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Distres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Burnout in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 송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6-414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burnout, and the mediating role of empath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One hundred seventeen nursing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linical practice stress, empathy (perspective-taking, fantasy,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and burnout in December 2017. IBM SPSS Statistics 23 was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Baron & Kenny method and Sobel test were adopted for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personal distress of empathy). Results: The mean score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burnout were 3.45 and 43.09, and perspective-taking, fantasy,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of empathy were 2.67, 2.42, 2.64 and 2.19, respectively. The highest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empathy was personal distress of empathy (r=.32, p<.001). Burnou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personal distress of empathy (r=.22, p=.015; r=.51, p<.001). Personal distress of empathy demonstrat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burnout (Z=3.22,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decreasing personal distress of empathy is important for nursing students, and may help in reducing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burnout.

죄책감 소구 수준과 개인성향의 상호작용이 국제기아 돕기 메시지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uilt Appeal Level and Personal Disposition on Responses to International Relief Messages)

  • 이승조;이한규
    • 감성과학
    • /
    • 제18권3호
    • /
    • pp.49-62
    • /
    • 2015
  • 본 연구는 국제기아 돕기를 촉구하는 설득 메시지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죄책감 소구 수준과 공감적 개인성향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죄책감 소구 수준은 메시지가 수용자의 죄책감을 이끌어 내는 정도의 높고 낮음을 의미한다. 공감적 성향이란 타인의 경험에 동조하거나 관심을 갖는 개인의 경향을 지칭하며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고통과 공감적 관심이라는 하위 차원을 이용하였다. 메시지의 실험은 2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에서는 개인성향을 측정하고 2단계에서는 죄책감 소구의 수준을 차별화한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전체 실험은 죄책감 소구수준(2) ${\times}$ 공감성향(2)으로 설계되었다. 그 결과, 죄책감 소구 수준은 개인적 고통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상호작용은 주로 죄책감 수준이 높은 조건에서 개인적 고통이 높은 개인과 낮은 개인들의 차이에 의해 발현되었다. 공감적 관심이 높은 개인들은 낮은 개인들에 비해 죄책감 수준과 상관없이 돕기 메시지에 더 우호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간 적대감 유형이 소비자 인지와 소비행동 방향에 미치는 영향 : 고립공포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nimosity Type on Consumer Cogni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Direction : Ba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Fear of Missing Out)

  • 마일환
    • 무역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21-33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consumer awareness and purchasing behavior are affected by the type of animosity against the nation. This study classified animosity into three categories: sociocultural, economic, and war-based. Additionally, the consumer's cognition toward animosity was split into two categories-empathic concernt and personal distress-and the direction of consumption behavior was split into two categories-individual brand avoidance behavior and collective bandwagon behavior. The concept of Fear of Missing Out (FoMO) was introduced for the direction of consumption behavior, further validating the moderating impac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general consumption behvior of Korean consumers' animosity.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total of 279 samples. As a result, animosity motivated by war and by economics had a substantial impact on empathic concern, while animosity motivated by socio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sonal distress. Personal distress had a good impact on an individual's brand antipathy behavior, which in turn led to brand dislike and avoidance. Empathic concern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phenomena of group sympathy, which leads to identification of conduct and social conformity. Also, it was proven that the group that had a high level of FoMO reacted strongly to the phenomenon of group collective behavior.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Empath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

  • 정혜선;이기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044-6052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 및 공감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3년 9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252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249명의 자료를 서술적 분석,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수준은 하위영역별로 관점 취하기 3.57점, 상상하기 3.59점, 공감적 관심 3.72점, 개인적 고통 3.15점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고,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03점으로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다.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공감능력의 하위영역 중 개인적 고통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개선시키기 위해 개인적 고통 수준이 높은 간호대학생의 경우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준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북한법상 인신사고에 대한 손해액 산정기준 (Study on the North Korean Law in Estimating the Damages caused by Personal Injury)

  • 현두륜
    • 의료법학
    • /
    • 제20권1호
    • /
    • pp.47-82
    • /
    • 2019
  • 남북 간의 교류와 협력은 그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여러 가지 법적 분쟁을 야기할 수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배상 문제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액 산정에 관한 북한법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남한법과 비교함으로써, 남북한 주민 간의 손해배상사건에 있어서 분쟁해결의 기준을 제시하는 데 있다. 향후 남북간의 교류와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북한의 손해배상법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이다. 남한 민법에는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액 산정과 관련한 구체적인 규정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손해액 산정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은 법원의 판례를 통해서 정해지게 된다. 남한의 법원은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를 적극적 재산상 손해, 소극적 재산상 손해, 정신적 손해로 나누어서 각각의 손해액을 산정한다. 반면, 북한 손해보상법은 인신사고를 1) 건강을 침해한 경우(제41조), 2) 건강을 침해하여 장애를 남긴 경우(제42조), 3) 인신 침해로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제44조)로 나누어서 그에 따른 손해의 항목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손해액 산정에 관한 규정(제43조, 제51조)을 두고 있다. 또한, 남한에서는 신체사고에 대한 정신적 손해배상을 넓게 인정하고 있으나, 북한에서는 정신적 손해배상을 원칙적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다.

간호사의 통증경험에 따른 고통추론 연구 (Study of Suffering Inference by Nurses' pain Experience)

  • 류언나;박경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4-183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nurses' pain experience on the inference of their patients' suffering. Method: Study subjects were sampled from 184 nurses who worked in general wards in one S university hospital located at Seoul. Nurses' pain experience consists of personal pain experience and professional pain experience. The Standard Measure of Inference of Suffering (Davitz & Davitz, 1981) was used for suffering inference measure, and patients' suffering which consists of physical pain and psychological distress. Result: Suffering inference scores of nurses without personal pain experience revealed a higher value than that of nurses with personal pain experience.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higher intense pain was experienced, the higher were suffering inference scores. This physical pain inference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44). Of the nurses who had personal pain experience, suffering inference scores of nurses with unrelieved pain experience revealed a higher value than that of nurses with relieved pain experience. Physical pain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ference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10, p=.006). Suffering inference scores of nurses without professional pain experience(internal medicine, general surgery, orthopedic surgery) revealed a higher value than that of nurses with professional pain experience. Professional pain experience of internal medical ill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sychological distress of internal medical illness(p=.044), and professional pain experience of orthopedic surgical illn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hysical pain of orthopedic surgical illness(p=.027). Conclusion: Nurses who have experienced low pain intensity or good pain relief are inclined n to underestimate patient' pain. Although nurses who care for the same patient over a long time deal skillfully with that patient, nurses are inclined to underestimate that patients' pain. Nurses need to be aware of possible biases related to pain assessment as a result of pain experience.

  • PDF

의과대학생의 행복과 의학교육의 과제 (Happiness of Medical Students and Tasks in Medical Education)

  • 임은비
    • 의학교육논단
    • /
    • 제13권2호
    • /
    • pp.25-37
    • /
    • 2011
  • Purpose: Core competencies for becoming a good physician have been the focus of recent discussion. Understanding students' state of mind should be included in this analysi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cent research papers on subjective well-being in medical education and propose some suggestions. Methods: A selective search was conducted of the literature that has been published since 2000 in the Medline, Riss4U, ERIC, and KoreaMed databases using the search terms "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 "satisfaction", and "stress". Thirty seven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Each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3 subjects (satisfaction,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Results: Most studie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distress in medical students, which was related to academic worries. Although medical students were under a great deal of distress, they regarded help-seeking behavior for their distress as weakness or something negative. Conclusion: To decrease medical students' distress and sustain their well-being, there should be a change in students' awareness through curriculum, teaching methods, and coping strategies in medical education.

Effects of Empathic Ability and Campus Life Stress on Stress Coping Behaviors in Dental Hygiene Students

  • Han, Ji-Hyoung;Yang, Jin-Young;Hwang, Ji-Mi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39-44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pathic ability and campus life stress on the stress coping behaviors among 395 dental hygiene student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ASW Statistics ver. 18.0,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 empathic concern factor was the highest in the subscale of empathic ability (3.60).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was 1.65 and the task-related stress was 2.72. The stress coping behaviors were the highest among the sub-domains, with 3.69 for wishful thinking. The differences of stress coping behavi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The lower the age and grade, the higher the problem-focused coping; when they were religious there was a high pursuit of seeking social support. Whe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economic level, wishful thinking was high. There was a low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concer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in campus life (p<0.0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distress and task-related stress (p<0.001).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ic ability and stress coping behaviors was most associated with personal distress and wishful thinking. Among the sub-domains of stress coping behaviors, factors that have a common impact on personal distress and seeking social support are viewpoint acceptance. Factors supporting emotional focus and wishful thinking were task-related stress. Dental hygiene students are not able to completely eliminate the stress that they are actually under. However, as the research results show, it is necessary to use stress coping techniques to cope effectively with individual tendencies and situations, and to improve the ability to sympathize with another individual.

정서공감과 우울의 관계: 자기비난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mpathy and depress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criticism)

  • 최혜라;한수미;김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44-154
    • /
    • 2018
  • 우울한 사람들은 슬픔에 빠져 있고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 반추하므로 외부를 향한 관심이나 반응성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반응성을 기반으로 하는 행동이라 볼 수 있는 공감에 있어서 우울한 사람이 어떠한 특성을 보일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146명의 온라인 대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얻어 공감과 우울의 관계에 대해 살펴 보았다. 상관분석 결과, 공감의 인지적 측면인 조망수용은 우울과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공감의 정서적 측면 중 공감적 반응과 공감적 관심 역시 우울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또 다른 정서 공감의 지표인 개인적 고통의 경우 우울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공감 관련 변인들을 예측변인으로 설정한 회귀분석에서는 조망수용이 우울에 부적 영향을, 개인적 고통이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고통이 자기비난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다중회귀분석과 Sobel 검사를 통해 확인해 보았는데, 자기비난은 개인적 고통의 정적 효과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 동안 한국인의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에 대한 종단 두시점 비교연구 (A Longitudinal Comparative Study of Two Periods regarding the Influences of Psycho-Social Factors on Emotional Distress among Korean Adults during the Corona virus Pandemic(COVID-19))

  • 이동훈;김예진;황희훈;남슬기;정다송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629-659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동안 한국인이 겪는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을 서로 다른 두 시점에서 비교하였다. 1차 조사시기는 WHO에서 코로나 19 팬데믹을 선언하고, 대구 경북지역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정되었던 2020년 4월 13일부터 4월 21일까지이며, 연구참여자 6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2차 조사시기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19가 재확산되고, 수도권에서 처음으로 집단감염이 확산되면서 일주일동안 수도권에서만 확진자가 1,000명이 넘었던 시점인 2020년 8월 21일부터 9월 2일까지 진행되었다. 1차 조사의 연구참여자 중 482명이 2차 조사에 응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본 연구는 시점별로 개인특성요인, 코로나 19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활동 제약요인, 대인관계갈등 및 수입감소 요인이 코로나 19로 인한 디스트레스(스트레스, 우울, 불안, 분노)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시점 모두에서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삶의 질, '코로나 19 관련 정보 수시 확인', '코로나 19 이후 삶을 예측할 수 없어 두려움', '병원 이용의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시점1에서만 유의한 변인으로 '공적일정에 차질', 시점 2에서만 유의한 변인으로는 연령, 감염취약성, '개인일정에 차질'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논의 및 시사점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