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safety in urban space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7초

도시공간의 물리적 안전과 노인들의 계속 거주와의 관계분석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Safety in Urban Spaces and Aging in Place)

  • 박종용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09-120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노인들이 인지하는 거주환경의 물리적 안전과 노인들의 계속 거주 의향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연구를 위해 도시공간의 물리적 안전은 옥외공간과 건물의 안전, 보행안전, 교통안전 및 주거안전의 4가지 요소로 구분하였으며 계속거주의향에 대해서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여 서울시거주 65세 이상 노인 411명을 대상으로 서울시 5개 권역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결과 응답자의 78.6%가 현 지역에서의 계속거주에 좋다고 응답하여 서울의 노인들은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의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서울시 권역별로는 동남생활권, 서북생활권, 서남생활권, 동북생활권, 도심생활권 순으로 계속 거주가 좋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현재 사는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는 것에 대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경우, 도시공간의 물리적 안전 전반 뿐 아니라 물리적 안전 요소들의 평균도 높아 물리적 안전이 현 지역에 계속 살고자 하는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 신도시 조성 혹은 도시 재생의 과정에서 안전한 도시를 조성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물리적 안전요소 평가에 대한 연구 - 서울시 5개 생활권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valuation of physical safety factors for the Age-Friendly City - Focused on Five Urban Communities in Seoul -)

  • 박종용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117-12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hysical safety factors and indicators needed to create an age-friendly city where elderly people can live safely and continuously in the era of aging an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ve urban communities. For the study, AHP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importance of factors and indicators, based on a checklist was made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degree of physical safety perceived by the elderly people aged 65 and older living in Seoul,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ve urban communities in Seoul was confirmed. The research find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core of evaluating grade was the highest in the northwest, northeast was the lowest followed by the northwest, downtown, southeast, southwest, northeast. Among the physical safety factors, the safety of outdoor spaces and buildings was the highest in the downtown and the lowest in the southwest. On pedestrian safety, the downtown was the highest and the lowest was northeast. Regards to the transportation safety, the northwest was the highest and the northeast was the lowest. Housing security was the best in the northwest and the lowest was the northeast.

AHP분석을 통한 도시옥외공공공간의 범죄안전 평가지표 분석 (An Analysis of Crime Safety Evaluation Indicators in Urban Outdoor Public Space by using AHP)

  • 변기동;하미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5호
    • /
    • pp.11-20
    • /
    • 2019
  • Recently, our society is increasingly aware of the strengthening of 'publicness'.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improve safety in that public spaces are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indicators for evaluating crime safety in outdoor public spaces and to present the relative weights of each evaluation indicato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crime safety evaluation indicators for outdoor public spaces to experts and conducted AHP analysis based on th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imilar tendency was observed among experts group (researcher, public officials, planner) related to outdoor public spa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certain reference point in the future social consensus on the issue. Second, the experts related to physical environment evaluation showed that the priority of environmental planning related to 'Natural surveillance' is highly evaluated in order to increase crime safety of outdoor public space. Next, it was recognized that 'Mechanical surveillance' and 'Legibility reinforcement' were needed.

Proposal of Urban Agricultural Park Management and Operation Plan Using the Public Service Design Process

  • Lee, Sang-Mi;Yun, Hyung Kwon;Jung, Young-Bin;Hong, In-Kyo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3-167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With the revision of the Act on Urban Parks, Green Areas, Etc. in 2013, the "urban agricultural park" was newly established under the subcategory of "themed park," thereby establishing the institutional basis for the creation of urban agricultural parks. However, urban agricultural parks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introductio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irection setting and specific operation management that considers urban residents' needs and the city's physical infrastructure. Methods: We utilized the public service design proces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2019 to identify problems and develop directions for urban agricultural parks. The process consisted of the following four steps: Understanding, Discovering people's needs, Defining real problems, and Developing ideas. Results: As four types of ideas for revitalizing urban agricultural parks, 'information users want to know,' 'user participation in design,' 'venue for local communities,' and 'urban agricultural parks as health and rest areas' were derived. This means that urban agricultural parks must provide the information users want; users must plan, decide, and implement such information by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cre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urban agricultural parks; and urban agricultural parks must be used as a venue for local communities. Urban agricultural parks should also be spaces for health and relaxation. Conclusion: Urban agricultural parks should avoid the unified space and passive participation patterns of existing urban parks, and become real spaces for resident participation that can satisfy all the production, leisure, landscape, ecology, and psycho-social needs of the users of urban agricultural park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more systematic and diverse operating system so that it can work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nd connect organically with the function of the city.

도시 주거지 학교와 공원의 주차장 입체화 사례의 형태와 이용 특성 분석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zation of Mixed-use Schools and Parks with Parking Facilities in Urban Residential Areas)

  • 김윤선;양우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1-12
    • /
    • 2011
  •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ife environment and economic growth, the more highly a city has developed, the more concentrated is the urban function. That is, a city is required for adding more infrastructure. But, both limited land resources and financial problems made it impossible to add infrastructure. So, the necessity of multi-dimensional planning of urban infrastructure was recognized. Especially, in the urban residential area, a mixed-use of the playground of a school and the empty space of a park is desired to serve the issue of insufficient parking spaces. Schools and park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a town, and playing a central role for the town life. For this reason, they are highly demanded in urban residential areas and also expected to be effective. However, we need to consider not only parking convenience but also the safety of users in design process, because people using parks and schools include young students and the elderly. In this study, we mainly examine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zation of schools and parks with parking facilities in urban residential areas. Then, we analyzed cases through comparing and evaluating in terms of convenience and safety. and weighed up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chools and the parks having parking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references for preparing design standards for such facilities.

리모델링 공동주택단지의 외부공간 성능평가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Outdoor Space for Remodeling Apartment)

  • 김호윤;이상석;유주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7
    • /
    • 2016
  • In this study, remodeling projects are perceived as a sustainable urban management policy to boost the value of old apartments and stimulate urban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To evaluate the physical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external spaces of remodeled apartments, an 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After applying it to the target plac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nalysis of the external space change index of the target apartments revealed that institutional standards are necessary in line with the building arrangement type, parking lot expansion method, and changes in the building-to-land ratio. Second, the score ratio as to the external space change index performance is as follows: safety (48.30); pleasantness (25.90); convenience (18.90); eco-friendliness (14.90). In other words, "safety" had the biggest score ratio. Third, to boost the external space performance of remodeled apartments, the needs of residents and neighboring environmental plan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communality standpoint.

도시녹지와 옥외범죄율 간의 상관관계 연구 - 텍사스 오스틴 지역을 중심으로 - (Correlation between Urban Green Areas and Outdoor Crime Rates - A Case Study of Austin, Texas -)

  • 김영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9-56
    • /
    • 2019
  • 도시녹지는 환경적, 정서적, 신체 활동적 측면에서 인간의 삶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기존의 알려진 긍정적인 역할 이외에 미시적인 환경을 대상으로 한 몇몇의 선행연구는 도시녹지가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광역적인 측면에서의 도시녹지와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텍사스 오스틴 시를 대상으로 도시녹지요소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도시안전성과 관련이 있는 실제 옥외범죄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미국의 인구조사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블록그룹을 분석 단위로 하여 오스틴 시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GIS 및 ENVI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도시녹지 변수와 옥외범죄율 변수를 구축하였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도시수목비율에 따른 옥외범죄율의 비교를 위해 일원분산분석이 사용되었고,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통제시키며, 도시녹지변수와 옥외범죄율의 상관관계분석을 위해 최소자승법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일원분산분석결과, 도시수목비율이 0%~25%에 해당하는 지역의 acre당 연간 옥외범죄율은 1.20%로서 수목비율이 높은 25%~50%의 지역 및 50% 이상의 지역보다 acre당 연간 옥외범죄율이 각각 0.59%, 1.1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소수인종비율과 학교중퇴자비율은 연간 옥외범죄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연간 개인소득수준과 도시녹지요소인 정규식생지수(NDVI) 및 공원 면적 비율은 연간 옥외범죄율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도시녹지의 공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공원녹지의 특성과 신체활동 및 건강의 상호관련성 - 창원시를 대상으로 - (Associ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

  • 백수경;박경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12
    • /
    • 2014
  • 도시의 공원녹지는 지역 주민들의 신체활동과 건강증진을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공원녹지의 다양한 특성과 신체활동 및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녹지 이용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경상남도 창원시에 거주하는 541명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원녹지의 이용패턴과 주관적인 근린환경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사례지역에 대한 공원녹지의 접근성과 물리적 근린환경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해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은 공원녹지의 특성과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녹지 이용횟수, 자가인식 건강수준, 그리고 체질량지수(BMI)와의 상호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거주지로부터 200m 이내에 분포하는 공원녹지의 출입구와 공원의 개수, 집 주변에서 운동하는 사람을 많이 볼 수 있거나,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운동시설이 많다고 느낄수록 신체활동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 주변 공원녹지까지의 거리가 가깝고, 공원녹지의 개수가 많고, 면적이 넓을수록, 보행이 편리할수록, 공동주거지역의 비율이 높을수록 자가인식 건강수준(perceived health level)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로부터 400m 이내에 분포하는 공원녹지의 개수, 보행환경의 안전성, 공동주거지역의 비율, 도로비율, 교차로 밀도 등이 BMI와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공원녹지의 특성과 종속변수인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녹지 이용횟수 및 자가인식 건강수준 사이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수준 10% 이내에서 의미가 있는 회귀모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공원녹지와 근린환경의 특성이 지역주민들의 신체활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신체활동 목적의 공원녹지의 이용을 증진하고 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의 조경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이다.

거주자가 지각한 정신건강 관련 주거의 질 분석에 기초한 주거 개선요소 (Housing Improvement Elements Depended on the Analysis of Urban Residents' Perceived Korean Housing Quality Related to Mental Health)

  • 최병숙;박정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89-197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mprovement elements depended on housing quality measurement tool related to mental health.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rom November 1, 2012 to January 17, 2013, and the sample consisted of 720 respondents living in single detached houses, multi-families detached houses, apartments, and town houses in 4 cities, Seoul, Busan, Daejeon, and Kwangju.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of improvement elements are as follows: 1) Pedestrian-threaten street from cars in physical safety 2) A secluded or dark spot and fear of walking at night in social security, 3) Indoor noise, outdoor noise, and evidence of abandoned trash heap/bottle in neighborhood in health & sanitation, 4) Illegal parking and heating control system in facility convenience, 5) Extra kitchen, number of bathrooms, and community spaces in space convenience, 6) Openness and spaciousness of indoor room, and satisfaction of house and neighborhood in comfort, 7) Management common/sharing space in maintenance, 8) Energy saving facility and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use in sustainability, 9) Burden on housing cost, asset value on house, and school district in economic value, 10) Reflection of residents style, surrounding building's number of layers, and neighborhood appearance of preference in housing environment image.

가로공간 보행증진을 위한 보행만족도 평가 - 행정중심복합도시 1지구 상업·주거지역을 대상으로 - (Satisfaction Evaluation for the Pedestrian Improvement of Street Spaces - Focused on the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in the First District of Administrative-Centered City -)

  • 련등;최재혁;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5-126
    • /
    • 2018
  • 여성, 아이, 노인, 장애인 등 보행약자를 위한 보행친화가로를 조성하기 위하여, 차량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도시환경변화의 패러다임을 반영시켜야 하며, 이를 통해 도시 가로의 보행환경의 질을 높이고, 보편적 이동권을 확보하여 사회통합을 유도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 행정중심복합도시 1지구에 위치한 상업 주거지역 주변의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보행도로 현황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보행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행증진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위성지도와 수치지도를 사용하였으며, 조사 지역의 기본자료에 대해서 정리하고, 가로 현황과 보행 환경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하여 의식과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315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으며, 조사 대상지 4곳의 보행서비스 수준은 모두 최상급인 A급이었으며, 녹지 시설의 배치도 비교적 충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분석 결과, 요인분석을 통해 영향력 있는 요인들은 높은 순서에 따라 디자인>편리성>가로수 및 휴게시설>안전성>안전 보호시설>교통 및 안내시설>연속성>노면 기본상태>쾌적성 이다. 주거지역: 교통 및 안내 시설>노면 기본 상태>쾌적성>편리성>연속성>디자인>조명 및 범죄 방지시설>안전성>가로수 및 휴게시설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