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narrative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3초

간호에서의 보살핌에 대한 철학적 탐구 -리쾨르(Ricoeur)의 이야기 윤리에 기초하여-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Caring in Nursing - Based on Ricoeur's Narrative Ethics -)

  • 공병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1333-1342
    • /
    • 2005
  • Purpose: This paper was aimed to inquire into Ricoeur's self -hermeneutics and narrative ethics, and apply it to personal identity constituting caring and care ethics in the practice of nurs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caring in nursing. Method: According to Ricoeur's narrative identity, ontological caring was interpreted as personal identity constituting caring. His ethics were described as care ethics, which contributed to preserving and promoting the personal dignity of the client, as self in search for the good life in the nursing practice. Results: Narrative understanding of the client pointed to the ontological role of care in the constitution of personal identity. From an ethical aspect of the narrative, respect for personal identity and personal dignity of the client was crucial to an ethical caring attitude, promoting self-esteem in the nursing practice.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ed that Ricoeur's ethics could provide a philosophical basis for understanding ontological and ethical caring in nursing. This contributed to protection of the client from the threat of personal identity, as well as respecting their personal dignity.

개인 생애기억 아카이브를 이용한 개인서사 구성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sonal Life Narrative Using Personal Memory Archives)

  • 류한조
    • 기록학연구
    • /
    • 제67호
    • /
    • pp.237-266
    • /
    • 2021
  • 기록학 연구에서 개인 아카이브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되지 않은 분야이다. 특히 평범한 개인이 스스로를 위한 아카이브를 구성하는 방안을 찾아 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개인이 자신을 위한 아카이브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으로 생애서사 구성을 제안하였다. 생애기억 아카이브의 구조와 메타데이터 설계를 위해 서사학 연구와 심리학의 기억연구 내용을 참고하였으며, 이를 아카이브의 계층성과 집합성 개념과 결합하였다. 또한 생애서사 구성을 위해 서사의 플롯 개념을 제안하여 스스로 자신의 생애서사를 구성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생애서사 아카이브의 구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는 향후 개인이 자신을 위한 아카이브를 마련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학교육과 축약.축역본의 위상

  • 이동환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1호
    • /
    • pp.209-233
    • /
    • 2009
  • Many difficult literary texts have been disregarded by the teachers as well as the students in the EFL context. The abridged version, however, has its pedagogical usability when viewed as an extension of the literary text like movies and comic strips. Legible abridgments boost up the critical mind among the learners by enhancing their involvement in responding more actively to each class. In addition, to study an abridged version makes the future teachers accustomed to use it as a usable material. Abridgment has its efficacy in the literary study, too: reader-response criticism and narrative scholarship. First, the learners' creative engagement to the text encourages them to draw their personal experiences which are made up of the basic storyline. Second, a personal experience linked to the story has a relationship to narrative scholarship proposed in contemporary ecocriticism. Narrative scholarship is a new academic trend that merges the writer's personal experience in physical surroundings with the text which describes the same or similar natural environment. The role of teachers is a key to succeed in the abridged version pedagogy. They can facilitate a web of learner, text, and social context by providing a friendly atmosphere to encourag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s well as supplementary materials of the original text.

  • PDF

'체험이야기'의 문학적 의의와 문화적 성격 (Literary Significance and Cultural Character of 'Personal Narrative')

  • 김경섭;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33-140
    • /
    • 2023
  • 우리가 문학적 또는 예술적이라고 칭하는 텍스트들의 근원은 상상일 수도 있지만, 경험에 바탕을 두는 경우도 많다. 오히려 경험이 상상의 바탕이 되므로 예술적 상상력의 근원은 경험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간의 경험을 원재료로 하여 그것을 말로 풀어내는 행위는 하나의 훌륭한 예술이 될 수 있다. 과거의 경험은 그것을 이야기로 엮고 생명력을 부여하는 작업에 필연적으로 창조적 재구성의 과정, 곧 문학적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체험이야기는 사실을 이야기로 엮고 형상으로 옮기는 문학적 과정으로서 의의가 있다. 개인의 체험은 개인의 기억으로 저장되고, 이런 '개인의 기억'은 이야기를 지속적으로 생산한다. 개인의 이야기들이 모인 복수의 이야기들은 또 다른 복수의 기억으로 저장되고 이런 복수의 기억들은 차츰 시대와 정세 그리고 보이지 않지만 강렬한 사회·문화적인 검열을 거쳐 점점 사회적으로 고착된 어떤 경향을 띤 '집단의 기억'을 형성하게 된다. 문제는 개개인이 자신이 겪은 것을 회상하여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집단의 기억에 자신의 기억을 짜맞추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이다. 개인의 기억과 집단의 기억은 실제 역사를 기반으로 사실에 가까운 논픽션 콘텐츠를 양산하기고 하고, 상상력이 가미된 픽션 콘텐츠로 드러나기도 한다. 본 논의에서 다루는 '체험이야기'는 우리의 문화 내의 논픽션 콘텐츠 중에서 매우 중요한 장르를 차지하고 있다.

Korean EFL Students' Reader Responses on an Expository Text and a Narrative Text

  • Lee, Jisun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3호
    • /
    • pp.161-175
    • /
    • 2011
  • This paper examines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reader responses on an expository text and a narrative text with the same topic.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y have different reading models depending on the two genres and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arners' proficiency levels. The analysis focuses on textual, critical, and aesthetic reading models in the reader responses written in English by science-gifted high school students (N=30).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s have different reading models in reading an expository text and a narrative text. They tend to read the expository text in a more critical way while reading the narrative text in a more personal and emotional way. Moreover, regardless of the proficiency levels, they wrote longer responses on the narrative text than the expository text. However, the proficiency level of English does not suppor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reading models. The findings provide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in L2 reading and suggest the pedagogical implication to pursue linguistic development as well as reading for pleasure.

  • PDF

내러티브 시각화 구현을 위한 비언어적 표현 연구-3D 고양이 캐릭터 "Puss"를 중심으로 (A Study on Non-Verbal Expressions for the Realization of Narrative Visualization -Focusing on a 3D Cat Character, "Puss")

  • 이영숙;김상남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59-672
    • /
    • 2016
  • In animated films, characters materialize narratives through acting. The narrative is an element to materialize accurate delivery of lines and emotions. The non-verbal actions should express lots of emotions and lines in scenes, and also they can be used as a way of empathy. This study analyzed the visualization factors of narrative focusing on a cat character frequently shown in animated films. For this, the visualization factors of non-verbal actions expressed in characters' personal space and dynamic space were extracted. Based on this, it aims to suggest the emotion expressing method of characters to realize effective narrative visualization. In the future, it aims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in case when producing non-verbal communication for 3D characters.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 이야기'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연구: 회복탄력성의 7개 하위영역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A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of 'Family Narrative' Program to Enhance Resilience - Based on the Analysis of 7 Domains of Resilience -)

  • 김예랑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1호
    • /
    • pp.5-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 이야기' 집단 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의 우선순위를 조사하고, 회복탄력성의 7개 하위영역별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 및 가족 이야기 관련 특성을 파악하여, 대학생들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의 7개 하위영역별로 대학생들의 수준을 '높음' 집단과 '낮음' 집단으로 나눠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의 각 하위영역별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 및 가족 이야기 관련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 대학생들이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로서 선택한 내용은 (1) 우리 가족의 주요 가족사건 이해하고 의미 찾기; (2) 우리 가족의 위기극복 방법 알고 의미 찾기; 그리고 (3) 우리 가족의 성취와 관련된 이야기를 알고 그 의미 찾기 등이었으며,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방안을 제안하였다.

체험 이야기하기의 구술적 특성에 대하여 (A Study on the Oral Characteristics in Personal Narrative Storytelling)

  • 김경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143-150
    • /
    • 2022
  • 현대 이야기 현장에 살아 숨 쉬는 언어 민속은 옛이야기가 아니라 개인의 체험을 이야기하는 개인서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서사는 구비문학 내의 여러 장르들처럼 창조의 충동으로부터 발생하기보다는 전달과 재창조의 충동에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전통적인 옛이야기에 비해 개인서사와 같은 체험에 대한 이야기의 경우 구연을 담당하는 이야기 화자 개인의 성향이 더해져서 연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 과정에서 '체험을 어림잡아 재단하고, 추억을 주먹구구식으로 재해석'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구비문학을 구비문학이게끔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문제는 구연 현장에서 필연적으로 포착되는 이러한 유의미한 요소들을 어떻게 다룰지이다. 본 논문의 주요 방법론인 텍스트 언어학은 이러한 구비문학의 즉흥적인 요소들을 포착해 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개인서사에 대한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은 현장의 분위기, 화자의 실수, 이야기 내용의 모순, 청중의 반응 등 그동안 구비문학 연구에서 다루기 힘들었던 구술적 특성들을 좀 더 다른 각도에서 논의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말'이라는 일회성, '어림셈'이라는 현장성, '대중의 지혜'라는 적층성을 기반으로 하는 구비문학의 구술시학을 효과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 나아가 공동체 문화에서 개개인의 언어 예술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체험 이야기하기 연구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산업유산 아카이빙을 위한 개인 생애서사 기반 수집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on Based on Personal History for the Archiving of Industrial Heritage)

  • 류한조
    • 기록학연구
    • /
    • 제66호
    • /
    • pp.37-67
    • /
    • 2020
  • 최근 산업유산은 도시재생 바람을 타고 문화시설로 변형되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주로 외관에 집중되어 있으며 설명 역시 거대서사로 축약된 경우가 많으며, 장소성은 충분히 전승되지 못하고 있다. 산업유산이 가진 장소성은 역사적 기억 뿐 아니라 개인의 기억을 포함하고 있다. 정체성의 근원이 될 수 있는 장소성이 보존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장소기억이 수집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개인의 생애서사를 중심으로 장소기억을 수집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안동역과 청주연초제조창 수집사례를 이용하여 생애서사를 사건으로 분해하였으며, 이를 장소기억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산업유산 장소 아카이빙 실행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은 기존의 방법론을 보완할 수 있다는데 의미를 가진다.

내러티브에 기반한 교육과정 장학 모형 개발의 예비적 탐색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Supervision Model Based on the Narrative)

  • 신영수;강현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486-50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l of curriculum supervision that can substantialize the educational value by studying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of present curriculum supervision. And this study focuses on reciprocal actions based on communication and dialogs. As the model of supervision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proposes the supervision model of curriculum based on narrative. We need to move the view point of bureaucratic administrative supervision to new vision. For the supervision matched with this new approach, the teachers' experience has to be reinforced by dialogs and communication between school members and the person in charge of supervision in the mood of respect. The educative value of school can be recovered by the narrative through interaction, respecting school members' experience and meanings in their life according to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based on teacher's experience, forming the school community by mutual communication, and constructing school culture coping with change of new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