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que control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26초

치주처치를 위한 기구들의 반복조작이 인공치관 변연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peated Instrumentation for Periodontal Therapy on the Marginal Portion of Artificial Crown)

  • 김재호;윤기연;최광수;유형근;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443-455
    • /
    • 2000
  • The aim of periodontal therapy is a removal of a bacterial plaque butthe instrumentation for plaque control has two nature : removal of a bacterial plaque and increase of surface roughness. Complication of instrumentation is enable to damage to the root surface and artificial crow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peated instrumentation on the marginal portion of artificial crown. Fifteen proximal surfaces of ten extracted periodontally diseased maxillary first molars were used. The finish line was placed on the root surface, and then the crown was casted and cemented in usual manner. Three kinds of instruments: hand curet, ultrasonic scaler, and ultrasonic curet were used. After instrumentation, final polishing was done with rubber cup and pumice. And surface changes were evaluated by stereomicroscope and scannig probe microscope. Roughness was increased after instrumentation in all groups, and was decreased after polishing except ultrasonic scaler group. Roughness in the ultrasonic scaler group was lower than others, and roughness after polishing in the hand curet group was lower than oth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olishing procedure is recommended, because periodontalinstruments increase the surface roughness and induce the irreversible damage to the marginal portion.

  • PDF

Agrocybe cylindracea로부터 추출한 다당류의 면역증강활성 (Immunopotentiating Effect of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Agrocybe cylindracea)

  • 김선희;이항우;배만종;이재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4-68
    • /
    • 2000
  • Agrocybe cylindracea으로부터 분리 배양한 균사체 배양액을 이용하여 균사체내 다당류(IP)와 균사체외 다당류(EP)를 분리하고, 동물실험을 통한 각 다당류의 면역증강활성에 관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탐식능에 대한 실험결과, IP와 EP 모두는 복강 침출 세포(PEC)에서 대조군에 비해 6.6-50%, 말초 임파구(ML)에서 67-167%, 비장(SP)에서 16-90%의 전반적으로 높은 탐식능을 나타냈다. 또한 항체 생성능 측정을 위한 plaque forming cell(PFC)와 rosette forming cell(RFC)의 실험결과에서 볼 때, PFC형성능은 대조군에 비해 EP투여 II군에서 46-50%, IP투여 I군에서 49-70%의 활성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RFC형성능은 대조군에 비해 IP투여 I군에서 91%의 증가를, EP투여 I군에서 33%, EP투여 II군에서 43%의 활성증가를 나타내어 높은 항체생성이 기대되었다. Mitogen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능을 보였으며, IP와 EP를 비교할 때, EP는 IP에 비해 약2.5배의 세포증식 활성을 보였다.

  • PDF

하악 2급 치근 이개부 병소에서 키토산 나노 차폐막을 이용한 치주조직 재생의 임상적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clinical effects of chitosan nanofiber membrane in the treatment of mandibular class II furcation defects)

  • 최한선;정임;김정빈;홍기석;임성빈;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703-71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guided tissue regeneration(GTR) technique using chitosan nanofiber membrane and to compare it to the clinical efficacy following GTR using PLA/PLGA(copolymer of polvlactic acid and polylacticglycolic acid) membrane in mandibular class II furcation defects in human. The chitosan nanofiber membranes were applied to the mandibular class II furcation defects of 13 patients(test group) and PLA/PLGA membranes were applied to those of 11 patients(control group). Probing pocket depth, clinical attachment level, gingival recession, plaque index and gingival index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3 months postoperatively. Vertical and horizontal furcation defect depth were measured at surgery. Both grou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Mann-Whitney 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robing pocket depth, clinical attachment loss and gingival index were significantly reduced at 3 months postoperatively compared to values of baseline in both groups(p<0.05). 2. Gingival recession and plaque index were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t 3 months postoperatively compared to values of baseline in both groups. 3.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ould be detected with regard to changes of probing pocket depth, gingival recession, clinical attachment level, plaque index and gingival index at 3 months postoperatively. In conclusion, chitosan nanofiber membrane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human mandibular class II furcation defects and a longer period study is needed to fully evaluate the outcomes.

근교계 nude 및 DS 마우스 폐강삼출세포와 혈청의 간흡충 감염에 대한 면역이입의 시도 (Attempts to Transfer Immunity against Clonorchis in Nude and DS Mice)

  • 최동익;정동일;강덕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4호
    • /
    • pp.371-380
    • /
    • 1991
  • 간흡충 피낭유충의 경구감염 또는 간흡충 성충의 대사산물의 피내주사로 감작한 근교계 nude 및 DS 마우스의 복강삼출세포와 혈청이 간흡충 감염에 대한 면역을 동승(syngeneic) 마우스에 이입하는지 여부를 구명하기 위해 대조군 마우스에서의 EpG, 부하충체수 및 모장당 plaque 형성세포수를 기준으로 감작군에서의 그 성적과 비교하였다. Challenge 감염후 EpG의 변동은 감작군과 비감작 대조군 마우스와 nude 및 DS 마우스와의 사이에 유의한 차를 인정할 수 없었다. 간흡충 성충의 회수률에서는 감작군과 비감작 대조군 사이에 유의적 차를 인정할 수 없었으나 nude 마우스는 DS 마우스에 비하여 다소 높은 회수률을 나타내었다. 비장에서 plaque 형성세포는 복강 삼출세포 $5{\times}10^5$와 Group II DS 마우스의 혈청 0.1 ml를 복강에 감작한 제4군에서만 소수 검출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세포성 면역계에 결손이 있다고 알려진 근교계 nude 및 DS의 복강삼출세포와 혈청에 의해서는 간흡충에 대한 면역이 이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PDF

전문가치면세정술과 세균막관리교육의 임플란트 주위염 감소 효과 (The Effects of Professional Tooth Cleaning and Plaque Control Instruction on Reduction of Peri-implantitis)

  • 박경화;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3-170
    • /
    • 2012
  • 전문가치면세정술과 세균막관리교육이 임플란트 주위염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2009년 12월 9일부터 2011년 1월 31일까지 상 하악 대구치부위에 임플란트 식립 후 보철치료까지 완료한 80명의 부분 무치악 환자와 이들에게 식립된 193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추출하였다. 실험군은 Watanabe method로 전문가치면세정술을 실시한 후 같은 방법으로 잇솔질교육을 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엔진을 이용한 치면연마와 회전법으로 잇솔질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시작일 이후 3, 6, 9개월 재내원하여 반복시행하였고, 치면세균막 검사, 치은염 검사, 임플란트 변연골소실량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문가치면세정술과 세균막관리교육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6개월 후와 9개월 후에서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염지수가 유의하게 낮았고(p<0.05), 변연골소실량에서는 실험군(0.15 mm)이 대조군(0.24 mm)보다 낮아(p=0.155) 차이가 있을 수 있었으며, 전문가치면세정술과 세균막관리교육은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염지수에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2. 임플란트 특성에서 치면세균막지수는 상악이 하악보다 3, 6, 9개월 후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낮았고(p<0.05), 기능부하 12개월 이하 군이 13개월 이상 군보다 6개월 후에서 낮았으며(p<0.05), 변연골소실량은 시작일과 9개월 후에서 이회법 시술방식이 일회법 시술방식보다 낮았고, 기능부하 12개월 이하 군이 13개월 이상 군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Watanabe method를 이용한 전문가치면세정술과 세균막관리교육은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하고 발생된 임플란트 주위염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인한 실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전문가치면세정술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환자 개인별 적합한 잇솔질 방법을 지속적으로 교육하는 임플란트 계속관리제도 도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흡연청소년의 치아우식경험도 및 구강위생 관련요인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Oral Hygiens Status in Smoking Adolescents)

  • 신선행;김명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97-506
    • /
    • 2009
  • 흡연 청소년의 흡연형태 요인과 구강질환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10대 청소년들의 구강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지역 소재하고 있는 S병원 건강교육원 5일 금연학교 프로그램에 참석한 일부 중 고등학교 학생 흡연자 156명(남자: 103명, 여자: 50명)과 흡연군과 성별, 연령을 고려하여 짝짓기 방식으로 선정한 비흡연군 176명(남자: 64, 여자: 11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인구 사회학적 특성, 기초구강건강관리, 흡연형태요인, 자기효능감,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지식,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지료를 수집하였다.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DMFT index, DT index, MT index, FT index, Plaque index, Calculus index를 사용하여 치아 및 구강위생상태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방문(p < 0.05), 구강건강 자각적도(p < 0.001), 구강건강관심도(p < 0.01)는 모두 흡연군보다 비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자기 효능감(p < 0.05),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증진행위(p < 0.001), 구강건강지식 모두 비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우식치수(p < 0.001), 치태지수(p < 0.001), 치석지수(p < 0.001)는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흡연량이 적을수록 우식치수 (p < 0.05), 치태지수(p < 0.01), 치석지수(p < 0.001)가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우식치수와 자기효능감,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증진행위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 < 0.01). 6. 흡연량과 치태지수(p < 0.05), 치석지수(p < 0.05)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7. 다변량 분석결과 흡연 청소년의 우식치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구강건강증진행위(p < 0.05), 치태지수(p < 0.01)이었다. 즉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을수록, 치태지수가 낮을수록 우식치수가 적었다.

  • PDF

맞춤형 반복교육에 따른 구강건강 관리효과 (Control Effect of Oral Health Following Individualized Repeated Instruction)

  • 조민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61-365
    • /
    • 2008
  • 본 연구는 환자 스스로 구강관리를 적절히 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도록 개개인을 상대로 4차례의 맞춤형 구강교육을 실시하여 성별, 나이별, 직업별, 가정의 월 평균 소득별, 학력별로 1차에서 4차까지의 치면세균막 관리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환자의 구강관리 정도를 평가함으로서 국민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환자별 맞춤형 구강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1. 환자별 맞춤형 구강교육의 진행에 따라 치면세균막관리점수가 높아졌다. 2. 성별 치면세균막 관리 평균점수는 남자보다 여자의 점수가 조금 더 높았으나 큰 점수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나이별 치면세균막 관리 평균점수는 50~59세, 30~39세가 전체 치면세균막 평균점수보다 1차~4차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20~29세, 40~49세, 60세 이상은 1~4차 모두 낮게 나타났다. 4. 직업별 치면세균막 관리 평균점수는 무직과 전문직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5. 가정의 월 평균 소득별 치면세균막 관리 평균점수는 250만원 미만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250~500만원 미만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6. 학력별 치면세균막 관리점수는 1차와 2차에서는 대졸이상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3차와 4차에서는 전문대졸 또는 대학중퇴가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 PDF

감초 추출물이 면역응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ycyrrhiza glabra Extracts on Immune Response)

  • 심호기;박무희;최청;배만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33-538
    • /
    • 1997
  • 감초에서 분리한 각각의 추출물(GHE, GME, GAE)을 BALB/c mice에 투여하여 탐식작용, 용혈 반형성, 용혈소 역가 측정 및 rosette 형성 실험을 통해 감초가 면역응답에 미치는 영역을 조사하였다. 1. 탐식능 측정에서 복강침출세포(PEC)와 비자세포(spleen cells)는 CONrns에 비하여 각각의 약물 투여군이 Candida parapsilosis에 대한 효과가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2. 용혈반 형성 및 용혈소 역가측정에서는 CON군에 비하여 GHE, GME 투여군 및 GAE 투여군이 높게 나타났다. 3. Rosette 형성에 대한 측정에서는 CON군에 비하여 GME, GAE 투여군이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 PDF

Diversity of Bacteriophages Infecting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in Paddy Fields and Its Potential to Control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 Chae, Jong-Chan;Nguyen, Bao Hung;Yu, Sang-Mi;Lee, Ha Kyung;Lee, Yong 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6호
    • /
    • pp.740-747
    • /
    • 2014
  • Bacterial leaf blight (BLB) caused by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is a very serious disease in rice-growing regions of the world. In spite of their economic importance, there are no effective ways of protecting rice plants from this disease. Bacteriophages infecting Xoo affect the population dynamics of the pathogen and consequently the occurrence of the disea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versity, host range, and infectivity of Xoo phages, and their use as a bicontrol agent on BLB was tested. Among the 34 phages that were isolated from floodwater in paddy fields, 29 belonged to the Myoviridae family, which suggests that the dominant phage in the ecosystem was Myoviridae. The isolated phag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ased on plaque size produced on the lawn of Xoo. In general,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laque size and host range, and interestingly the phages having a narrow host range had low efficiency of infectivity. The deduced protein sequence analysis of htf genes indicated that the gene was not a determinant of host specificity. Although the difference in host range and infectivity depending on morphotype needs to be addressed, the results revealed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hages and Xoo strains in floodwater and damp soil environments. The phage mixtures reduced the occurrence of BLB when they were treated with skim milk.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Xoo phages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control method to increase the control efficacy and reduce the use of agrochemicals.

유지치주치료기간과 치은연하세균 출현율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interval of supportive periodontal therapy and the prevalence of the subgingival microflora)

  • 김진철;허익;권영혁;박준봉;정종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43-52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val of supportive periodontal therapy and the prevalence of the subgingival microflora. The subgingival plaques from 108 patients were used in the study. Control group were the patients with no periodontal treatment and test groups were assign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call check: group 1; 1-2 months, group 2; 3-4 months, group 3; 6months or more.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ed for direct identification of periodontal pathogens (P. gingivalis, T. forsythensis, T. denticola) in subgingival plaqu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 of P. gingivalis, T. forsythensis, T. denticola in control group were 100%, 87%, 90%. 2. In clinical parameters such as plaque index, gingival index, bleeding on probing,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with group 1 but Significant different with group 2, group 3. 3. In group 1, the majority of P. gingivalis had type II fimA. 4. When group 3 were compared with group 1, the prevalence of P. gingivalis increased. But the prevalence of P. gingivalis with type II fimA, which have the virulence factor, decreased. 5. We were unable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P. gingivalis with type IV fimA and periodontal disease. 6. The prevalence of T. forsythensis, T. denticola in test group were 85%, 93% or more. From the above results, we were able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val of supportive periodontal therapy and the prevalence of the subgingival microflora and the need of the strict supportive periodontal therapy to prevent recurrence of periodontal disease, because there were high prevalence of periodontal pathog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