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phthora cactorum.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3초

과수목(果樹木)의 역병(疫病)을 유발하는 Phytophthora cactorum의 유주자(遊走子)와 난포자(卵胞子)의 균사생장과 균총의 형태 (Growth Rate and Colony Morphology of Progenies of Zoospores and Oospores of Phytophthora cactorum causing Phytophthora rots in Apple Trees)

  • 심재욱;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1-285
    • /
    • 1994
  • Phytophthora cactorum으로부터 분리된 유주자(遊走子)는 균사 생장이 상대적으로 균일하고 균사 생장분포가 모체(母體) 균주(菌株)와 유사하였으나, 분리된 난포자(卵胞子)는 균사생장분포가 매우 다양하였다. 또한, 균총의 특징은 난포자에서 크게 다양한 반면, 유주자에서는 균일하였다. 이 결과는 P. cactorum의 균사생장과 균총의 모양을 결정하는데 있어 다양한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으며, 몇몇 역병균이 생장하는 동안에 이배체성 생식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한 딸기 역병 (Crown Rot of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Caused by Phytophthora cactorum)

  • 임양숙;정기채;김승한;박선도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35-737
    • /
    • 1998
  • A severely wilting of strawberry caused by a Phytophthora sp. has occurred houses after planting in vinyl-houses field at Ssanglim and Anlim areas Kyungbuk in Korea from October in 1997. Phytophthora sp. isolated from diseased tissues of the crown of strawberry. Browning rot of inner crown and root resulted in wilt and eventual death of the plant. The causal fungus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cactorum. Sporangia were ovoid, conspicuously papillate, caducous and measured 30.0~56.6$\times$23.8~35.2 (av. 39.3~29.9) ${\mu}{\textrm}{m}$. Sexuality of the fungus was homothallic. Oogonia were sperical and 23.3~32.3 (av. 29.0) ${\mu}{\textrm}{m}$ in size. Most ahteridia were paragynous and measured av. 10.2~12.2 ${\mu}{\textrm}{m}$. Cardinal temperature for growth at minimum, optium, maximum were recorded at 7, 20~25, and 32$^{\circ}C$, respectively. The fungus show strong pathogenicity to strawberry.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trawberry caused by Phytophthora cactorum in Korea.

  • PDF

일정조건에서 아인산염을 이용한 Phytophthora cactorum이 야기하는 인삼 역병의 방제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of Panax ginseng Caused by Phytophthora cactorum using Phosphonate under the Controlled Condition)

  • 이병대;밝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311-315
    • /
    • 2009
  • 아인산의 농도별 (50~2,000 ppm) 인삼 역병 방제효과를 metalaxyl-M (a.i. 40.2 ppm)과 비교하여 역병균의 균사생장에 대한 영향, 인삼 절제엽과 포트시험으로 검토하였다. 아인산은 균사생장억제력이 metalaxyl-M 보다 낮았으나 절제엽이나 식물전체 실험에서는 metalaxyl-M 보다 방제효과가 우수하여 인삼에서 병저항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50~100 ppm의 아인산이 병저항성을 유도하는 적정농도일것으로 생각된다.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한 복숭아 과일역병 (Fruit Rot of Peach (Prunus persica) Caused by Phytophthora cactorum)

  • 임양숙;정기채;지형진;김진수;여수갑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9-101
    • /
    • 1998
  • A severe brown rot on peach fruit caused by a Phytophthora sp. has occurred at peach orchards in Taegu of Korea from late June to early August in 1997. Infected fruits showed irregularly round or circular water soaking brown regions. In the severe case, fruits were entirely rotten and surface of the fruits were wrinkled. Occasionally, white mycelia and abundant sporangia were developed on the surface of fruit. Inner tissues of the fruits were also discolored to brown. The causal fungus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cactorum based on following characteristics. Sporangia were ovoid, conspicuously papillate, caducous and measured as 28.4~48.1$\times$21.9~37.2 (av. 39.9$\times$30.4) ${\mu}{\textrm}{m}$. Sexuality of the fungus was homothallic. Oogonia were 25.0~34.0 (av. 29.9) ${\mu}{\textrm}{m}$ in size. Most antheridia were paragynous and measured av. 10.5$\times$13.0 ${\mu}{\textrm}{m}$.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 growth was around 25~3$0^{\circ}C$. However none of the isolates grew under 7$^{\circ}C$ and over 35$^{\circ}C$. The fungus revealed high pathogenicity to fruits, shoots and leaves of peach, apple and pear with different degrees. Phytophthora fruit rot of peach caused by Phytophthora cactorum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previously.

  • PDF

사과의 역병: Ⅰ.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한 줄기역병의 발생 (Phytophthora Diseases of Apple in Korea: Ⅰ. Occurrence of a Destructive Collar Rot Caused by P. cactorum)

  • 지형진;조원대;김완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9-144
    • /
    • 1997
  • 사과 줄기 밑둥을 썩히는 역병 (collar rot)이 경북의 사과 재배지역에 널리 발생하고 있으며, 충북, 충남, 전북 등의 일부 지역에서도 발생이 확인되었다. 이 역병은 주로 M26이나 M9를 왜성대목으로 사용한 후지품종에 심하게 발생되었는데, 발병율은 포장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만 의성, 군위, 예산, 무주 등지의 일부 포장에서는 이병주율이 45~80% 정도로 아주 높았다. 수집된 25 균주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 결과 모두 Phytophthora cactorum으로 동정되었는데, 이들은 배지에서나 물 속에서 유두돌기가 뚜렷하며, 계란형의 쉽게 이탈되는 다량의 유주자낭을 형성하였고 짧은 자루 (약 4 ${\mu}m$)를 부착하고 있었다. 자웅동주 균으로 10% clarified V8 배지에서 다량의 난포자를 형성하였는데 모든 장정기는 측착 (paragynous) 하였다. 모든 공시 균주는 5$^{\circ}C$ 이하와 33$^{\circ}C$ 이상에서는 자라지 못하였으며 난포자도 형성되지 않았다.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한 사과 줄기역병은 국내에서 기록된 바가 없어 본 병해를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국내산 야채쥬스의 역병균 영양생장 및 생식생장용 배양기 이용 (Utilization of Domestic Vegetables Juices as a Medium for Growth and Reproduction of Phytophthora species)

  • 지형진;조원대;최용철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9-302
    • /
    • 1998
  • V8 juice agar (V8A) has been the most popular and commonly used medium for growth and reproduction of Phytophthora. However, frequently V8 vegetable juice is not available or difficult to obtain in Korea. We therefore developed widely accessible medium to substitute for V8A using domestically available five juices; two carrot (KCJA), two tomato (KTJA) and a vegetable-mix (KVMA). To prepare 10% juice medium, each vegetable juice 100 ml, DW 900 ml, agar 17 g and Ca CO3 0.5∼1.0g were supplemented to adjust pH ca. 6.0 Mycelial growth of P. cactorum and P. capsici on KTJA and KVMA was equally effective as V8A for the growth of P. cactorum, P. capsici, P. drechsleri and P. nicotianae under light. Sporangial production of P cactorum, P. capsici and P. nicotianae on KTJA and KVMA was as good as V8A and slightly better than CKJA, but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by P. cactorum and P. nicotianae. The four fungi successfully formed oospores on all the media although the numbers were varied among species and media. While KTJA was the best for P. cactorum and P. capsici, V8A was the best for P. capsici and P. drechsleri. However, KCJA stimulated highest number of oopspores of P. nicotiana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domestically available vegetable juices were highly effective on growth and reproduction of Phytophthora and comparable to V8 juice. Therefore, the domestic juice medium can be successfully replaced V8A in Phytophthora study.

  • PDF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한 백합 역병 (Stem Rot of Lily(Lilium L.) Caused by Phytophthora cactorum in Korea)

  • 류경열;김령희;이영희;허노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58-462
    • /
    • 1998
  • Stem rot symptomof lily caused by Phytophthora was observed in Chilkok, Korea in 1997. Oogonia of Phytophthora were abundantly developed on epidermal tissues of stem and leaves of the diseased plants. The casual fungus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cactorum based on their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porangia were markedly papillate and the shape was broadly spherical to ovoid both on agar and in water. The size was 28~44$\times$20~28 ${\mu}{\textrm}{m}$ (av. 36~24) and a short pedicel was attached to each sporangium. The fungus was homothallic and oogonia were 28~32 ${\mu}{\textrm}{m}$ (av. 30) in size and slightly yellow. Antheridia were paragynous and spherical or irregularly club shaped. Optimal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25~27$^{\circ}C$. The fungus did not grow under 6$^{\circ}C$ and over 34$^{\circ}C$. The fungus was highly pathogenic to three cultivars of lily. Symptom was developed at 4-day after artificial inoculation with zoospores (103 cell/ml) on the stem of lily. The symptom was identical to those produced by natural infection in the field and the plant was blighted within 14 days after inoculation.

  • PDF

대관령 고령지 백합 역병균(Phytophthora cactorum)의 동정 및 살균제에 대한 반응 (Identification and fungicide responses of Phytophthora cactorum isolated from lily growing Daekwallyong alpine area)

  • 김병섭;안종웅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2-44
    • /
    • 2002
  • 1999년 대관령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백합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병이 발생하여, 이 병의 원인 병원균의 동정과 화학적 방제 방법을 찾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백합에서 분리된 12 균주 모두는 P. cactorum으로 동정되었다. 백합 역병균에 대한 metalaxyl의 약제 반응을 조사한 결과 분리된 균주 모두는 $10{\mu}g/mL$에서 전혀 균사가 생장하지 못하므로 감수성 균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합 역병균(P. cactorum PC-1) 방제 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11약제를 선택하여 스크리닝을 수행한 결과, dimethomorph, ethaboxam, metalaxyl, oxadixyl은 $10{\mu}g/mL$에서 병원균의 생장을 완전히 억제하여 우수한 약효를 나타냈다. 따라서 metalaxyl과 같은 phenylamide계 살균제 및 다른 역병 방제용 살균제의 살포는 백합 역병의 방제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Fusarium solani와 Phytophlhora cactorum이 고려인삼의 사포닌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Fusurium sozani and Phytophthoya cactorum on the Changes in Saponin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조대휘;오승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66-75
    • /
    • 1986
  • Fuiarium solani 와 Phytophthora cactorum 이 인삼 사포닌 성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기 위해서 각 첨가배지에서의 균사생육과 접종된 인삼분말의 사포닌 분석실험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uiarium solani는 수삼의 물추출물 농도에 따라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조사포닌 20ppm 첨가까지 생육이 촉진되었으나 50ppm이상에서는 불규칙적인 생육 억제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nystatin은 농도에 다라 생육을 억제하였다. Phytophthora cactorum은 수삼의 물추출액, 조사포닌의 농동에 따라서 생육은 촉진되었으며 nystatin은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 solani 및 P. cactorum 으로 접종된 인삼분말은 ginsenoside Ra, Ro peak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F. solani에 의해 PD 계 ginsenoside가 3.0% 증가되고 PT계 ginsenosides는 34.9% 감소되었다. P. cactorum의 경우는 PD 계 ginsenoside가 21.1% 증가, PT계 ginsenosides는 23.5% 감소하였다. 두 균주에 의해 PD, PT계 ginsenoside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지만 PD/PT비는 동일하게 58.4%씩 각각 높아졌다. 인삼의 총 사포닌 함량은 F. solani에 의해 17.8%, P. cactorum에 의해서 2.5%씩 각각 감소하였다.

  • PDF

사과의 역병: II. Phytophthora cactorum과 P. cambivora에 의한 사과 과실역병의 발생 (Phytophthora Diseases of Apple in Korea: II. Occurrence of an Unusual Fruit Rot Caused by P. cactorum and P. cambivora)

  • 지형진;조원대;김완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5-151
    • /
    • 1997
  • 1996년 5월 하순부터 7월 초순사이 경북 안동, 의성, 충북 청원 지방의 30개 이상의 사과 과수원에서 어린 과일에 역병이 대발생하였는데, 발병된 과수원에서는 이병주열과 이병과율이 각각 10~90%와 1~15% 정도였다. 이병된 어린 과일은 연한 갈색 혹은 진한 갈색으로 썩고 단단하였으며 병반은 건전부위로 경계가 불명확하게 확산되었다. 어린 잎이나 신초 역시 역병균에 감염되면 반점이나 수침상 혹은 마름 증상 들을 심하게 나타내었는데 이들로부터 총 39개 역병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중 Phytophthora cactorum으로 동정된 25개 균주는 모든 발생지역에서 분리되었으나 P. cambivora로 동정된 나머지 14개 균주는 안동지역에서만 수집되었다. P. cambivora 균주의 유성생식형은 모두 A1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의 균학적 특성은 본문에 자세히 기록하였다. 본 실험에서 Koch의 가설이 증명되었으며, 두 균 모두 사과뿐 아니라 배와 복숭아의 어린 가지와 과일에 강한 병원성을 보였고 여러 채소과일에는 병원성이 없거나 아주 미약하였다. 사과 어린 과일 역병의 대 발생은 국내에 기록된 바가 없으며, 특히 P. cambivora에 의한 사과 과일역병의 발생은 세계적으로도 보고된 바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