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l-crosslinking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초

구형 페놀수지 입자의 크레졸을 이용한 가교조절 및 탄화물성 변화 (Crosslinking Density Control and Its Carbonization Characteristics of Spherical Phenolic Resin Particles by Using Cresol as Comonomer)

  • 한동석;김홍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4호
    • /
    • pp.618-623
    • /
    • 2020
  • 구형 페놀수지 입자 및 상대적으로 가교밀도가 낮은 구형 페놀-크레졸 공중합체 수지를 페놀, ortho-크레졸, 및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염기성 촉매인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의 존재 하에 98 ℃에서 현탁중합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페놀은 두 개의 ortho 및 한 개의 para 위치에서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하여 가교구조를 형성하지만 ortho-크레졸은 선점된 하나의 ortho 위치의 methyl 기로 인하여 공중합 시 가교 밀도를 저하시킨다. 그 영향으로 700 ℃ 질소 환경에서의 탄화 시 구형 페놀수지 비드에 비해 구형 페놀-크레졸 공중합체 수지의 경우 겉보기 밀도의 감소와 함께 수축율의 증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크레졸 올리고머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탄화 된 공중 합체 비드의 기공 반경이 감소하여 밀도 및 수축 결과와 일치 하였으며, 크레졸을 이용하여 구형 페놀수지 입자의 가교도를 조절함으로써 탄화과정에서의 밀도 감소율이 약 3~6%포인트 증가되고, 수축율은 약 6~20%포인트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리콘 막을 이용한 페놀-물 혼합물의 투과 증발 분리 (Pervaporation Separation of Phenol-Water Mixtures by Using Silicone Membranes)

  • 임지원;손민영;이규호
    • 공업화학
    • /
    • 제5권5호
    • /
    • pp.772-778
    • /
    • 1994
  • 페놀-물 혼합 용액에 대하여 Type 1과 Type 2의 실리콘 막을 이용하여 30, 40, $50^{\circ}C$에서 투과 증발 분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공급 원액의 페놀 농도는 500ppm부터 5wt%이었다. 실험 결과, Type 2막이 Type 1막보다 분리능력이 더 효율적이었다. 공급원액의 농도가 5wt%와 500ppm일 때, Type 2막을 이용하여 투과액의 페놀 농도가 각각 70wt%, 11wt%의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 PDF

충진층 반응기를 이용한 폐수처리에서 페놀의 분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Phenol Degrad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using Packed bed reactor)

  • 염승호;최석순
    • 환경위생공학
    • /
    • 제11권3호
    • /
    • pp.13-19
    • /
    • 1996
  • Packed bed reactor containing immobilized microorganisms which degraded phenol without growth was used to remove phenol from the synthetic wastewater. The effects of temperature, retention time(reactor volume/flow rate) and phenol concentration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phenol wer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mperature in the range of 20-30$\circ $C was negligible while retention time and phenol concentration influenced the removal of phenol significantly. When retention time was in the range of 1-1.5 hour, the removal efficiency of phenol was affected not by phenol concentration but by retention time itself while it was influenced by phenol concentration above 1.5 hour of retention time. The beads after 720 hours operation were swelled by 40 % in diameter which could be prevented by crosslinking with glutaraldehyde at the expense of cell activity.

  • PDF

Organic Reaction Utilizing Cycilic Carbonate I. Polymerization of monochloroethylenecarbonate with phenols

  • Moon, Do-W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8권4호
    • /
    • pp.191-195
    • /
    • 1985
  • The polymerization of title compound (MCEC, I) with phenols led to give corresponding resole type polymer. Phenol and p-methoxyphenol polymer had a relative higher molecular weight and a property of elastomer, but p-chloro-and p-nitrophenol polymer had a lower ones. Also, phenol and p-meth-oxyphenol gave to crosslinking polymer by elongation of reaction period and rising of temperature.

  • PDF

페놀계 고분자를 이용한 절연막의 제작과 MIM구조에서의 전기적 특성 (Fabrication of insulating fifes using phenolic polymer and electrical properties in MIM structure)

  • 김경환;유승엽;정상범;박재철;권영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7-349
    • /
    • 1999
  • We have fabricated insulating thin films using p-hexadecoxyphenol(p-Hp) that was formed phenol-formaldehyde resin of crosslinked structure from reaction with formaldehyde by LB technique. For fabricated MIM device, the possibility for insulating layers of electronic were investigated by electrical properties of their LB films according to crosslinking of LB films current-voltage (I-V) properties and frequency-capacitance (C-F) characteristics. We have provided evidence for the high insulating performance of phenol-formaldehyde thin films by the LB method. Conductivity of their LB films was as follows: pure water > 1 % aq. Formaldehyde > heat treatment, in the current-voltage (I-V) characteristics. It is demonstrated that insulation properties of crosslinked p-HP LB films were improved. In capacitance-frequency properties, the heat-treated p-HP LB films for crosslinking showed a low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 PDF

페놀 수지를 이용한 NBR/냉연강판 접착계에 미치는 NBR 조성의 효과 (Effect of NBR Component on Adhesion Behaviors between NBR and Metal Joints Using Phenol Adhesive)

  • 이동원;박해윤;유영재;강동국;서관호
    • 폴리머
    • /
    • 제32권1호
    • /
    • pp.1-6
    • /
    • 2008
  •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NBR)의 접착력 및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하였다. 최상의 조건을 선별하기 위해서 NBR의 acrylonitrile(ACN) 함량에 따른 접착물성 및 가공성을 관찰하였다. 무늬 점도, 충전제, 가소제 및 가교제가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NBR의 ACN 함량은 NBR sealing에서 접착거동 및 가공성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가 있었다. 최상의 혼합 조건을 알기 위해서 분산도를 조사하였다. 분산도는 혼합순서, 시간 및 온도 등의 많은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가교시스템은 황 가교시스템, 과산화물 가교시스템, 가교밀도 및 구조 등의 관찰로 연구하였다. 접착제의 변화는 건조 상태와 hexamine 함량 등과 같은 것으로부터 NBR과 접착제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 결과 접착 물성과 가공성은 ACN 함량 및 가교시스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Dodecyl phenol novolac 에폭시수지의 합성과 도막물성 (Synthesis of Dodecyl Phenol Novolac Epoxy Resin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atings)

  • 이동찬;김진욱;최중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15-626
    • /
    • 2016
  • 약용매에 용해가 가능한 알킬기 변성 에폭시수지를 합성하기 위하여, 1단계에서 당량비 기준 dodecyl phenol (DP)/formaldehyde = 1.25~1.333/1.0로 하여, 합성된 도데실 페놀 노볼락 화합물의 벤젠 고리수가 3.0~5.0가 되도록 합성하였고, 2단계에서는 당량비 기준으로 1단계에서 합성된 도데실 페놀 노볼락 화합물/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 (YD-128) = 1/2로 합성하였고, 3단계는 지방산을 투입하여 지방산 변성 도데실 페놀 노볼락 에폭시수지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수지의 반응성도, 점성도와 분자량 변화, 약용매 가용성 등을 측정한 결과, 1단계에서 합성된 도데실 페놀 노볼락 화합물의 벤젠고리수가 늘어남에 따라 지방산 변성 도데실 페놀 노볼락 에폭시수지의 점도가 상승하였고, 약용매 가용성이 우수하였다. 도료 제조 후 물성을 측정한 결과, 개환촉매로 triphenylphosphine(TPP)을 사용한 DPFAC-5는 건조속도, 접착성, 도막경도, 내충격성, 내산성 및 저장안정성이 양호하였다.

폴리에틸렌의 가교반응에 미치는 삼관능성 단위체와 산화장지제의 영향 (Effect of Trifunctional Monomers and Antioxidants on the Crosslinking Reaction of Polyethylene)

  • Hyung Chick Pyun;Young Chul Lee;Kil Jeong Kim;Byung Mok Yo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70-77
    • /
    • 1982
  • 전자선을 이용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가교시킬때의 삼관능성 단위체와 산화방지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가교촉진제로서는 삼관능성 단량체인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TMPTM)과 Triallyl cyanurate(TAC)가 사용되었고, 산화방지제로서는 Irganox 1010(Pentaerythritol-tetrakist[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Santo-nox R(4,4'-Thio-bis(3-methyl-6-t-butylphenol)), Nocrac D(N-phenyl-$\beta$-naphthylamine)와 Bisphenol A(4,4'-Iso-propylidene bisphenol)가 사용되었다. 삼관능성 단위체중에서 TMPTA가 폴리에틸렌의 가교도를 제일 크게 높였으며 또한 산화안정성도 부여했다. 산화방지제중에서 Nocrac D가 폴리에틸렌에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레졸형 구형 페놀입자의 합성에서 반응물의 조성이 입자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actant Composition on the Synthesis of Resole-Type Phenolic Bead)

  • 한동석;김홍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1호
    • /
    • pp.63-67
    • /
    • 2014
  • 페놀-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하여 레졸형 구형 페놀수지 입자를 합성함에 있어 반응물의 조성이 입도분포, 수율 및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산매의 양을 감소시킴에 따라 현탁액의 점도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입도분포의 변화 및 응집 현상의 원인이 됨을 확인하였고, 안정제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현탁입자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평균입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정량 이상의 경화제의 사용은 입도분포 및 수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형성된 입자 내부의 격렬한 경화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물분자의 탈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SEM 사진을 통해 확인하였다.

경화온도에 따른 Castor Oil/epoxy의 강인성 (The Toughness of Castor Oil Modified Epoxy Resins by Various Cure Temperatures)

  • 김종석;홍석표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973-978
    • /
    • 1997
  •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수지에 castor oil(CO)로 혼합한 후 경화촉매인 tris(dimethylaminomethyl) phenol (DMP-30)로 반응시킨 에폭시의 강인성과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개질제인 CO와 에폭시수지의 혼합물은 기존의 에폭시 개질제인 carboxyl terminated butadiene acrylonitrile(CTBN)보다 상용성이 좋았다. 경화온도와 CO의 양이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가 감소하였는데, CO/에폭시 경화물은 경화온도가 증가할수록 가교밀도가 감소하면서 연성구조를 갖게 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CO/에폭시 경화물은 경화온도 $40^{\circ}C$에서 CO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강인성이 약간 증가하였다. 경화온도가 증가와 CO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강인성이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