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eryngii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45초

큰느타리버섯 포장형태에 따른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imming type and storage temperature after harvest on shelf life of Pleurotus eryngii)

  • 이윤혜;이한범;장명준;주영철;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98-202
    • /
    • 2012
  • 큰느타리버섯의 소포장에 적합한 포장형태 및 저장온도에 따른 저장기간 중 품질변화를 분석한 결과, 중량감모율은 저장온도가 높거나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0^{\circ}C$저장시 배지부착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4^{\circ}C$저장에서는 저장기간 38일까지 배지 부착형에서 다소 높았다. 갓신장율은 $0^{\circ}C$저장시 배지부착개체형이 비교적 낮았으며, $4^{\circ}C$저장에서는 배지 부착여부에 따른 큰 차이 없이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저온저장 후 상온에서 기간이 길수록 중량감모율은 증가하였으며, 갓신장율은 배지부착형은 증가하였으나, 배지제거형은 6일 이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온 저장 후 상온에서의 신선도는 배지부착형이 배지제거형보다 길게 유지되었으며, 32일 저온저장처리가 상온에서 6일까지 판매가능한 신선도가 유지되었다.

새송이버섯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eurotus eryngii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 고진복;이충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26-631
    • /
    • 2005
  • 새송이버섯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성숙한(생후 21주령) 숫쥐에 표준식 이에 $20\%$ 돈지를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대조군, 대조식이에 새송이 버섯 분말을 $3\%$$5\%$씩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군($3\%$$5\%$ 새송이버섯군) 등 3군으로 나누어 10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대조군에 비하여 $3\%$$5\%$ 새송이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간과 신장 및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대조군과 새송이버섯군들이 비슷하였다. 간의 총 지질 및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새송이버섯군들이 유의하게 감소 되었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새송이 버섯군들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새송이버섯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변의 g당 총 지질배설량은 새송이버섯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지방식이에 새송이버섯 분말 첨가 급여시 흰쥐 간의 중성지질 농도,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방법에 따른 느타리버섯과 새송이버섯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eryngii Hot Water Extracts by Drying Methods)

  • 김나미;박종대;최윤상;이명희;성정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4-7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β-glucan content of extracts extracted by varying the temperature at 30, 55 and 80℃ after hot air drying or freeze drying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eryngii. For the analysis antioxidant activity of each mushroom, β-glucan,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DPPH·ABTS+·Nitrite assay were measured. Also, the β-glucan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freeze drying rather than hot air drying,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in both mushrooms. However, the total phenol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hot air drying rather than freeze drying,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n both mushrooms.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in both mushrooms,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Pearson's correlations between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r=0.719~0.753 (p<0.01). As a result, the β-glucan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st during freeze drying and extraction at 80℃. An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ere obtained during hot air drying and extraction at 30℃.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eurotus eryngii)

  • 김재용;문광덕;이상대;조숙현;강혜인;이성태;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47-351
    • /
    • 2004
  • 큰느타리 버섯의 기능성 식품으로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큰느타리 버섯 자실체의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큰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과 총당이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은 Mg, Na, Zn, Fe, Ca 및 Cu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hypoproline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아미노산은 arginineof 509.03 mg$\%$, lycine이 410.53 mg$\%$, glutamic acid가 190.05mg$\%$, phenylalanine이 150.63 mg$\%$ 및 histidine이 139.12 mg$\%$순으로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유기산 함량은 citric acid, oxalic acid, formic acid 및 malic acid 순이었으며, 유리당은 glucose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fructose, ribose, galactose, lactose, arabinose 및 maltose 순이었다.

Penicillium corylophilum에 의한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푸른곰팡이병의 발생 (Occurrence of Bluish Green Mold of Pleurotus eryngii by Penicillium corylophilum)

  • 조우식;류영현;김승한;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12-414
    • /
    • 1999
  • 최근 국내 큰느타리버섯 재배농가가 증가하면서 병해의 발생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 버섯의 자실체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 병반으로부터 Penicillium sp.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고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Penicillium sp.균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생포자는 타원형이고 크기는 $2.3{\sim}3.4{\times}2.6{\sim}3.2\;{\mu}m$였다. 분생자병은 균사로부터 one-stage branch 모양을 형성하고, metulae는 $2{\sim}4$개로 크기가 $10{\sim}l8{\times}2.5{\sim}3.0\;{\mu}m$이며, phialides는 플라스크상이고 크기가 $9{\sim}13{\times}2.2{\sim}2.8\;{\mu}m$였다. Czapek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25^{\circ}C$에서 7일에 균총이 21 mm 성장했으며, 균총의 색은 회녹색이었다. 이상과 같은 형태 및 배양적 특징으로 공시균을 Penicillium corylophilum로 동정하였고 이균을 상처접종하였던바 $6{\sim}7$일만에 재배농가에서와 동일한 증상을 나타내었다.

  • PDF

Di-Mon 교잡법에 의한 큰느타리버섯 교잡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intraspecific hybrids by di-mon crossing in Pleurotus eryngii)

  • 신평균;유영복;공원식;유창현;오세종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9-113
    • /
    • 2004
  • 큰느타리버섯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는 부가가치가 높은 버섯으로서 한국 고유의 육성품종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새로운 큰느타리버섯 품종을 육성하고자 시중에 고가로 판매되고 있는 ASI 2547균주의 단포자를 분리하고 22개의 수집균주와 Di-Mon 교배를 실시하여 꺽쇠연결체를 가진 253균주중에서 자실체를 형성하는 19균주를 선발하여 그 중에서 형태적으로 다양한 7균주를 선택하여 RAPD로 분석한 결과 Hybrid H6 균주가 형태학적으로는 양친과 유사하나 유전자 증폭산물은 재조합된 교배체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Di-Mon 교배법이 분자생물학적 동정과 결합됨으로서 손쉽고 빠른 교배법으로 새로운 균주육성에 사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큰 느타리버섯을 첨가한 튀김 어묵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riend Surimi Gel Containing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 김소영;손미희;하정욱;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55-858
    • /
    • 2003
  •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항암성 및 혈압강하작용이 있는 큰 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을 각각 0, 5, 10, 15 및 20% 첨가한 튀김 어묵을 제조한 다음 색조 변화, 물성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큰 느타리버섯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색도는 L값은 감소하는 경향, a값은 증가하는 경향 그리고 b값도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의 결과로는 모든 시료에서 AA로 측정되어 큰 느타리버섯의 첨가에 관계 없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성검사 결과에서, 10%의 팽이버섯을 함유한 어묵에서 강도, 응집성, 탄성, 껌성 및 파쇄성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관능검사의 결과로, 버섯이 첨가할수록 어묵의 향기에 대한 선호도는 높았으나 맛과 조직감에 대한 선호도는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큰 느타리버섯 10% 첨가군에서 가장 높았다.

볶음 처리 새송이버섯의 추출조건에 따른 생리기능적 특성 변화 (Change in Functional Properties by Extraction Condition of Roasted Pleurotus eryngii)

  • 윤성란;이명희;김현구;이기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2-270
    • /
    • 2006
  • 볶음 처리한 새송이버섯의 환류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생리기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에탄올농도에 따라서는 50% 에탄올농도로 추출하였을 때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수소공여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75% 에탄올농도로 추출하였을 때 SOD유사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에는 에탄올농도가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수소공여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D유사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수소공여능 및 SOD 유사활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매에 대한 시료량이 증가할수록 수소공여능, SOD 유사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볶음 처리한 새송이버섯의 추출조건 설정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Pleurotus eryngii, Flammulina velutipes)

  • 류혜숙;김수현;전문희;최해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11-918
    • /
    • 2018
  • Var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mushroom, a member of phytonutrients, on inflammatory diseases have been reporter over the years, Among various species mushrooms,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and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are popular dietary ingredients for Asian cuisine. The extracts from all the three mushrooms were used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the cytotoxicity. Result analysis were repeated more than three times to get an average${\pm}$standard deviatio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confirmed by SPSS. As a result, total phenol content of the king oyster mushroom and the winter mushroom were $19.66{\pm}0.10mg/g$ and $22.08{\pm}1.10mg/g$, respectively. Also,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15.21{\pm}1.31mg/g$ for the king oyster mushroom and $20.50{\pm}4.52mg/g$ for winter mushroom. The results in winter mushroom showed higher values in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than in the king oyster mushroom. All samples of extracts showed free radical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y with their 10 mg/mL concent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ract of the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and the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may be possible phytonutrients with the anti-inflammatory and the anti-cancer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