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ma sp.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8초

벼 이삭마름병해(病害)에 관여(關與)하는 균류(菌類)의 검출(檢出)과 검출(檢出)된 균류(菌類)가 종자(種子) 변색(變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Detection of Fungi Associated with Ear Blighting of Rice Plants and Their Effect on Seed Discoloration and Yield)

  • 권진숙;박종성;유승헌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99-205
    • /
    • 1985
  • 1. 벼 종자(種子)의 변색정도(變色程度)에 따른 균류(菌類)의 검출(檢出)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변색(變色)이 심한 종자(種子)에서 Alternaria tenuis,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Curvularia lunata, Fusarium semitectum, Gerlachia oryzae, Phoma sp. Trichoconiella padwickii 등이 높은 비율(比率)로 검출(檢出)되었고 특히 반점종자(斑點種子)에서는 Helminthosporium 균(菌)이 높은 비율(比率)로 검출(檢出)되었다. 2. 벼 종자상(種子上)에서 진균(眞菌)의 검출(檢出)에 미치는 광선(光線)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Alternaria tenuis, Helminthosporium oryaze, Trichoconiella padwickii, Fusarium moniliforme, Fusarium semitectum 등(等)은 암흑구(暗黑區)에서 보다 광선조사구(光線照射區)에서 검출율(檢出率)이 높았고 Phoma sp. Curvularia lunata, Epicoccum purpurascens, Verticillium sp.는 광선조사구(光線照射區)나 암흑구(暗黑區)나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Gerlachia oryzae는 암흑구(暗黑區)에서 오히려 검출율(檢出率)이 높았다. 3. 벼 종자상(種子上)의 배양온도(培養溫度)가 균류(菌類)의 검출(檢出)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Alternaria tenuis, Cladosporium cladosporioides는 저온구$(15^{\circ}C)$에서 검출율(檢出率)이 높았고 Phoma sp.는 고온구$(30^{\circ}C)$에서 검출율(檢出率)이 높았다. 4. 검출(檢出)된 각(各) 균류(菌類)가 종자(種子) 변색(變色)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공시(供試)한 7게(個)의 균류(菌類) 모두가 종자(種子) 변색(變色)에 관여(關與)하여 인공접종(人工接種)한 이삭에서의 천립중(千粒重)은 대조구의 천립중(千粒重)에 비해 모두 낮았고 특히 공시(供試)한 7개(個)의 균(菌)을 혼합접종(混合接種)한 이삭의 천립중(千粒重)과 등숙비율(登熟比率)은 대조구보다 저하(低下)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식물 생장 촉진 진균에 의한 담배의 생장 촉진과 뿌리 발달 (Growth promotion and root development of Nicotiana tabacum L. by plant growth promoting fungi (PGPF))

  • 홍은혜;이진옥;김수정;;김영남;김지성;김선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337-344
    • /
    • 2020
  • 식물생장촉진 미생물은 식물 뿌리에 영양을 원활하게 공급하거나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를 이용하여 식물의 내재 인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생장을 촉진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생장 촉진 진균 UOS의 담배에서의 생장 촉진 효과를 평가하고,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또한, UOS의 식물 생장 촉진 인자를 탐색하고자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분석을 통해 UOS의 VOCs를 확인하였다. UOS를 처리한 담배는 무처리구에 비해서 3.8배의 생중량이 증가하였고, I-plate를 이용한 분리된 공간에서는 UOS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생중량이 4.2배 증가하였다. 또한, UOS 처리구의 식물은 주근의 길이가 약2배 짧아지고 측근의 수가 약2배 증가하였다. UOS은 포자 및 균사 형태와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하여 Phoma sp.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GC-MS분석을 통해 UOS는 hexamethylcyclotrisiloxane (D3)라는 VOC를 갖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Phoma sp.의 진균 UOS가 VOC물질인 D3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식물 생장 촉진 및 뿌리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낸다. UOS와 그의 VOC인 D3의 활용은 농업에서 생장량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Identification of Phoma sp. Detected on Rice Seeds

  • Hong, Sung-Kee;Cho, Weon-Dae;Kim, Woo-Sik;Han, Seong-Soo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32.1-132
    • /
    • 2003
  • A Phoma sp. was detected on rice seeds and was identified as Phoma sorghina (Sacc.) Boerema, Dorenbosch & Van Kesteren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n oatmeal agar, pycnidia were abundant, solitary, scattered or gregarious, subglobose to flask-shaped, usually with a distinct neck and ostiole, glabrous, blackish-brown, 55∼185 ${\times}$ 40∼170 $\mu\textrm{m}$ in size. Conidiogenous cells were monophialidic, hyaline, subglobose to ampulliform, 3∼5 $\mu\textrm{m}$ in diameter. Conidia were ovoid to ellipsoidal, hyaline, unicellular and measured 3.5∼6.0 ${\times}$ 1.5 ∼3.0 $\mu\textrm{m}$ (usually 4.0∼5.0 ${\times}$ 2.0∼2.5 $\mu\textrm{m}$) in size. Chylarnydospores were variable, uni- or multicellular, intercalary or terminal, solitary or in chains, dictyosporous or botryoid. NaOH spot test was positive on malt extract agar.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 sorghina identified on rice seeds in Korea.

  • PDF

Didymella acutilobae sp. nov. Causing Leaf Spot and Stem Rot in Angelica acutiloba

  • Gyo-Bin Lee;Ki Deok Kim;Weon-Dae Cho;Wan-Gyu Kim
    • Mycobiology
    • /
    • 제51권5호
    • /
    • pp.313-319
    • /
    • 2023
  • During disease surveys of Angelica acutiloba plants in Korea, leaf spot symptoms were observed in a field in Andong in July 2019, and stem rot symptoms in vinyl greenhouses in Yangpyeong in April 2020. Incidence of leaf spot and stem rot of the plants ranged from 10 to 20% and 5 to 30%, respectively.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ungal isolates from the leaf spot and stem rot symptoms fitted into those of the genus Phom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two single-spore isolates from the symptoms using concatenated sequences of LSU, ITS, TUB2, and RPB2 genes authenticated an independent cluster from other Didymella (anamorph: Phoma) species. Moreover, the isolates showed different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to closely related Didymella species. These discoveries confirmed the novelty of the isolates. Pathogenicity of the novel Didymella species isolates was substantiated on leaves and stems of A. acutiloba through artificial inoculation. Thus, this study reveals that Didymella acutilobae sp. nov. causes leaf spot and stem rot in Angelica acutiloba.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xtracellular ${\beta}$-Glucosidase Produced by Phoma sp. KCTC11825BP Isolated from Rotten Mandarin Peel

  • Choi, Jung-Youn;Park, Ah-Reum;Kim, Yong-Jin;Kim, Jae-Jin;Cha, Chang-Jun;Yoon, Jeong-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5호
    • /
    • pp.503-508
    • /
    • 2011
  • A ${\beta}$-glucosidase from Phoma sp. KCTC11825BP isolated from rotten mandarin peel was purified 8.5-fold with a specific activity of 84.5 U/mg protein. The purified enzyme had a molecular mass of 440 kDa with a subunit of 110 kDa. The partial amino acid sequence of the purified ${\beta}$-glucosidase evidenced high homology with the fungal ${\beta}$- glucosidases belonging to glycosyl hydrolase family 3. Its optimal activity was detected at pH 4.5 and $60^{\circ}C$, and the enzyme had a half-life of 53 h at $60^{\circ}C$. The $K_m$ values for p-nitrophenyl-${\beta}$-D-glucopyranoside and cellobiose were 0.3 mM and 3.2 mM, respectively. The enzyme was competitively inhibited by both glucose ($K_i$=1.7 mM) and glucono-${\delta}$-lactone ($K_i$=0.1 mM) when pNPG was used as the substrate. Its activity was inhibited by 41% by 10 mM $Cu^{2+}$ and stimulated by 20% by 10 mM $Mg^{2+}$.

Phoma sp.에 의한 대추나무 점무늬병 방제용 살균제 선발 (Selection of fungicides to control leaf spot of jujube (Zizyphus jujuba) trees caused by Phoma sp.)

  • 이봉훈;임태헌;차병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40-46
    • /
    • 2000
  • Phoma sp.에 의한 대추나무 점무늬병 방제용 살균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모두 26종의 살균제를 대상으로 $250{\mu}g\;a.i./m{\ell}$ 의 농도에서 균사생장을 조사한 결과 benomyl 등 8종의 살균제가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들 8종의 살균제에 대하여 균사 최소생장억제농도 (MIC)와 포자발아억제력을 조사하였는데, myclobutanil 등 3종은 포자발아억제력은 우수하였으나 포장에서 사용시의 권장농도보다도 높은 MIC 값을 보여 이들을 제외한 5종 (benomyl, iminoctadine-triacetate (IT), iprodione과 propineb 합제 (IP), thiophanate-methyl과 triflumizole 합제 (TT), carbendazim과 kasugamycin 합제 (CK)에 대하여 온실에서 예방효과와 치료효과를 검정하였다. Benomyl, CK, TT 등의 MIC는 $10-50{\mu}g\;a.i./m{\ell}$ 사이에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IP와 IT의 MIC는 $50-250{\mu}g\;a.i./m{\ell}$이었다. 또한 포자발아 억제시험 결과 IT는 $0.4{\mu}ga\;.i./m{\ell}$의 농도에서 99%, 그리고 CK와 TT는 $10{\mu}g\;a.i./m{\ell}$에서 90% 이상의 포자발아를 억제하였으나, benomyl과 IP는 $10{\mu}g\;a.i./m{\ell}$에서 각각 22.8%와 9.2%라는 낮은 억제율을 보였다. 예방효과시험에서 CK와 TT는 모두 권장 농도 (1,000 ppm)에서 70% 내외, 배량 농도 (2,000 ppm)에서 90% 내외의 방제 효과를 보였고, benomyl은 2,000 ppm, IP는 4,000 ppm, IT는 8,000 ppm에서 70% 내외의 병 방제 효과를 보였다. 치료효과시험에서는 각 살균제를 1,000 ppm으로 처리하였을 때 benomyl이 90% 이상의 방제가를, 그리고 CK와 TT가 70-80%의 방제가를 보였다. 반면에 IP는 2,000 ppm에서도 방제가가 6.7%로 매우 낮았으며, IT는 전혀 방제효과가 없었다. 더구나 IT 는 예방 효과 시험과 치료 효과 시험 모두에서 약해를 보였다. 따라서 대추나무 점무의병의 방제약제로는 benomyl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저항성 균의 출현 등을 저지하기 위해서 병이 발생하기 전에는 CK나 TT를 사용하고, 병이 발생한 이후에는 benomy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온실 CO2 공급용 Membrane Module의 유해병원균(Phoma sp.)의 제거효과 (Membrane Module for Greenhouse CO2 Supply Removal Effect of Harmful Pathogen (Phoma sp.))

  • 김성식;김희태;조재민;조원준;김현태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33-33
    • /
    • 2017
  • 본 연구는 온실 $CO_2$ 공급용 Membrane Module이 대기 중 $CO_2$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유해병원균을 제거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Membrane Module과 유해병원균의 유무로 총 4개의 실험구, 포집하는 시간에 따라 1 min, 3 min, 5 min, 각각 3회씩, 총 36회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경상대학교 내 온실($W{\times}D{\times}H$, $3000{\times}4000{\times}2500mm$)에서 진행하였고, 유해병원균은 잎점무늬병을 일으키는 병원균(Phoma sp.)을 사용하였다. 온실에 Membrane System을 설치하고 Membrane Module을 통해 외부공기 또는 유해병원균이 포함된 공기를 분리하여 온실 내로 공급하고, 공급한 $CO_2$ 내에 유해병원균의 유무는 에어샘플러를 이용하여 온실 내의 공기를 포집 후 배지에 배양하여 확인하였다. 유해병원균은 PDA배지를 이용하여 포집한 뒤 항온항습기(HB-105SG-O, HANBAEK SCIENTIFIC CO., Korea)에 $25^{\circ}C$, 50%로 48시간 배양하였다. PDA배지 내에 배양된 미생물은 Colony Counter(HYC-560, CORETECH, Korea)로 측정하였다. 결과 값을 분석하기 위해서 IBM SPSS Statistics의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값은 유해병원균을 공급하고 Membrane Module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CFU(Colony-Forming Unit)가 가장 높았고, 유해병원균을 공급하고 Membrane Module을 사용했을 때 CFU가 가장 낮았다.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Membrane Module을 사용하지 않은 실험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Membrane Module을 사용한 실험구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Membrane Module이 대기 중 $CO_2$를 분리하여 온실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병원균을 제거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가시오갈피에서 발생하는 주요 병해충 특성 (Characteristics of Major Diseases causing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 이재홍;정햇님;강안석;최강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9-202
    • /
    • 2007
  • 가시오갈피에 발생하는 다양한 병해충을 분리, 동정하여 가시오갈피의 지속적인 안전재배를 위한 병 ${\cdot}$ 해충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가시오갈피에 발병하는 병원균을 분리동정한 결과 Phoma sp., Rhizoctonia solani, Botrytis cinerea 등 3종으로 밝혀졌으며, 병징의 특징에 따라 각각 검은무늬병, 잎마름병, 잿빛곰팡이병으로 명명하였다. 병원균에 의한 가시오갈피의 피해는 Phoma sp.에 의한 검은무늬병이 가장 컸으며, 개체별 병징의 형태나 병발생의 차이는 있었지만 6월 초부터 병반이 관찰되어 9월부터 병반면적이 30%를 넘어 계속 확대되었다. 수집균주의 배양온도별 균사생장량을 검토한 결과 균주 모두 $25^{\circ}C{\sim}30^{\circ}C$에서 생장량이 가장 많아, 여름 고온기에 많이 발생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해충별 발생시기 및 가해부위를 보면 진딧물은 6월 10일부터 관찰되어 어린 줄기를 흡즙하였고, 8월 상순에 다시 발생해 새로 분화되는 어린 화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흡즙하였으며 노린재와 끝검은말매미충은 8월하, 6-7월에 각각 나타났으나 피해는 관찰되지 않았다.

Bacillus velezensis YP2의 겨자채 흰가루병의 생물적 방제 (Biocontrol of Leaf Mustard Powdery Mildew Caused by Erysiphe cruciferarm using Bacillus velezensis YP2)

  • 이상엽;원항연;김정준;한지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9-374
    • /
    • 2016
  • Bacillus velezensis YP2 균주는 쌈채소에서 분리한 Cercospora sp. 1~3, Septoria sp., Colletotrichum sp., Sclerotinia sclerotiorum, Phoma sp., Botrytis cinerea에 대하여 균사생육을 억제하였다. B. velezensis YP2 균주의 LB배양액을 10배 희석액은 적겨자와 청겨자에 발생하는 Erysiphe cruciferarm에 의한 흰가루병을 91.8%와 80.9% 방제효과을 보였다. B. velezensis YP2 균주의 배양액을 10배 희석하여 5일 간격 4회 처리구가 적겨자 흰가루병을 70.6%, 7일 간격 3회 처리구는 65.0%, 10일 간격 2회 처리구는 49.5% 방제하였다. 또한 B. velezensis YP2 균주는 적겨자 종자 발아를 증가시켜고 생육을 촉진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YP2 균주는 겨자채 흰가루병 방제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참당귀에서 분리된 내생균의 다양성과 병원균 억제 효과 (Species Diversity and Antifungal Activ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Nakai)

  • 박혁;정충렬;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97-505
    • /
    • 2021
  • 다양한 지역에서 채취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잎, 줄기, 뿌리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내생균 균주는 형태적특징과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지역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총 35종의 내생균이 동정되었다. 내생균의 다양성은 참당귀의 조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분리된 내생균은 참당귀 점무늬병균 Phoma sp. Y11 균주와 대치배양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14종의내생균이균주 Y11에대해억제효과를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참당귀에서 분리한 내생균이 참당귀의 점무늬병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