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llection Based on Personal History for the Archiving of Industrial Heritage

산업유산 아카이빙을 위한 개인 생애서사 기반 수집 연구

  • 류한조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0.09.19
  • Accepted : 2020.10.22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Recently, industrial heritages have been transformed into cultural facilities in the wake of urban Regeneration. This focus is mainly on appearance, and the explanation is often abbreviated as a master narrative, and the placeness is not sufficiently inherited. The placeness of industrial heritage contains not only historical but also personal memories. Place memory must be collected and managed in order for the placeness that can be the source of identity to be preserved and utilized. To this end, this study suggested collecting place memories based on personal life histories. Using the case of collecting Andong Station and Cheongju Tobacco Factory, the life narrative was broken down into an event and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it as a place memory was proposed to implement archiving of industrial heritage sites. This methodology means that it can be supplemented rather than replaced.

최근 산업유산은 도시재생 바람을 타고 문화시설로 변형되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주로 외관에 집중되어 있으며 설명 역시 거대서사로 축약된 경우가 많으며, 장소성은 충분히 전승되지 못하고 있다. 산업유산이 가진 장소성은 역사적 기억 뿐 아니라 개인의 기억을 포함하고 있다. 정체성의 근원이 될 수 있는 장소성이 보존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장소기억이 수집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개인의 생애서사를 중심으로 장소기억을 수집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안동역과 청주연초제조창 수집사례를 이용하여 생애서사를 사건으로 분해하였으며, 이를 장소기억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산업유산 장소 아카이빙 실행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은 기존의 방법론을 보완할 수 있다는데 의미를 가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진, 장주은. 2011. 철도교통 관련 산업유산의 재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법론.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1), 105-126.
  2. 김동현. 2016. 공간 인식의 로컬리티와 서사적 재현양상 -화산도와 지상에 숟가락 하나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53, 333-366.
  3. 김명훈. 2014. 기억과 기록 : 사회적 기억 구축을 위한 기록학의 역할. 기록학연구, 42, 3-35. https://doi.org/10.20923/kjas.2014.42.003
  4. 김영경, 진영선, 이장호. 2009. 노화와 자전적 기억 - 회상유형과 사상유형에 따른 일화 및 비일화 기억 양상 간 비교.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2(3), 19-32.
  5. 김정현. 2011. 철도역 사진기록화를 위한 영역설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0, 125-174. https://doi.org/10.20923/kjas.2011.30.125
  6. 김화경. 2012.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 부산 산복도로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43-161. https://doi.org/10.14404/jksarm.2012.12.2.143
  7. 박재민, 성종상. 2012. 산업유산 개념의 변천과 그 함의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21(1), 65-82. https://doi.org/10.7738/JAH.2012.21.1.065
  8. 박재민. 2013. 장소기억으로 해석한 근대 산업경관 :근대 산업도시 장항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배윤호. 2015. 근대공간의 장소성과 기억에 관한 연구 - <서울역>, <온양민속 박물관>, <옥포조선소>를 중심으로. 예술문화융합연구, 1(2), 57-99.
  10. 설문원. 2010.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26, 103-149. https://doi.org/10.20923/kjas.2010.26.103
  11. 설문원. 2012.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37-455. https://doi.org/10.14699/kbiblia.2012.23.4.437
  12. 염미경. 2010. 근대 산업유산의 활용과 지역활성화 : 일본의 경험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12(1), 159-182.
  13. 윤택림. 2020. 개인적 서술에서 공공의 기억으로 : 구술사와 공공역사. 구술사연구, 11(1), 9-45.
  14. 윤현위, 문순희. 2020. 유휴 산업시설의 산업 유산화를 위한 조건들 : 동일방직 인천공장을 사례로 - . 인천학연구, 32, 117-159.
  15. 이남휘, 최창규. 2011. 장소성 형성의 인과구조 실증적 분석 - 서울 홍대지역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46(3), 19-36.
  16. 정유진. 2018. 장소기억과 기억 그리고 로컬리티 : 대구 '달성'의 장소 아카이브와 재현을 중심으로. 한국구술사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 한국기록과정보.문화학회 2018년도 춘계 공동학술대회, 99-121.
  17. 정윤호. 2015. 협력과 저항의 경계, 안동역. 안동학, 14, 28-60.
  18. 조은영. 2016. 도시의 기억을 어떻게 보존할까? - 서울미래유산 사업의 사례연구 -. 문화예술경영학연구, 9(2), 31-51.
  19. 진종헌. 2012. 산업유산과 지역발전에 대한 문화지리학적 연구 : 태백시 철암지역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6(3), 287-299.
  20. 최아름. 2018. 장소기억 회복을 위한 '빈집' 기반 에코뮤지엄 전시콘텐츠 기획 연구.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박사학위논문.
  21. 하승용, 이정수. 2017. 근대건축물 기록화사업의 사진기록방법 개선방안 -대전지역 기록화 조사보고서 기록화사진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8(4), 443-456.
  22. 하승용. 2019. 도시경관 기록화사업 체계 및 기록방법 연구.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3. 한정훈. 2016. 정체성 구성과 장소성 형성에 대한 연구 : 반가 여성의 구술생애담을 대상으로. 구비문학연구, 43, 231-272.
  24. Conway, M., Pleydell-Pearce, C.. 2000. The construction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the self-memory system. Psychological Review, 107(2), 261-288. https://doi.org/10.1037/0033-295X.107.2.261
  25. 경북기록문화연구원, 안동민속박물관. 2020. 안동역 90년의 역사 그곳에 역이 있었네. 예인.
  26. 앙리 르페브르 저, 양영란 역. 2011.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7. 에드워드 렐프(Edward Relph)저,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옮김. 2005.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8. 제프 말파스 저, 김지혜 역. 2014. 장소와 경험. 에코리브르.
  29. 충청북도여성발전센터. 2016. 충북여성생애구술사 - 연초 산업과 여성의 삶.
  30. 태지호. 2014. 기억문화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