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trous bon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9초

Primary Glioblastoma of the Cerebellopontine Angle :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Lee, Ji-Hye;Kim, Jong Hyun;Kwon, Taek-Hy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0권3호
    • /
    • pp.380-384
    • /
    • 2017
  • Glioblastoma multiforme (GBM) is located most frequently in the cerebral hemispheres. Glioblastoma presenting as an extraaxial mass of cerebellopontine angle (CPA) is very rare in adults. We report a rare case of GBM arising in the CPA. The patient was a 71-year-old female, who complained of progressive gait disturbance and poor memory. Initi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vealed a $1.4{\times}1.3cm$ mass in the left CPA, with broad base to the petrous bone, showing homogenous enhancement. Follow-up MRI showed a rapid increase in size of mass ($2.7{\times}2.2cm$) with a necrotic portion. A stereotactic biopsy was done under the guidance of navigation system, and the histopathologic diagnosis was GBM, World Heath Organization grade IV. Further surgical resection was not performed considering her general condition, and the patient underwent concurrent chemo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Although rare, the possibility of glioblastoma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typical CPA tumor.

고압산소요법으로 치료한 뇌기저부 방사선골괴사 1예 (Management of Skull Base Osteoradionecrosis with Hyperbaric Oxygen Therapy)

  • 황은;이종주;신유섭;김철호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6-69
    • /
    • 2011
  • Skull base osteoradionecrosis(ORN)is a rare complication of radiotherapy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but is one of the most severe and possibly fatal condition followed by radiotherapy. However, the treatment of skull base ORN has seldom been thoroughly described yet. Here we report a case of skull base ORN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hyperbaric oxygen therapy(HBO). A 52-year-old man visited our department complaining of trismus and foul odor. He was diagnosed with nasopharyngeal cancer with multiple lymph node metastasis one year ago and underwe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On the physical examination, mucopus and crusts with exposed necrotic bone was seen in the right nasopharynx. On the paranasal sinus magnetic resonance imaging, osteoradionecrosis which was extending from the right nasopharynx to the clivus, petrous apex, and cavernous sinus was noted. Nasopharynx biopsy resulted of ulcer with no malignant cells. HBO therapy was performed with debridement of nasopharynx for 3 months. There was no sign of recurrence or residual ORN 18 months after HBO therapy.

Haas 촬영법에서 선예한 영상 획득을 위한 연구 (A Study to Acquire Sharp Images in the Haas(Skull PA Axial Projection))

  • 안준호;한재복;송종남;김인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19-325
    • /
    • 2022
  • 본 연구는 머리뼈 후전축방향 촬영(Haas)에서 선예한 영상을 얻어 진단하고자 Skull -Phantom을 이용하여 자세 각도를 변경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대학병원 영상의학과에 근무한 방사선사 5명에게 주관적 영상평가한 결과 머리를 엎드린자세에서 머리 뒤쪽의 뒤통수점에서 4 cm 아래로 내리고 머리쪽을 향하여 25° 입사하여 촬영시에 뒤통수뼈와 큰구멍내에 투영된 안장등, 뒤침대돌기등 영상평가 점수가 20점으로 높았으며, 뒤통수점에서 아래로 8 cm 내려서 머리쪽으로 30° 입사 시 바위모뿔대칭의 음영, 바위능선과 시상봉합, 시웃자봉합 등 19점으로 높은 영상평가를 받았다. 또한, 점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Cronbach Alpha 값이 0.789 신뢰도가 좋음을 평가 받았다. 영상의 관심영역(ROI)을 설정하여 신호대잡음비(SNR)를 산출한 결과 머리 뒤쪽 뒤통수점에서 4 cm 아래로 내리고 머리쪽으로 25° 입사 시 5.957로 가장 높으며, 뒤통수점에서 아래로 8 cm 내려서 입사 시는 머리쪽으로 30° 기울여 촬영하였을 때 6.430으로 가장 높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머리 후전축방향 촬영시 뒤통수뼈와 안장, 뒤침대돌기의 선예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뒤통수점에서 아래로 4 cm 에서 머리쪽으로 25° 입사하여 촬영하고 바위모뿔대칭의 음영과 바위능선과 시상봉합, 시웃자봉합의 선예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뒤통수점에서 아래로 8 cm 내려서 머리쪽으로 30° 기울여 촬영한다면 임상에서 활용에 도움이 있으리라 사료된다.

측두하악관절의 panoramic double TMJ 방사선사진상에서 하악과두와 인접구조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yle and adjacent structures in double temporomandibular joint view using panorama)

  • 이창율;김재덕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1권4호
    • /
    • pp.209-214
    • /
    • 2001
  • Purpose: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double TMJ view by multifunctional panorama to view the bony components and the space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Materials and Methods: Ten dry skulls fitted with resin shims over the articular surface of the condyle were used to reproduce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pace. Fine metal wires were attached to the three portions of contours of the condylar head and the articular eminence. With 10 dry skulls and 20 cases having TMJ dysfunction, double TMJ views by multifunctional panorama (Planmeca 2002 Proline CC) and transcranial views were taken, analyzed from the anatomical view point, and compared statistically in view of the widths of the posterior joint space and the condylar head. Results: In double TMJ view, the supero-anterior part of the condyle represented the lateral 1/3, the most superior part represented center portion, and the posterior part medial l/3 of the condyle. In maximum mouth opening, no other structures were superimposed with the condyle in double TMJ view. In double TMJ view, petrous bone was moderately superimposed with the superior part of the condyle and the posterior increment of angle exposure made wider the images of the articular eminence and the condyle. The tendency of reduction in the posterior joint space appeared in the side of TMJ dysfunction compared with the normal side. The posterior joint spaces in double TMJ view were statistically wider (p<0.05) than those in transcranial view.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179 between the widths of the posterior joint spaces in two radiographic views. Conclusions: Double TMJ view can be substituted for transcranial view in evaluating the TMJ dysfunction.

  • PDF

악관절규격촬영시 적절한 입사각의 결정 및 재현성의 평가 (DECISION OF PROPER PROJECTION ANGLE AND EVALUATION OF REPRODUCIBILITY IN TRANSCRANIAL RADIOGRAPH)

  • 류정수;최순철;이상한
    • 치과방사선
    • /
    • 제21권1호
    • /
    • pp.99-107
    • /
    • 1991
  • 저자는 두부규격방사선사진 촬영기에서 건조 두개골 10개의 basal view와 lateral view상에서 측두골의 추체와 접형골의 후상상돌기가 악관절부위에 중첩되지 않는 수평면과 수직면에서의 입사각을 구하였고 Denar사의 Accurad-100의 형태대로 제작하고 고정장치와 cephalostat를 사용하여 촬영된 방사선사진의 재현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중심방사선의 입사각은 수직면에서는 24.5±4.1°, 수평면에서는 3.0±5.7°였으며 재현성을 검정하기 위해 건조두개골의 악관절부위에 임의의 3점을 계측하였든 바 Accurad-100의 형태대로 제작한 고정장치를 이용한 경우에는 AB간의 거리 24.60±0.25㎜, AC간의 거리 16.76±0.27㎜, BC간의 거리 8.79±0.18㎜이었고 cephalostat를 이용한 경우에는 AB간의 거리 29.03±0.14㎜, AC간의 거리 19.95±0.24㎜, BC간의 거리 10.08±0.07㎜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은 상당히 양호한 재현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cephalostat를 이용한 경우 더욱 재현성이 좋았다.

  • PDF

개에서 만성외이염과 중이염에 대한 전이도 적출술과 외측 고포절골술: 수술 후 회복과정과 장기간 예후 (Total Ear Canal Ablation and Lateral Bulla Osteotomy for Chronic Otitis Externa and Media in Dogs: Postoperative Recovery and Long-Term Follow-up)

  • Kim, Joon-Young;Jeong, Soon-Wuk;Jeong, Man-Bok;Han, Hyun-Jung;Kim, Je-S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6-32
    • /
    • 2003
  • 전이도적출술 및 외측고포절골술 (total ear canal ablation combined with lateral bulla osteotomy, TECA-LBO)을 행한 10개의 (6마리의 개) 임상결과를 수술 후 회목과정과 장기간 예후를 통해서 평가하였다. 모든 개들은 아래의 다섯가지 소견을 보일 때 TECA-LBO를 실시하였다. 첫째, 적어도 2개월 이상 약물적인 치료가 더 이상 임상증상을 호전시키지 못하는 경우, 둘째, 고막이 완전히 사라진 경우, 셋째, 고포의 방사선밀도가 증가된 경우, 넷째, petrous temporal bone에 경화가 일어난 경우, 다섯째, 이도의 석회화가 진행된 경우. 수술 후 회복경과는 입원 14일 동안, 퇴원 후 7.5개월에 평가하였다. 수술 후 14일째 만성외이염 및 중이염의 증상인 귀를 긁는 것, 통증, 그리고 귀의 경화는 사라졌다. 그리고 이때 수술부위의 종창, 발적, 머리를 기울이는 증상 그리고 Penrose에 의한 삼출물은 모두 사라졌다. 눈을 깜박이지 못하는 것은 4예에서 발생하였고, 이것은 수술 후 14일째 사라졌다. 하지만 한 경우에는 3개월 뒤에 사라졌다. 모든 개들은 수술 후 14일째 퇴원하였다. 퇴원 후 3.5개월에서 6.5개월 사이에 para-aural abscessation이 모든 코커 스파니엘 종에서 발생하여 VBO을 통해 완치시켰다. TECA-LBO를 행하고 para-aural abscessation이 생기지 않은 개들에서는 수술 후 7.5개월 후 귀를 긁는 것, 통증, 귀의 경화가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고, 듣는 능력도 향상되었다. 또한 TECA-LBO를 행하고 para-aural abscessation이 생긴 개들에서는 VBO를 행하고 7.5개월 후 귀를 긁는 것, 통증, 귀의 경화가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고, 듣는 능력도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전이도적출술 및 외측고포절골술은 적용한 후 약 2주 정도의 치료 경과를 보였고 치료 후 코커 스파니엘종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합병증 없이 좋은 회복을 보였다. 그리고 수술 후 눈을 깜박이지 못하는 것은 수술 후 약 2주안에 자연적으로 사라졌다. 그리고, para-aural abscessation은 수술 후 4개월에서 7개월 사이에 발생하므로 follow-up 은 8개월까지 이루어져야 한다.

Diagnostic Value of Susceptibility-Weighted MRI in Differentiating Cerebellopontine Angle Schwannoma from Meningioma

  • Seo, Minkook;Choi, Yangsean;Lee, Song;Kim, Bum-soo;Jang, Jinhee;Shin, Na-Young;Jung, So-Lyung;Ahn, Kook-Ji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4권1호
    • /
    • pp.38-45
    • /
    • 2020
  • Background: Differentiation of cerebellopontine angle (CPA) schwannoma from meningioma is often a difficult process to identify. Purpose: To identify imaging features for distinguishing CPA schwannoma from meningioma an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susceptibility-weighted imaging (SWI) in differentiating them.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10 and January 2015, this study pathologically confirmed 11 meningiomas and 20 schwannomas involving CPA with preoperative SWI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Generally, the following MRI features were evaluated: 1) maximal diameter on axial image, 2) angle between tumor border and adjacent petrous bone, 3) presence of intratumoral dark signal intensity on SWI, 4) tumor consistency, 5) blood-fluid level, 6) involvement of internal auditory canal (IAC), 7) dural tail, and 8) involvement of adjacent intracranial space. On CT, 1) presence of dilatation of IAC, 2) intratumoral calcification, and 3) adjacent hyperostosis were evaluated. All features were compared using Chi-squared tests and Fisher's exact tests. Th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imaging features that differentiate both tumors. Results: The results noted that schwannomas more frequently demonstrated dark spots on SWI (P = 0.025), cystic consistency (P = 0.034), and globular angle (P = 0.008); schwannomas showed more dilatation of internal auditory meatus and lack of calcification (P = 0.008 and P = 0.02, respectively). However, it was shown that dural tail was more common in meningiomas (P < 0.007). In general, dark spots on SWI and dural tail remained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P = 0.037 and P = 0.012,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ombination of two features showed a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80% and 100% respectively, with an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0.9. Conclusion: In conclusion, dark spots on SWI were found to be helpful in differentiating CPA schwannoma from meningioma. It is noted that combining dural tail with dark spots on SWI yielded strong diagnostic value in differentiating both tumors.

비글 견에서 발생한 특발성 전정계 질병 증례: 임상적 발견과 결과 (Idiopathic Vestibular Disease in a Beagle Dog: Clinical Findings and Outcome)

  • 강병택;정동인;박철;구수현;전효원;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0-343
    • /
    • 2006
  • 10년령의 암컷 비글 견이 우측으로의 사경과 중등도의 보행실조가 급성으로 발병하여 내원하였다. 12일 전에 임상증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내원 일까지 점진적으로 호전되고 있는 상태였다. 환견은 활발하고 의식이 명료하며 외부자극에 잘 반응하였다. 신경 검사 상에서 약간의 우측으로의 사경과 보행실조가 관찰되었고 따라서 전정계 질환을 의심할 수 있었다. 임상증상, 자기공명영상, 그리고 뇌척수액 검사를 통해서 중추성 전정계 질병을 감별하였다. 검이경 검사를 통해서 고막의 존재와 정상 형태를 확인하였다. 방사선 및 자기공명영상 검사상에서 고실불룩과 측두골의 암석부분에서 이상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 자극 시험을 통해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감별하였다. 임상증상은 퇴원 2주 후 완전히 사라졌다. 따라서 임상증상, 전정계 기능이상을 유발하는 다른 원인들의 감별, 그리고 시간에 따른 증상의 완화를 통해서 특발성 전정계 질병으로 진단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