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tic-house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24초

안와골절 정복술에 사용된 인공삽입물의 전산화단층촬영 추적관찰 (CT Observation of Alloplastic Materials Used in Blow Out Fracture)

  • 이원;강동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80-384
    • /
    • 2010
  • Purpose: Distinguishing different types of implants and assessing the position and size of implants by radiologic exam after orbital wall reconstruction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surgery outcome and forecasting prognosis. We observed time-dependent density changes in three types of implants (porous polyethylene, resorbing plate and titanium mesh plate) by performing facial bone CT after orbital wall reconstructions. Methods: A total of 32 patients, who had underwent orbital wall fracture surgery from October 2006 to March 2009 and received facial bone CT as outpatients at 1 postoperative year were included in the study. Follow-up facial bone CT was performed on the patients pre- operatively, 1 month post-operatively, and 1 year post-operatively to observe the status of the orbital implants. Medpor $^{(R)}$ (Porex Surgical, Inc., Newnan, Ga.) was used as porous polyethylene and followed-up in 14 cases; for resorbing plate, Synthes mesh plate (Synthes, Oberdorf, Switzerland) was used in the reconstruction, and followed-up in 11 cases; and titanium mesh plate usage was followed-up in 7 cases. Computed tomographic scan (CT) and water's view were done for radiography, and hounsfield unit (HU) was used to compare density of those facial bone CT.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applied to statistically verify measurement difference in each group of hounsfield units. Results: Facial bone CT examination performed in 1 month post-operative showed that the density of porous polyethylene, resorbing plate and titanium mesh plate were -42.07, 105.67 and 539.48 on average,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types of implants, titanium mesh plate showed the highest density due to its radiopaque feature. Following up the density of three types of implants in CT during 1 year after the orbital wall fracture surgery, the density of porous polyethylene increased in 10.52 House Field Units and the resorbing plate was decreased in 26.87 HouseField Uni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nsities in 1 month post-operatively and 1 year post-operatively in each group ($p{\geq}0.05$). Conclusion: We performed facial bone CT on patients with orbital fractures during follow-up period, distinguishing the types of implants by the different concentration of implant density, and the densities showed little change even at 1 year post-operative. To observe how implant densities change in facial bone CT, further studies with longer follow-up periods should be carried out.

장일처리(長日處理)가 가온 시설재배 감나무의 생육(生育) 및 화아분화(花芽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Long Day Treatment on Growth and Flower Bud Differentiation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Grown in Heated Plastic House)

  • 문두영;문두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40-544
    • /
    • 2001
  • 시설재배에서는 생육이 촉진되기 때문에 화아분화시기가 앞당겨진다면 일장이 짧은 시기에 해당되어 화아분화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사료되기 때문에 그 영향을 분석하고자 일장처리를 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엽발아율은 장일처리구가 65%로 자연일장구의 71%보다 낮았으나 신초신장은 16.7cm가 더 자랐으며, 만개 및 수확일은 장일구에서 빨랐다. 그러나 과중은 158g으로 자연일장구보다 16g 정도 가벼웠으며 당도와 경도도 장일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광합성 속도는 장일처리구에서 높았는데 시일의 경과될수록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일중 광합성량은 오후 4시 이후에는 오히려 자연일장구에서 높아졌다. 가지 내 탄수화물 축적은 장일구에서 낮아졌고 질소 함량은 높았으며 C/N율은 낮았다. 1아당 화다분화 원기수도 장일구에서 적었으며 화아분화시기도 자연일장구에서 비해서 늦었다.

  • PDF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Amblyseius fallacis의 방사수준 (Release Level of Amblyseius fallacis Garman (Acarina: Phytoseiidae) for Biological Control of Panonychus citri McGregor (Acari: Tetranychidae) on Citrus)

  • 김동환;김광식;현재욱;임한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3-240
    • /
    • 2003
  • 항온$.$항습 조건에서 Amblyseius fallacis의 접종밀도별 귤응애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16 : 1(Panonychus citri :A.fallacis) 이상의 비율로 접종한 경우에 귤응애의 밀도가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그리고 귤응애의 초기 밀도가 잎 당 0.5마리와 1마리일 때 20:1로 1-2회씩 방사한 결과, 모든 처리에서 A.fallacis의 밀도는 다소 높게 형성되었으나 귤응애에 대한 뚜렷한 억제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정상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비닐하우스의 감귤나무에서 귤응애가 잎 당 0.1-0.2마리 정도일 때 10:1로 2회 방사한 경우에는 A.fallacis의 밀도도 높게 형성되었으며, 유기합성농약을 살포한 처리구와 동일할 정도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이리응애가 서식하는 곳은 수관 내부이므로 수관 내부와 외부의 환경차이를 조사한 결과,주간에는 수관내부가 외부에 비해 기온은 낮고, 상대습도는 높기 때문에 A.fallacis의 서식에 다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온은 7.2$^{\circ}C$ 이상, 상대습도는 18.5% 이상까지도 차이가 있었다.

에스렐과 탄산칼슘에 의한 하우스 밀감의 착색 촉진 (Ethephon Mixed with Calcium Carbonate Accelerate Coloration of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in the Plastic House)

  • 김용호;문영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0-138
    • /
    • 1998
  • 하우스 밀감의 착색을 촉진시키고자 궁천조생 8년생을 공시하고 ethephon (2-chloro-ethylphosphonic acid) 100+ca1cium carbonate(clef-non) 10000mg.L$^{-1}$을 착색시부터 15일 간격으로 1회, 2회, 3회 살포하여 착색조사를 하였다. Ethephon +clef-non의 살포에 의한 과괴의 착색도 a는 살포회수가 많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a/b도 이와 유사한 경향으로 ethephon+clef-non 살포에 의해 착색이 촉진되었다 포도당과 과당은 처리간에 차이를 볼 수 없었고, 자당 및 전당은 살포회수가 많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차가 없었다 당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12。Bx 이상으로 높은 편이었는데 3회 살포구(13。Bx)를 제외하고는 살포회수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

Ethychlozate 살포가 하우스 밀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ychlozate on the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Citrus unshiu Marc. cv. Miyagawa Early) in the Plastic House)

  • 김용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76-282
    • /
    • 1998
  • 하우스 밀감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궁천조생 8년생을 공시하여 1월 20일부터 가온하였는데 2월 21일에 만개되었다. 만개후 100일, 115일, 145일에 ethychlozate 100mg.L$^{-1}$을 각각 1회, 2회, 3회를 살포하여 품질조사를 한 결과, 과피의 착색도 a는 살포횟수가 많아질수록 높았으며 a/b값도 이와 유사한 경향으로 살포횟수가 많아질수록 증가되어 과피의 착색이 촉진되었으나 b값은 반대의 경향으로 오히려 낮아졌다. 과육의 glucose는 ethychlozate 살포횟수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fructose는 살포횟수가 많아질수록 증가되었다. Sucrose는 fructose와 유사한 경향으로 살포횟수가 많아질수록 증가 경향이 뚜렷하였고 이러한 결과로 총당도 증가하였다 당도(Brix)는 무처리에 비해 증가되었으나 살포횟수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산도도 살포횟수가 많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 PDF

Screening of Pumpkin (Cucurbita spp.) Germplasm for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at Various Stages of Seedlings Growth

  • Luitel, Binod Prasad;Kim, Sang Gyu;Sung, Jung Sook;Hur, On-Sook;Yoon, Mun-Sup;Rhee, Ju-Hee;Baek, Hyung-Jin;Ryu, Kyoung-Yul;Ko, Ho-Cheol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33-144
    • /
    • 2016
  • Powdery mildew (Podosphaera xanthii) causes severe damage to pumpkin crops grown in open fields and plastic house. Initially, we used ten accessions of pumpkin species; Cucurbita pepo (3), C. maxima (2), C. moschata (2), and C. argyrosperma (3) to study the disease progress in different stages of seedling development. Commercial pumpkin varieties were used as susceptible host for inoculum management and young seedlings were inoculated by dusting powdery mildew spores on the cotyledons, 1-true-leaf and 2-true-leaf seedling stages. Based on initial study, we further evaluated 218 pumpkinaccessions for their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in different seedling stages under plastic house. Area under disease progress curve (AUDPC) and relative AUDPC (rAUDPC) was higher in cotyledonary and 1-true-leaf than 2-true-leaf stage. Seedlings at cotyledons and 1-true-leaf seedling stage displayed more susceptibility to powdery mildew. Based on evaluation of 2-true-leaf stage, IT 110859 and IT 278459 from C. pepo and C. argyrosperma identified as resistant (<0.2). Of the 228 pumpkin accessions, 21 (9.2%) pumpkin accessions consisting of C. pepo (2), C. maxima (5), C. moschata (13), and C. argyrosperma (1) exhibited intermediate resistance (<0.4) to powdery mildew and these accessions are useful to growers for its rational management.

시설재배 참외의 생육과 토양 특성에 미치는 인산석고의 효과 (Effects of Phosphogypsum on the Growth of Oriental Melon and Soil Properties)

  • 정종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34-339
    • /
    • 2005
  • 인산 제조공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인 인산석고는 시설재배지 토양 pH의 조정과 칼슘을 포함한 여러가지 필수 무기영양원소를 공급하는 면에서 토양 개량제나 양분급원의 일종으로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인산석고를 참외에 시용한 결과, 초기 생육 상황을 기준으로 판단해 볼 때 고토석회 처리구와 비교하여 우선 가시적으로 매우 현저한 생육 촉진 효과를 보였으며, 두 차례의 생육 조사 결과에서도 이러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토양 산성화, 염류장해, 유해금속 문제 등 인산석고가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우려한 문제는 참외 재배 하우스 토양에서 나타나지 않았으며 작물생육에 관련된 부작용 또한 발생하지 않았다. 현재까지 나타난 참외에 대한 인산석고의 효과는 Ca의 원활한 공급 외 다른 원인은 아직 구명하기 어려우나, 적절한 시용 수준에서의 인산석고의 농업적 재활용은 충분히 부작용 없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Ca 공급 측면과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pH를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석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닐하우스내 토양 피복이 스타티스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ulching on the Cut Flower Quality of Statice Plants Grown in Plastic House)

  • 정성수;김정만;정종성;최창학;최정식;김형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47
    • /
    • 1997
  • 본 시험은 시설내에서 미스티블루 재배시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고 절화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피복재료(볏짚, 투명 polyethylene film 및 흑색 polyethylene film)를 공시하여 그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는데 지온의 변화를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볏짚피복한 것과 흑색비닐 피복한 것은 온도 상승과 하강이 완만하였으나 투명비닐과 무피복구는 온도 변화가 심하였다. 고온기인 7월과 8월의 지온은 무피복구와 투명비닐피복구가 3$^{\circ}C$ 이상 높았다. 피복재료별 잡초발생량은 흑색비닐 피복구가 타피복구나 무피복구에 비해 현저히 적어 잡초발생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처리별 초기의 생육상황을 조사한 결과 흑색비닐피복구가 초장에서 약간 양호하였으나 엽장 등 생육은 큰 차이가 없었다. 화수폭, 화경경, 절화장 및 절화중 등은 흑색비닐피복구가 타처리구에 비해 양호하여 절화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재료별 1등급 절화비율과 상품화율도 흑색비닐피복구가 90.5%와 81.8%로서 타처리구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설재배 토양의 물리성 개선을 위한 처리방법별 효과 비교 (Effects of Physical Improvement Practices at Plastic Film House Soil)

  • 김이열;조현준;현병근;박우풍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2-97
    • /
    • 2001
  • 염류가 집적된 시설재배지의 강서 미사질 양토에서 1999년부터 2년간 무처리, 심토반전, 심토파쇄, 폭기식 심토파쉐 및 암거배수 등 5개 처리를 하여 토양의 물리적 성질과 작물 생산성을 비교시험하였다. 1. 심토의 물리성 개선효과는 심토반전 > 암거배수 > 심토파쇄 > 무처리 순으로 높았고 2년차까지 잔효가 인정되었으며 토양물리성 개선처리는 통기성을 높이고 근권을 확대시켰다. 2. 심토의 토양수분함량은 심토반전 > 암거배수 > 심토파쇄 > 무처리 순으로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토양물리성 개선처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토층내 시기별 토양수분함량 변동폭을 크게 하였다. 3. 토양물리성 개선처리에 의한 토층내 염농도 저하효과는 적었으며 토양물리성 개선구의 수량증대는 염농도 저하나 토층내 양수분 분포개선 보다는 물리성 개선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4. 토양물리성 개선처리에 의한 평균수량 증대효과는 10~20%정도 이었다.

  • PDF

재배 조건에 따른 고추의 생장과 토양 수분소비의 변화 (Changes of Soil Water Balance and Growth of Red Pepper as Affected by Growing Conditions in the Plastic House)

  • 태근식;엄정식;황재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8-44
    • /
    • 2003
  • 플라스틱 하우스 내에서 토성과 재배조건을 달리하여 라이시메터를 이용한 용적법으로 고추의 증발산량을 구하고자 하였다. 멀칭과 사질 또는 점질양토는 무멀칭과 모래에 비하여 고추의 증산량이 높았으며, 고추의 생장과 수량을 증가시켰다. 그히고 총 관수량의 약53%∼72%가 고추의 증산에 소모되었고, 증발산량의 약 91%∼94%가 증산에 이용되었으며 증발량은 시기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생장 초기에 증산량보다 높은 편이었다. 고추의 전 생장기간 동안 증발산량은 기상조건과 생장량에 따라 다르지만, 점질양토에서 337.7∼774.3 mm, 사질양토에서 910.6 mm, 모래에서 253.1 m의 증산량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