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s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8초

고사목에서 발견되는 저병원성 소나무재선충 및 이의 인공접종에 의하여 유도되는 소나무의 저항성 (Low-pathogenic Pinewood Nematode Found in Dead Trees and Resistance of Pines Induced by Its Pre-inoculation)

  • 박승찬;문일성;김동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41-147
    • /
    • 2014
  • 소나무재선충은 현재까지 도입된 국가의 토착수종인 소나무류를 모두 치사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고사목으로부터 추출 배양된 계통 중에는 소나무에 피해를 주지 않는 계통이 존재한다. 이러한 저병원성 계통 선충의 사전접종이 고병원성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소나무의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연구가 수행되었다. 치수에 저병원성 소나무재선충을 선접종한 결과, 선접종에 의하여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저항력이 유도되었다. 그 유도저항성은 1년 후까지 유지되었으며, 저병원성 선충의 반복 감염은 보다 저항성 유도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재선충에 의하여 고사한 후 경과기간이 3개월 이하인 피해목 및 피해진행목에서 분리된 선충은 모두 고병원성이었으며, 고사 후 2-3년이 경과한 벌채목에서 분리된 선충 5계통 중 4계통은 저병원성이었다. 저병원성 선충이 소나무 치수에 인공접종 되었을 때 초기 정착률은 고병원성 선충과 차이가 없었으나, 접종 30일 후에 수목내의 부위별 개체수를 조사한바 저병원성 선충의 증식률은 고병원성보다 현저히 낮았다. 저병원성 선충의 잿빛곰팡이병 균사배지에서의 선충증식 속도는 계통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증식속도가 빠른 계통은 대체로 고병원성 선충의 증식속도와 차이가 없었다.

국내산 소나무 식별을 위한 연륜해부학적 연구 (Dendro-anatomical Study for Identification of Pine at Korea)

  • 이광희;서연주;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9-116
    • /
    • 2022
  • 연륜연대기와 가도관 길이, 단열방사조직 크기를 이용하여 유사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는 국내산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외래산 소나무(Pinus resinosa, Pinus sylvestris)를 연륜해부학적 방법으로 식별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13곳의 국립공원에서 국내산 소나무 시료를 채취하였고 외래산 소나무 시료는 목재수입업체 2곳에서 확보하였다. 가도관 길이 측정은 조재와 만재를 구분하여 실시하였고, 단열방사조직 높이와 구성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외래산 소나무로 제작된 연륜연대기는 외국의 표준연륜연대기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아 벌채된 국가 및 지역, 정확한 벌채시기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가도관 길이와 단열방사조직의 높이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다만 러시아 소나무의 가도관이 국내산 소나무들보다는 다소 긴 것으로 나타내었다. 향후 다수의 외래산 소나무 시편을 확보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정확한 결과가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광 불갑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Species Analysis of Wooden Elements Used in the Bulgapsa Temple of YeongGwang)

  • 박원규;남태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11-21
    • /
    • 2005
  • 영광 불갑사의 대웅전에 쓰인 목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보, 평방, 창방, 도리, 사래, 추녀, 서까래 등 총 88점을 조사하였다. 수종은 경송류(소나무류), 전나무속, 참나무(상수리나무류), 느티나무 등 4수종이 식별되었다. 기둥과 사래는 느티나무의 비율이 높았으나, 다른 부재는 경송류가 대부분이었다. 기둥과 사래의 느티나무의 비율이 높은 것은 조선후기 이전에는 소나무보다 재질이 우수한 느티나무가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Effects of Dolomite Liming on Soil Chemistry in Acidic Forest Soils

  • Kim, Chang-Gi;Rhyu, Tae-Cheol;Kim, Jo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6호
    • /
    • pp.327-333
    • /
    • 2003
  • A mixed forest of pines (Pines densiflora and Pinus rigida) and an oak forest (Quercus mongolica) in Mt. Kwanak in Seoul were limed with 1.5 t/ha and 3 t/ha of dolomite in 1993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iming on the chemical changes in the 0-5 cm and 5∼10 cm layers of soil from 1994 to 1995. Soil pH values were greater in the limed plots than in the control plot by the unit of 0.1-0.6 in the pine forest and 0.1∼0.2 in the oak forest. Ca concentrations in the limed plots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lots in both the pine and oak forests. A considerable increase in Mg concentrations in soil was observed in the limed plots. K and Na concentrations in the limed plots appeared to decrease in both the pine and oak forests two years after liming. Although Al concentrations were greater in the limed plots than in the control plot in the pine forest in 1994, there was a tendency of a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this metal in the limed plots in 1995. Mn concentrations also tended to decrease in the limed plots in both the pine and oak forests.

Development of a Novel Sampling Technique for Natureal VOC Emissions

  • Kim, Jo-Ch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7권E2호
    • /
    • pp.61-70
    • /
    • 2001
  •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growing interests in the potential environmental effects of global climate change. Of specific interests is the role that climate change may play in altering 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NVOC) emissions from trees and the subsequent impact of this perturbation on air quality and ozone formation. A novel vegetation enclosure chamber method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of Tedlar in order to estimate more accurate and precise NVOC emission rates of either small whole plants or the branches of large trees. The enclosure chamber was initially tested in the laboratory and also successfully evaluated in the field. Overall precision for this enclosure was estimated as RSD<10%(n=9). The overall errors associated with the enclosure method in a laboratory system might be relatively small (say<$\pm$15%); however, they might be rather large(say$\pm$40%) in a field-based system. Two consecutive samples were collected on each sampling day from the two pine species during the test period. Slash pine studies showed that the absolute percen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amples varied from 0.33 to 29%. The percent differences between consecutive emission for loblolly pines varied from 0.74 to 24.2%.

  • PDF

소나무속(屬) 12수종(樹種)의 염색체(染色體) 핵형분석(核型分析)에 관(關)한 연구(硏究) (Karyotype Analysis in Twelve Species of Pinus Genus)

  • 김수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53-64
    • /
    • 1988
  • 국내(國內)에서 식재(植載)되고 있는 소나무류(類)(Hard Pine) 6종(種)과 잣나무류(類)(Soft Pine) 5종류(種類)의 Root-tip을 재료(材料)로하여 염색체(染色體)의 Long, Short arm과 총(總)길이를 측정(測定)S/L ratio를 구(求)하고 이차내착(二次猍窄)의 위치(位置)를 찾아내고 Idiogram을 도해(圖解)하여 Long arm의 Descending order의 순서(順序)가 바뀌는 Pattern을 밝혔다. 소나무속(屬)의 염색체(染色體)는 기본수(基本數)가 n=12,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S/L ratio가 l에 가까운 M형(型)이 10개(個), SM형(型)이거나 SM형(型)에 가까운 길이가 짧은 것 2개(個)가 합(合)해서 Chromosone 1set를 구성(構成)한다. 이차내착(二次猍窄)의 수(數)와 위치(位置), Long arm의 Descending order의 순위(順位)가 바뀌는 Pattern으로 종간(種間)의 식별(識別)이 가능(可能)했고 Long arm의 Descending order Pattern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함으로서 산지(産地)에 따라 종내변이(種內變異)를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소나무류(類)와 잣나무류(類) group의 염색체구조상(染色體構造上)의 차이(差異)는 있었지만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 특성(特性)에 차이(差異)만큼 크지는 않았다. 염색체(染色體)는 시약(試藥)의 처리농도(處理濃度), 시간(時間)에 따라 아주 예민한 반응(反應)을 일으키므로 최우점(最遇點)을 맞추기가 어렵고 반복(反復)되는 실험(實驗)에서 정확(正確)히 동일(同一)하게 처리(處理)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약간(若干)씩 다른 결과(結果)가 나올 수 있다. 또 preparatur 제작상(製作上)의 여러 가지 어려움 때문에 분석상(分析上)에 착오(錯誤)를 일으킬 가능성(可能性)이 있었다.

  • PDF

전남(全南) 모후산지역(母后山地域)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混淆林)의 종간경쟁(種間競爭) 및 물질생산(物質生産) (Species Competetion and Productivity in a Natural Mixed Forest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at Mt. Mohu Area)

  • 박인협;문광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62-468
    • /
    • 1999
  • 전남 모후산지역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을 대상으로 종간경쟁의 양상과 물질생산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10m{\times}10m$ 조사구 10개를 설치한 후 매목조사를 실시하고 소나무와 굴참나무 각 8주씩 총 16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여 성장특성, 물질생산구조, 현존량, 순생산량 등을 조사하였다. 평균 수령은 소나무 33년, 굴참나무는 26년이였으며, 소나무림 초기에 굴참나무가 침입한 후 상층임관에서 종간경쟁을 하고 있는 초기단계의 임분이었다. 굴참나무는 동일 수령일 때의 소나무에 비하여 수령 15년 이전까지는 흉고직경과 수고가 모두 컸으며, 수령 15년 이후에는 흉고직경은 작은 반면 수고는 수령 15년 이전보다 큰 차이로 높았다. 동일 흉고직경일 때 생산기관인 잎의 건중량은 수종간 별 차이가 없었으나, 축적기관인 줄기의 목질부, 수피, 가지의 건중량은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굴참나무가 소나무에 비하여 큰 차이로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굴참나무는 소나무에 비하여 순동화율이 높고 현존량축적율이 낮았다. 이상을 종합하면 소나무-굴참나무 혼효림에서 굴참나무는 소나무에 비하여 수고성장이 빠르고, 동일 흉고직경일 때 잎의 건중량은 유사한 반면 생산능률이 높으며, 현존량축적율이 낮기 때문에 종간갱쟁에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굴참나무혼효림의 지상부 전체 현존량은 87.7t/ha, 순생산량은 8.3t/ha/yr이었다.

  • PDF

한국(韓國) 소나무류(類)에 잎떨림병을 일으키는 Lophodermium 속(屬) 균(菌)의 동정(同定) (Identification of Lophodermium Species Associated with Needle-cast Disease of Pines in Korea)

  • 이승규;이경준;나용준;양성일;이창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218-227
    • /
    • 1989
  • 소나무류(類)의 잎떨림병(病)을 일으키는 Lophodermium 속균(屬菌)을 동정(同定)하기 위하여 1987년 2월부터 1988년 10월 까지 전국(全國)의 9개(個) 조사지역(調査地域)에서 자낭성(子囊盤)이 형성(形成)된 옆을 채집(採集)하여, 자낭성(子囊盤)의 해부(解部) 및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이 연구(硏究)의 결과(結果), Lophodermium pinastri, L. australe, L. durilbrum, L. nitens, L. pini-excelsae, L. Pini-pumilae 등(等) 6종(種)이 동정(同定)되었으며, 기존(旣存)의 문헌보고(文獻報告와) 일치(一致)하지 않는 종(種)을 가칭(假稱) L. sp-1으로 명명(命名)하였다. L. pinastri는 적송과 테다소나무에서 L. australe는 리기다, 테다, 리기테다 소나무류(類)에서, L. pini-excelsae는 섬잣나무와 스트로부스잣나무에서, L. durilabrum, L. nitens, 그리고 L. pini-pumilae는 잣나무에서, L. sp-1은 해송에서 각각 관찰(觀察)되었다. 특(特)히, L. sp-1은 해송 유묘(幼苗)의 생엽(生葉)에서, L. durilabrum은 잣나무 조림지(造林地)의 생엽(生葉)에서 각각 발견(發見)되었으므로 이 균(菌)의 병원성(病原性) 및 포자비산(胞子飛散) 시기(時基)에 대(對)한 시험(試驗)이 필요(必要)하다고 생각된다.

  • PDF

밤의 품종에 따른 Gallic acid 함량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Gallic Acid Content by Chestnut Varieties)

  • 전홍남;박혜원;김동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62-36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밤의 품종(대보, 옥광, 축파, 삼조생)에 따른 Gallic acid 함량을 알아보았다. 밤나무 종류별로 알밤, 내피, 외피, 가지, 밤송이, 수꽃, 낙화수꽃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HPLC로 정량분석하였다. Gallic acid의 동정은 표준품인 Gallic acid를 물에 녹여 100, 200, 250, 500ppm의 농도 범위에서 3회씩 분석하였고, 각 농도에서 피크면적비로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기간은 2018년 5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진행했으며 밤 품종과 부위별 Gallic acid 함량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에서 Gallic acid 함량은 축파가 0.0863%로 가장 높았고, 대보, 옥광, 삼조생순이었다. 밤나무의 부위별 Gallic acid 평균 함량에서는 낙화 수꽃에서 1.2100%로 가장 높았으며, 밤나무 잎, 밤송이, 가지의 순이었다. 내피에서는 대보 품종이 0.7463%로 가장 높았고, 축파, 옥광, 삼조생 순이었다. 외피에서는 삼조생품종이 0.4918%로 가장 높았고, 축파, 대보, 옥광 순이었다. 밤송이에서는 삼조생 품종이 1.3035%로 가장 높았고 대보, 축파, 옥광 순이었다.

나이테 분석법을 이용한 월악산 소나무 송진채취 시기 및 상처회복능력 조사 (Dating of Resin Collection from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at Mt. Worak and Investigation on the Tree' s Healing Ability using the Tree-ring Analysis Method)

  • 이요섭;서정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2호
    • /
    • pp.242-250
    • /
    • 2022
  • 나이테 분석법을 이용하여 과거 월악산에서 송진채취가 수행된 연도 및 계절을 밝혀 송진채취에 대한 정확한 역사를 밝히고, 송진채취로 생긴 상처의 자연 회복능력을 조사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송진채취 시기는 송진채취 상처부에서 획득된 나이테와 반대쪽 정상부에서 획득한 나이테로 작성된 연륜폭연대기를 상호 비교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송진채취 상처를 가지고 있는 소나무 13본을 선발하였다. 상처회복능력 조사를 위해 선발된 13본 중 3본은 고사목이며, 송진채취 상처 피복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디스크 형태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표준연륜폭연대기와 상처부 나이테를 이용하여 작성된 개체별 연륜폭연대기들을 비교하고, 최외곽 나이테에서 관찰되는 목재세포를 실체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연구지역에서의 송진채취는 1962년 봄부터 1975년 가을 사이에 수행되었다. 송진채취에 의한 상처는 42년 동안 접선방향으로 평균 15.8 cm 피복되었으며, 매년 평균 0.38 cm가 피복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록되지 않은 송진채취에 관한 정확한 시대정보와 소나무의 상처치유 능력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