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anagement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9초

An Analysis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r the Elderly Welfare Center Employees

  • You, Gil-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85-19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ffective basic data for business management through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 worker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diagnostic level of the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level of the public institution an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105 employees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 in Chungbuk area. Based on the responses to the importance and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 employees,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sponding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and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us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orkers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tection measures,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infringement measures. Second, IPA analysis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orkers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shows that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tection measures are the areas to maintain good performance. Third, in IPA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the workers in the welfare center of the elderly, i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management system, in performing the rol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ficer and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protection measures, The factors of preven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exposure and the safe use and mana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ere analyzed as areas requiring intensive improve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research that can raise the awarenes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the workers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and induce the improvement of the related work.

위탁자의 개인정보보호 관리역량 제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Capabilities Enhancement of Consignor'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정환석;박억남;이상준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95-113
    • /
    • 2016
  • 주민번호를 포함한 개인정보의 처리업무는 상당한 전문지식과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IT 전문 업체에 위탁 처리하는 경우가 보편화 되었다. 개인정보 관련 사고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사고 유형의 대부분은 수탁자에 의한 누출 혹은 유출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 실태점검과 관리수준 진단 결과 공공기관에서의 수탁자에 대한 개인정보 사고 예방노력과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구축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 보호의 효율적 제고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개인정보 처리 업무위탁에 대한 법률사항을 분석하고,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법률 기준 지표를 선택하여, 수탁자에 대한 개인정보보호 관리수준 분석 방안과 수탁자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강화 방안으로 수탁자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제시하였고, 세 가지 법률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강화 방안을 구성하기 위하여 공공기관의 대표적 개인정보 처리 위탁업무 중 IT유지보수, 고지서인쇄, 콜센터와 관련된 30개 수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였고, 강화 방안에 대한 문헌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개인정보 위탁자와 수탁자에 대한 FGI를 통해 강화방안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보건의료정보관리 전공자들의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Recognition of Pati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y Health Care Information Management Majors)

  • 김지온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5-23
    • /
    • 2022
  • 본 연구는 보건의료정보관리 전공자들의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하여 그 중요성을 올바르게 인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부산시 소재 4년제 대학 4개교의 보건의료정보관리 전공 대학생 4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및 ANOVA, Chi-square,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정보보호제도에 대한 인식은 68.8%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의료기관 내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지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고학년,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인지도, 전공과목을 통한 교육 여부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교육은 전공과목을 통해서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의료기관에서 실제로 업무에 적용하고 있는 환자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등을 숙지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PIMS)를 이용한 의료정보보호 개선 방안 연구 : 의료기관 종사자를 중심으로 (A Improvement Study on the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Using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PIMS) : Focus on medical practitioners)

  • 민경은;김성준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87-109
    • /
    • 2016
  •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n effective and efficient development plan about the information prote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by establishing the improvement plan about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PIM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information focusing on medical institutions generating and using domestic medical information, and doing an empirical study on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plan. For this, in view of the medical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ISMS), the study presented a study model appropriated to medical institutions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index specialized for personal information, and through this, presented the vulnerability diagnosis and vulnerability improvement plan. Based on ISMS index, it designed an improvement index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anagement about each index.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executives and employees about PIMS. Accordingly, it presented vulnerability diagnosis items of the current management system indexes from the viewpoint of the people who establish and mang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bout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targeting executives and employees who serve at hospitals and can access medical information.

정보품질을 위한 개인정보 보호행위: 건강심리이론 관점을 중심으로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for Information Quality : Health Psychology Theory Perspectives)

  • 지범석;판류;이상철;서영호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32-44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users'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o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from health psychology theory perspectives.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users'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on personal information is predicted by perceived threat and perceived responsiveness. Perceived threat is determined by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responsiveness is determined by response efficacy and self-efficacy, but response cost i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provide an enriched understanding about users'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o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개인정보 영향평가 수행 사례에 기반한 기관의 개인정보보호법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Institution's Countermeasur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Based on the Examples of Performing the Privacy Impact Assessment)

  • 조성규;전문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89-98
    • /
    • 2012
  •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s of September 2011, the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at were applied only to the certain sectors such as information & communication network, financial institutions, public sector etc. for the time being has been expanded to apply to all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 process personal information. In particular, because the public institutions are obliged to be mandatorily conducted of the Privacy Impact Assessment, it will be enforced in earnest for each agency's informationization business that handles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paper, I examine the most derived vulnerability and set up the improvement measure to supplement it with the examples of 10 of all the institutions conducting the Privacy Impact Assessment in the year 2011. And, I suggest the measures to be prepared by the institutions to observ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블록체인과 영지식 증명에 기반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연구 (A Study on Privacy Protection Technology based on Blockchain and Zero Knowledge Proof)

  • 이광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9호
    • /
    • pp.95-102
    • /
    • 2023
  • 개인정보의 활용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나, 개인정보 활용을 위해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는 필요 이상의 정보가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의 중앙집중형 ID 관리(Centralized Identity Management)방법의 문제와 한계를 극복하고, 정보 소유자 스스로 자신의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탈중앙화 정보 관리(Decentralized Identity Information Management)모델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하여 PBFT 합의 알고리즘에서 스마트 개인정보 제공 시스템(SPIPS: Smart Personal Information Provision System)을 구현하여 개인 정보의 우수성을 보인다.

국내 기업개인정보보호 측정항목과 관리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to Measuring Concerns for Corporate Information Privacy Management)

  • 이성중;이영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6권4호
    • /
    • pp.79-92
    • /
    • 2009
  • With the rising reliance on market estimation through customer analysis in customer-centered marketing,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amount of personal data owned by corporations. There has been a corresponding rise in the customers' interest i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problem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has risen as a serious issu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diagnosis model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is suited to our country's corporate environment, and on this basis, to present diagnostic instruments that can be applied to domestic corporations. This diagnosis model 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schematizes the degree of synthetic effect that administration factors and estimation items have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wned by corporations. We develop the model- consisting of the administration factor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measurement items of each factor- using the development method of standard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then present a tool through which the administration factors and estimation items verified through this model can be used in the diagnosi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corporations. This diagnostic tool can be utilized as a useful instrument to prevent in advance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 corporations.

  • PDF

DEA 모형을 이용한 개인정보보호 관리수준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anagement Assessment Method by DEA)

  • 정명수;이경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691-701
    • /
    • 2015
  • 최근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공공기관들의 업무는 개인정보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고 있다. 개인정보의 활용이 불가피한 환경에서 안전한 개인정보 활용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개인정보 침해사고와 그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법 준수 여부와 관리수준을 진단하고 미흡한 사항에 대해 개선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개인정보보호 관리수준 진단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관리수준 진단 결과가 높은 점수임에도 불구하고 끊이지 않는 침해사고로 인하여 진단 결과와 실제 관리수준에 대해 실효성 측면에서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들의 개인정보보호 활동과 기반마련에 대한 효율성을 DEA 모형으로 분석하고, 도출된 효율성을 개인정보보호 관리수준 진단 결과에 반영하여 진단 결과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