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ezocon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19초

콘 관입시험을 이용한 연약지반 압밀특성 평가 (Determination of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in Fine Soils Evaluated by Piezocone Tests)

  • Lim, Beyong-Seock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연약지반처리위원회 학술세미나
    • /
    • pp.42-58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약지반의 압밀계수 측정에 있어 Piezocone 관입시험을 이용할 때 관입시험자체의 정확성과 시험결과들에 미치는 여러 가지 지반공학적 영향요소들을 고려하려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실험방법으로는, Piezocone 관입을 위한 연약모형지반 조성을 위하여 초대형 Slurry Consolidometer에 Free Stress 상태의 Slurry를 45일간 압밀시킨 후 Automatic Computer Control Calibration Chamber (LSU/CALCHAS; Louisiana State University Calibration Chamber System)에 옮긴후 다시한번 압밀시키는 Two-Stage Consolidation Method를 사용하였다 동시에 연약모형지반내에 8개의 Piezometer를 설치하여 Piezocone 관입시 유발되는 지반 내에서의 과잉간극수압의 변환을 측정하였다. 총 25개의 Piezocone 시험중 4개는 Standard 10$\textrm{cm}^2$ Piezocone이고, 나머지 21개는 Miniature Piezocone이 사용되었다. 모형지반은 여러 가지 Boundary Condition들과 Stress Condition 그리고 Stress History등을 고려하여 조성되었다. 또한 Dissipation Test직후의 압밀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0.01초당 한 개이상의 실측점을 측정할 수 있는 Digital-Oscilloscope를 이용하였다. 특히 Dissipation Test, 즉시 Piezocone의 Filter Element에 잡히지 않는 과잉간극수압의 Initial Drop 존재에 관한 기존의 추측을 실제 실험치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연약지반에 대한 더치콘과 피에조콘 관입시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Dutch Cone and Piezocone Penetration Test on Soft Ground)

  • 원정윤;장병욱;우철웅;윤상묵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6-106
    • /
    • 2003
  • 134 Dutch cone (mechanical cone) and 9 piezocone (electronic cone) penetration tests have been perform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In general, Dutch cone results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piezocone due to the difference in structure of the cones. 6 Dutch cone and piezocone test data which were obtained at the same point respectively, were analyzed and plotted in soil classification chart proposed by Robertson et. al.(1986, 1990). Cone factors of Dutch cone and piezocone test empirically have been determined using laboratory and field vane test results. Using this cone factor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good correlation between shear strength estimated using cone resistance and that of laboratory test and field vane tes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ood correlation between cone resistance from Dutch cone and that from piezocone. Relationship formula was also suggested. Dutch cone test provides a useful means for stratigraphic profiling in large project and has some advantage over piezocone in particular situations, such as very soft clay ground and dredged area.

연약지반에 대한 기계식 및 전자식 콘관입시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Dutchcone and piezocone test on soft ground)

  • 장병욱;김재현;김동범;윤상묵;원정윤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7-244
    • /
    • 2002
  • A comparative study of 134 mechanical (Dutch cone) and 9. electronic cone (Piezocone) penetration data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has been performed. In general, Dutch cone results may be different from piezocone results due to the difference in structure of the cones. Cone penetrometer test data were analyzed and plotted in soil classification chart proposed by Robertson et. al.(1986,1990) Cone factors of Dutch cone and piezocone test have empirically been determined using laboratory and field vane test results. Using this cone factor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good correlation between shear strength estimated using cone resistance and that of laboratory test and field vane tes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ood correlation between cone resistance from Dutch cone and that from piezocone. Dutch cone test provides a useful means for stratigraphic profiling in large project and has some advantage over piezocone in particular situations, such as very soft clay ground and dredged area.

  • PDF

국내 점성토 지반의 피에조콘 계수 (Piezocone Factors of Korean Clayey Soils)

  • 장인성;이선재;정충기;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5-24
    • /
    • 2001
  • 피에조콘 관입시험(Piezocone Penetration Test, CPTu)으로부터 점성토의 비배수 전단강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피에조콘 계수가 필요하다. 피에조콘 계수는 경험적 방법(기준 시험 방법에 의한 비배수 전단강도와 피에조콘 시험 결과와의 직접 비교에 의하여 결정)에 의해 결정된 값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경험적인 피에조콘 계수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거의 대부분 특정 지역에 대한 값일 뿐 아니라 지반의 공학적 특성이나 지반의 불균질성 등과의 상관관계 분석이 아직까지 미흡하기 때문에 국내 지반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개 지 역 총 46회의 피에조콘 관입시험 결과를 현장베인시험 및 실내삼축시험으로부터 구한 비배수 전단강도와 비교하여 국내 점성토 지반의 경험적인 피에조콘 계수를 산정하였다. 기존 제시 값들과 비교함과 아울러 그 신뢰성을 분석하고, 소성지수와 과압밀비와의 상관성 및 기준 전단시험 방법에 따른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지반 조건에 대하여 얻어진 피에조콘 계수는 평균값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값의 분포 범위가 너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에조콘 계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과압밀비에 따라 구분하여 피에조콘 계수를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이 때 필요한 피에조콘 계수를 제안하였다.

  • PDF

피에조콘 관입 시험에 의한 OCR 평가 (Evaluation of OCR in Fine Grained Soil by Piezocone Tests)

  • Lim, Beyong-Seock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61-568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Piezocone 관입시험을 이용한 연약지반의 OCR 평가에 있어 기존의 여러 가지 해석방법들과 최근에 새롭게 제안된 방법들을 실내 모형토조에서 실측된 피에조콘 관입 실험치에 적용하여 각 해석방법들의 차이와 장단점들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실험방법으로는, Piezocone 관입을 위한 연약 모형지반 조성을 위하여 초대형 Slurry Consolidometer에 Free Stress 상태의 Slurry를 45일간 압밀시킨후 Automatic Computer Control Calibration Chamber (LSU/CALCHAS; Louisiana Slate University Calibration Chamber System)에 옮긴후 다시한번 압밀시키는 Two-Stage Consolidation Method를 사용하였다. 모형지반은 여러 가지 Boundary Condition들과 Stress Condition 그리고 Stress History등을 달리하여 총 5개의 지반을 조성하였다. 관입시험은 총 25개의 Piezocone 관입이 수행되어졌고, 그중 4개는 Standard 10 cm2 Piezocone이고, 나머지 21개는 Miniature Piezocone이 사용되었다. Piezocone 실험치들에 대한 여러 가지 OCR 해석방법 적용결과, Schmertmann방법은 5개 모형지반 모두에서 과다한 OCR평가를 보였으며, $B_{q}$ 방법은 일부모형지반에서 음의 OCR값으로 계산되어졌다. 그러나, Critical-Stale Soil Mechanics 와 Cavity Expansion 이론에 근거하여 Mayne(1991), Kurup(1993), Tumay et al (1995) 들이 제안한 OCR 평가방법들은 실험치와 잘맞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와같은 이론 모델값들의 차이는 응력조건(Stress Condition)과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들에 대한 각 해석방법들의 고려정도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 PDF

소산실험 결과를 이용한 연약지반의 압축지수 추정 (Estimation of Compression Index in Soft Soils using Dissipation Test Results)

  • 박영환;강병준;이준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1024-1029
    • /
    • 2008
  • In this study, new parameter related with compression index was derivated from piezocone test results. It is assumed that the consolidation coefficient obtained by piezocone test is concerned with the volume change during piezocone dissipation. Based on that assumption, new parameter in terms of consolidation coefficient from piezocone test was introduced. The new parameter from piezocone test and the compression index from laboratory consolidation test shows linear relationship.

  • PDF

CPTu로부터 구한 시화지구 해성점토의 비배수 전단강도 (Undrained Shear Strength of Marine Clays of Shihwa Region Obtained from CPTu)

  • 장인성;김범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spc3호
    • /
    • pp.353-360
    • /
    • 2003
  • Estimation of undrained shear strength $(S_u)$ of clayey soils from piezocone penetration test (CPTu), which has widely been known as one of very promising in situ test methods, requires piezocone factors. Empirical correlations are generally utilized to derive piezocone factors, but previous studies on the empirical piezocone factors are site-specific and in some cases need engineering characteristics, which should be obtained from additional laboratory tests. In this study, empirical cone factor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6 CPTu results at Shihwa region in Korea with reference $S_u$ values obtained from field vane test (FVT). From previous CPTu results of other regions in Korea as well as the results herein, the correlations between piezocone factor, $N_{kT}$ and CPTu results were investigated and three simplified evaluation methods of $S_u$ using only CPTu results were presented. The $S_u$ values estimated by $(q_T-{\sigma}_v)/{\sigma}'_v$ method shows better matches with those obtained from laboratory tests for marine clays at Shihwa region.

시화호 주변 연약지반 피에조콘계수 산정에 관한 통계적 분석 (Evaluation of Piezocone Factors Applicable to Soft Ground Around Siwha Lake by Statistical Analysis)

  • 정진혁;박수범;이송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89-100
    • /
    • 2008
  • 국외에서 개발한 상관식이나 도표 등을 활용하여 국내 지반특성을 반영함에 있어 이를 그대로 국내지반에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내에 적합한 피에조콘계수 활용을 위해서는 국내 지반에 대한 시험결과를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피에조콘계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시화호 주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실내시험 및 현장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피에조콘 관입시험과 비교 분석하고, 비배수전단강도와 콘 관입저항력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피에조콘계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산정된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대상 지역에 적합한 피에조콘계수를 재산정해 보았다.

통계적 기법에 의한 낙동강하구 점성토 지반의 피에조콘 계수 산정 (Evaluation of Piezocone Factors for Soft Ground in the Region of Nakdong River Estuary Using Statistical Analysis)

  • 김영훈;장정호;최동찬;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7호
    • /
    • pp.53-66
    • /
    • 2009
  • 피에조콘 관입시험 중 점성토층 비배수 전단강도를 산정할 때 적용되는 피에조콘 계수는 시험현장에 따라 피에조콘 계수 산정을 해야 한다. 경험적 해석방법의 경우에도 피에조콘 계수 산정을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나, 대부분 국외에서 개발한 상관식이나 도표 등을 활용하여 국내 지반에 적용하므로, 이에 대한 적용성이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피에조콘 계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대상지반의 특성을 비롯하여 비교대상 시험방법들의 연구가 필요하며, 국내지반에 대한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한 피에조콘 계수를 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에 분포하는 연약점성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시추조사를 비롯한 현장시험 및 실내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들을 피에조콘 관입시험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시험별 비배수 전단강도 특성을 분석하고, 피에조콘 관입저항치와 비교하여 피에조콘 계수를 구하고, 구한 피에조콘 계수를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 대상 지역의 신뢰성 높은 피에조콘 계수를 산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