의 peptidase에 의해 정확하게 processing되지 않았지만, 페리틴 단백질은 균사체에서 최대로 전체단백질의 24.7% 발현되었고, 배양액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철 결합 활성은 7.5% non-denaturing gel에서 Perls' staining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다량체 페리틴(24 subunits)이 P. eryngii 균사체에서 형성되었음을 보여준다. 생물학적 활성 측정을 위하여 페리틴을 함유한 분말을 제조하여 육계의 사료 첨가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시험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페리틴은 육계의 성장을 촉진하고 사료 효율 및 생산 지수를 향상시키는것으로 확인되었다.

Fungicide Sensi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Cobweb Disease on a Pleurotus eryngii Mushroom Crop Caused by Cladobotryum mycophilum

  • Kim, Min Keun;Seuk, Su Won;Lee, Young Han;Kim, Hye Ran;Cho, Kye M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1호
    • /
    • pp.82-89
    • /
    • 2014
  • In 2009-2010, unusual symptoms were observed on Pleurotus eryngii grown in mushroom farms in Gyeongnam Province, Republic of Korea. One of the main symptoms was a cobweb-like growth of fungal mycelia over the surface of the mushroom. The colonies on the surface rapidly overwhelmed the mushrooms and developed several spores within 3-4 days. The colonized surface turned pale brown or yellow. The fruit body eventually turned dark brown and became rancid. Koch's postulates were completed by spraying and spotting using isolated strains. The phylogenetic tree obtained from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the isolated fungal pathogen corresponded to Cladobotryum mycophilum (99.5%). In the fungicide sensitivity tests, the $ED_{50}$ values for the isolate with respect to benomyl and carbendazim were from 0.29 to 0.31 ppm. Benzimidazole fungicides were most effective against C. mycophilum, a causal agent of cobweb disease in P. eryngii.

버섯류의 원형질체 나출을 위한 고효율 효소 선발 (Selection of High Efficient Enzyme for Protoplasts Isolation from Mushrooms)

  • 김종군;김진희;공원식;강희완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1-24
    • /
    • 2010
  • 현재 시판되고 있는 세포벽 분해 효소 중 cellulase onozuka R-10(Yakult Honsha, Japan), yatalase(Takara), $Glucanex^R$ 200G(Novo Industry, Denmark)를 조합하여 Flammulina velutipes를 대상으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선발하고, 선발된 방법을 Pleurotus ostreatus, P. eryngii, Hypsizygus marmoreus에 적용하였다. F. velutipes의 포자, 셀로판지에 배양한 균사, homogenizer로 마쇄한 균사체를 대상으로 공시한 세포벽 분해효소를 단독 혹은 조합하여 처리하였다. 그 결과, 포자현탁액이나 셀로판지에 배양한 균사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homogenizer로 마쇄한 균사체를 사용하는 것이 높은 수율로 원형질체를 분리할 수 있었다. 또한 시험에 사용한 효소 중선발된 $Glucanex^R$ 200G와 cellulase onozuka R-10 효소의 혼합 처리에서 고효율의 원형질체가 분리되었다. 분리된 원형질체를 대상으로 재생률을 조사한 결과, 0.39~0.51% 범위의 재생률을 나타내었다

Isolation of Bacteria Associated with the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 Lim, Yun-Jung;Ryu, Jae-San;Shi, Shanliang;Noh, Won;Kim, Eon-Mi;Le, Quy Yang;Lee, Hyun-Sook;Ro, Hyeon-Su
    • Mycobiology
    • /
    • 제36권1호
    • /
    • pp.13-18
    • /
    • 2008
  • Eight distinct bacteria were isolated form diseased mycelia of the edible mushroom, Pleurotus eryngii. 16S rDNA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the isolates belonged to a variety of bacterial genera including Bacillus (LBS5), Enterobacter (LBS1), Sphingomonas (LBS8 and LBS10), Staphylococcus (LBS3, LBS4 and LBS9) and Moraxella (LBS6). Among them, 4 bacterial isolates including LBS1, LBS4, LBS5, and LBS9 evidenced growth inhibitory activity on the mushroom mycelia. The inhibitory activity on the growth of the mushroom fruiting bodies was evaluated by the treatment of the bacterial culture broth or the heat-treated cell-free supernatant of the broth. The treatment of the culture broths or the cell-free supernatants of LBS4 or LBS9 completely inhibited the formation of the fruiting body, thereby suggesting that the inhibitory agent is a heat-stable compound. In the case of LBS5, only the bacterial cell-containing culture broth was capable of inhibiting the formation of the fruiting body, whereas the cell-free supernatant did not, which suggests that an inhibitory agent generated by LBS5 is a protein or a heat-labile chemical compound, potentially a fungal cell wall-degrading enzyme. The culture broth of LBS1 was not inhibitory. However, its cell-free supernatant was capable of inhibiting the formation of fruiting bodies. This indicates that LBS1 may produce an inhibitory heat-stable chemical compound which is readily degraded by its own secreted enzyme.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를 증식시킨 콩을 첨가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Soybeans Cultured by Mycelia of Pleurotus eryngii)

  • 이가순;김홍규;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038-1044
    • /
    • 2006
  •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를 증식시킨 콩을 첨가하여 버섯의 맛과 성분이 첨가된 기능성 두부를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버섯균사체가 증식된 콩의 성분 중 단백질 및 회분의 함량은 43.23 및 6.34%로 일반 콩의 40.42 및 5.90%에 비하여 높았고 지질과 총당의 함량은 낮았으며 무기질 중 Mg과 Ca의 함량은 높았고 P의 함량은 낮았다. 균사체를 증식시킨 콩을 일반 콩에 대하여 25% 첨가 시까지는 두부제조가 가능하였으나 30% 이상 첨가 시부터는 성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균사체를 증식시킨 콩의 첨가비율에 따라 제조한 두부 조직내부의 초미세구조를 촬영한 결과 버섯균사체를 증식시킨 콩의 첨가량이 높은 두부에서는 다당체간의 응집반응으로 거대분자가 만들어져서 단백질의 응고조직 간에 공극이 커져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5{\sim}10%$ 첨가 시 두부의 수율이 약 $1.5{\sim}3.7%$ 증가하였다. 두부의 물리적 특성은 균사체를 증식시킨 콩을 20% 첨가 시까지는 첨가량이 클수록 두부의 hardness가 증가하였고 cohesiveness, chewiness, springiness 및 gumminess 등은 $5{\sim}10%$ 첨가 시에 무첨가구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두부제조 시 버섯균사체를 증식시킨 콩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버섯향이 진하다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기호도면에서 $5{\sim}15%$ 첨가하였을 때 버섯 향 및 전체적인 맛에 대한 기호도가 무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농산부산물과 버섯 수확 후 배지가 구름버섯의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ricultural and spent mushroom substrate on the mycelial growth of Trametes versicolor)

  • 장현유;문부경;서금희;이용국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24
    • /
    • 2017
  • 표고, 느타리, 큰느타리, 팽이, 노루궁뎅이 수확 후 배지에 균사 생장과 밀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서 균사 생장이 72 mm/20일이나 처리구에서 느타리 수확 후 배지 고춧대에서 73 mm/20일로 대조구보다 우수하였다. 균사 밀도도 대조구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농산부산물 배지이용 버섯 균사생장과 밀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 균사 생장이 74 mm/20일, 고춧대에서 101 mm/20일로 대조구보다 우수하였다.

Molecular Markers for Detecting a Wide Range of Trichoderma spp. that Might Potentially Cause Green Mold in Pleurotus eryngii

  • Lee, Song Hee;Jung, Hwa Jin;Hong, Seung-Beom;Choi, Jong In;Ryu, Jae-San
    • Mycobiology
    • /
    • 제48권4호
    • /
    • pp.313-320
    • /
    • 2020
  • In Pleurotus sp., green mold, which is considered a major epidemic, is caused by several Trichoderma species. To develop a rapid molecular marker specific for Trichoderma spp. that potentially cause green mold, eleven Trichoderma species were collected from mushroom farms and the 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 A dominant fungal isolate from a green mold-infected substrate was identified as Trichoderma pleuroticola based on the sequences of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tef1) genes. In artificial inoculation tests, all Trichoderma spp., including T. atroviride, T. cf. virens, T. citrinoviride, T. harzianum, T. koningii, T. longibrachiatum, T. pleurotum, and T. pleuroticola, showed pathogenicity to some extent, and the observed symptoms were soaked mycelia with a red-brown pigment and retarded mycelium regeneration. A molecular marker was developed for the rapid detection of wide range of Trichoderma spp. based on the DNA sequence alignment of the ITS1 and ITS2 regions of Trichoderma spp. The developed primer set detected only Trichoderma spp., and no cross reactivity with edible mushrooms was observed. The detection limits for the PCR assay of T. harzianum (KACC40558), T. pleurotum (KACC44537), and T. pleuroticola (CAF-TP3) were found to be 500, 50, and 5 fg, respectively, and the detection limit for the pathogen-to-host ratio was approximately 1:10,000 (wt/w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