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thunbergii COMMUNITY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19초

대구 인접지역에 대한 삼림식생의 군락분류 (Syntaxonomy of the Forest Vegetation and Surrounding Taegu, Korea)

  • 정흥락;이호준;이재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5호
    • /
    • pp.407-421
    • /
    • 2000
  • 1994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대구 인접지역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조사지역에서 삼림식생은 신갈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대사초하위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전형하위군락, 졸참나무하위군락, 층층나무하위군락), 소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오이풀하위군락, 철쭉꽃하위군락), 털진달래-그늘사초군락, 아까시나무식재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일본잎갈나무식재림, 곰솔식재림, 잣나무식재림의 7군락, 8하위군락, 5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군락의 식별종은 신갈나무, 뱀고사리, 철쭉꽃, 쇠물푸레, 노린재나무, 노루오줌, 병꽃나무, 꽃며느리밥풀,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에서는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서어나무, 고추나무, 소나무군락에서는 소나무, 졸참나무, 댕댕이덩굴, 노간주나무로 각각 나타났다. 특히 졸참나무는 소나무군락의 관목층과 초본층에서 높은 상재도를 보였다. DCA에 의한 요인분석에서는 표조작에 의한 군락분류와 유사한 군락의 분포패턴을 보였으며, 습도구배에 따라 각 군락의 특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군락의 철쭉꽃하위군락과 신갈나무군락의 전형하위군락은 유사한 입지환경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천광역시 산지형 도시녹지의 식생구조 및 관리계획: 육지지역을 중심으로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Mountain Type Urban Green Space in Inchon, Korea : a case study of land area)

  • 조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27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and present management planning of mountain type green space using the green space changes during the 20 years,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land area of Inchon, Korea. The actual vegetation area in survey sites was consisted of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forest, Pinus rigida forest, Q. mongolica-Pinus rigida community, P. rigida-Q. mongolica community, Q. monogolica community and so 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61 survey plots were divided into 9 groups; Q. mongolica-Alnus japonica-R. pseudoacacia-P. densiflora, R. pseudoacacia-Styrax japonica, P. rigida-R. pseudoacacia-Q. mongolica, R. pseudoacacia-P. rigida-Q. mongolica-A. hirusta, Q. mongolica-P. thunbergii, and prunus sargentii-Zelkova serrata community. From this result, ecological succession trend of vegetation seems to be change from artificial result, ecological succession trend of vegetation seems to be change from artificial planting forest to native plant community which was dominated by Quercus spp.. This study area need to manage for the increase of biodiversity through the restoration of naturalness by ecological management of artificial planting forest and ecological planting of injured green space.

  • PDF

홍도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Korea)

  • 오구균;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42
    • /
    • 1994
  • 홍도지역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생구조와 천이계열을 분석하기 위하여 49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과 DCA ordination기법을 적용한 결과 동백나무군집, 후박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후박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군집, 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군집, 상록활엽수혼효군집 등 6개 군집유형으로 분리되었다. 식생천이계열은 교목상층군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구실잣밤나무$\longrightarrow$참식나무, 황칠나무, 센달나무, 붉가시나무, 후박나무로, 교목하층 및 관목층군에서는 광나무, 자금우, 사스레피나무. 다정클나무$\longrightarrow$마삭줄, 남오미자, 까마귀쪽나무, 동백나무$\longrightarrow$식나무, 말오줌때, 천선과나무로 추정되었다.

  • PDF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지구 산림군집구조 및 천이계열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Succession of Kojedo District,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이경재;김보현;김동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1-344
    • /
    • 1999
  •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도지구 산림의 군집구조 및 천이계열을 연구하기 위하여 56개 조사구(10m$\times$10m)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하였다. 56개 조사구는 TWINSPAN분석에 의하여 굴참나무-느티나무군집(I), 굴참나무-생달나무-참식나무군집(II), 곰솔-생달나무-참식나무군집(III), 곰솔-소나무군집(IV)으로 분리되었다. 거제도지역 대부분의 산림은 인위적 교란을 받은 후 형성된 맹아림과 조림식생으로 4개 군집의 평균 수령은 35~40여년이었고 $600\m^2$당 출현종수는 32~44종이었다. 또한 낙엽활엽수(굴참나무, 느티나무 등)림은 참식나무, 생달나무를 중심으로 한 상록활엽수림으로, 상록침엽수(곰솔, 소나무 등)림은 참식나무, 생달나무, 육박나무 등 상록활엽수림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되고 있었다.

  • PDF

강천산 군립공원의 식생 (Vegetation of Gangcheonsan Provincial Park in Cheollabuk-do)

  • 김하송;오장근;전지영
    • 생태와환경
    • /
    • 제46권1호
    • /
    • pp.25-32
    • /
    • 2013
  • 본 조사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전라북도 순창군과 전남 담양군 일대에 강천산 군립공원의 식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강천산 군립공원의 식생은 총 28개의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9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주요 삼림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인 굴참나무군락 및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산지침엽수림은 소나무군락,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상수리나무군락 및 솜대군락으로 나타났다. 습지식생은 갯버들군락, 고마리군락, 달뿌리풀군락 등이 나타났다. 강천산 군립공원은 기암괴석, 폭포, 계곡 등이 어우러져 자연경관이 우수하며, 산지계곡습지에 분포하는 특정식물군락 서식지가 잘 보전되어 있다. 강천산군립공원 내에 자생하고 있는 소나무군락, 백양꽃군락 및 석산군락 조성지를 중심으로 장기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서 주요 군락의 생태적 서식지 변화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여, 적극적인 보전, 복원, 홍보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大氣汚染에 依한 麗川地域의 森林群集變化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Change in Forest Community by Air Pollution at Yocheon District)

  • 김준선;김태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10
    • /
    • 1986
  • Nowadays, air pollution by increasing consumption of fossil fuels resulting from rapidly growing popul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s caused the adverse effects on terrestrial ecosystems and become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causing environmental discriptions. Air pollution such as $SO_2, HF, NO_X,$ fly ash, ozone and PAN might influence plant growth, reproduction, nutrient cycling, photosynthesis and predisposition to entomological and pathological stresses on plants. Furthermore, accumulation of those toxic substances in forests might cause subtle or serious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forest ecosystems. Since 1970s, a number of large industrial complexes had been constructed as a part of industrialization plan in Korea. Accordingly, the forest exosystems around them has been under chronic influences of air pollution and effects of air pollution on plants became a matter of concern. In Yocheon Industrial Complex which consisted of lots of petrochemical plants and a phosphatic fertilizer manufacturing plant, forests has been exposed to chronic air pollution, mainly HF and $SO_2$ gas, Various reports were available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ffects of air pollution on crops and forest trees in Yocheon. Kim and Kim surveyed vegetation by naked eye method and reported 71 families, 150 genera and 158 species were growing within a 2 km from air pollution sources in 1981. Needle injuries on Pinus spp. in the polluted area water reported by Kim, et al. and Kim, et al. Kim, et al. investigated the primary production of Pinus thunbergii forests in the polluted area and verified that growth inhibition of Pinus thunbergii was attributable to air pollution. Thus, previous reports suggested that forest ecosystems around Yocheon Industrial Complex were influenced adversely by air pollu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btle ecological changes in forest community exposed to chronic air pollution in Yocheon.

  • PDF

동백나무림 주변 산림군집에서 상록활엽수의 확산패턴 (Spreading Pattern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Forest Community adjacent to the Camellia japonica Stands)

  • 정재민;정혜란;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89-94
    • /
    • 2011
  • 본 연구는 상록활엽수림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백나무림 주변 산림군집에 대한 상록활엽수종의 치수발생량과 종자산포량을 분석하였다. 치수밀도와 비율의 경우, 동백나무림과 동백나무림 가장자리, 동백나무림내 해송아래, 편백림에서 발생하는 전체치수의 약 90%이상이 동백나무를 포함한 참식나무와 후박나무, 광나무, 생달나무, 까마귀쪽나무, 돈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류가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참식나무, 후박나무, 광나무는 동백나무림에서 200 m 정도 떨어진 해송림과 낙엽활엽수림에까지 밀도는 낮지만 치수발생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가 시작되고 있었다. 흉고 직경급 분포에서 동백나무는 역J자형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고 후박나무, 참식나무, 광나무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동백나무 종자는 동백나무림 주변 50 m 이내에 주로 산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溫山工團 周邊의 森林植生에 관한 調査 (Study on forest vegetation in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 Kim, Jong-Gab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3호
    • /
    • pp.231-246
    • /
    • 1992
  • In order to estimate effects of air pollution for pinus thunbergii forests arounding onsan industrial complex, structure of forest vegrtation was surveyed. In the survey of forest vegetation, pinus densiflora have been died or being withered, and importance value(I.V) of rhododendron mucromulatum and lespedeza spp. were low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Especially lespedeza maximowiczii and l. maritima were not entirely appeared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I.V. of quercus serrata, robinia pseudoacacia and alnus firma were preferably high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and those of smilax china, rubus crataegifolius and rhus trichocarpa were similar at every site and it could be guessed that those had a tolerance. Number of species had a difference over 10 species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as compared with those of remote sites, and species diversity showed highly at the farther sites of industrial complex, and also at the low layer, number of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 were low at the vicinity of industrialcomplex and species weakened to air pollution were disappearing. It was possible that forest vegetation would be changed from pinus spp. to community of a. firma and r. pseudoacacia.

  • PDF

비진도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racteristic of the Evergreen Forest, Bijindo)

  • 이수동;김지석;김미정;강현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8-242
    • /
    • 2016
  • 본 연구는 모밀잣밤나무 등이 분포하여 식생학적 가치가 높은 비진도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TWINSPAN과 DCA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모밀잣밤나무군락, 모밀잣밤나무-곰솔군락, 참식나무-동백나무군락, 굴피나무군락,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락, 사방오리나무군락, 곰솔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상록활엽수림은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모밀잣밤나무, 참식나무, 동백나무의 세력이 우세하여 인위적인 간섭에 의한 교란이 없다면 당분간 현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굴피나무군락은 상록활엽수인 참식나무에 의해,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락은 상호경쟁에 의해 식생의 변화가 예상되었다. 난대림의 일반적인 천이경향은 곰솔, 낙엽활엽수를 거쳐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 참식나무 등 상록활엽수림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측하고 있는 바, 비진도의 곰솔, 낙엽활엽수 우점지역도 장기적으로 이들 수종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다. 종다양도는 곰솔자연림군락(1.2739),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락(1.2325), 낙엽활엽수군락(1.1807), 사방오리나무군락(1.0854)이 높은 반면에, 상록활엽수가 우점하는 모밀잣밤나무군락, 참식나무-동백나무군락, 곰솔 산불피해지 군락은 0.7380~0.8416으로 낮았다. 토양산도(pH)는 4.72~6.33, 전기전도도는 34.5~127.9uS/cm, 유기물함량은 3.4~17.4%이었다.

홍도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Hongdo Island)

  • 이지혜;도미솔;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92-613
    • /
    • 2013
  • 본 연구는 홍도의 식생구조를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홍도의 식생은 구실잣밤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중요치 분석결과 구실잣밤나무가 75.56%로 가장 높았으며, 소나무 34.84%, 후박나무 29.11%, 동백나무 26.88%, 붉가시나무 17.79%, 황칠나무 15.23%, 광나무 13.41%, 소사나무 12.6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은 매우 높은 유기물과 질소함량을 보이며 표토층에서 강한 산성토양의 특성을 나타내어 우리나라의 일반 산림토양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유기물함량 14.48~25.45%, 전질소함량 0.49~0.90%, 유효인산함량 26.00~58.68mg/kg, 치환성양이온 $K^+$$0.64{\sim}1.64cmol^+/kg$, $Ca^{2+}$$6.22{\sim}21.51cmol^+/kg$, $Mg^{2+}$$2.92{\sim}6.95cmol^+/kg$, 토양 pH는 4.42~5.44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DCCA를 이용한 홍도의 식생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구실잣밤나무 군락이 수분이 가장 많은 곳에 분포하였고,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순으로 분포하였다. 후박나무군락이 pH, 치환성양이온 $Ca^{2+}$, $Mg^{2+}$, $K^+$, 양이온치환용량 등이 가장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소사나무군락이 소나무군락에 비해 해발고,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 치환성양이온 $Mg^{2+}$ 등이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