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recent progress in understanding pathogenesis and treatment outcomes

  • Kim, So 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호
    • /
    • pp.1-6
    • /
    • 2010
  • Transient tachypnea of the newborn (TT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and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PPHN) are the three most common disorders that cause respiratory distress after birth. An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of these disorders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herapeutic strategies is required to control these conditions. Here, we review recent papers on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neonatal respiratory disease.

Management of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in Preterm Infants

  • Lee, Byong Sop
    • Neonatal Medicine
    • /
    • 제28권1호
    • /
    • pp.1-6
    • /
    • 2021
  •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PPHN) is a consequence of the failure of a decrease in the elevated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after birth. Pulmonary vasodilators, including inhaled nitric oxide (iNO), have been the mainstream of targeted therapy for PPHN, but no drugs have been proven to be effective in preterm infants with PPHN. The fetus remains hemodynamically stable despite lower arterial oxygen tension and pulmonary blood flow as compared to full-term newborns. This adaptation is due to the lower oxygen requirement and high oxygen-carrying capacity of fetal circulation. The immature lungs of preterm infants are more vulnerable to reactive oxygen species, and the response of pulmonary vascular dilatation to blood oxygen tension is blunted in preterm infants. Recently, iNO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a selected group of preterm infants, such as those with prolonged preterm rupture of membrane-oligohydramnios-pulmonary hypoplasia sequence. PPHN in preterm infants, along with maximum supportive treatment based on fetal physiology and meticulous assessment of cardiovascular function, is in dire need of new treatment guidelines, including optimal dosing strategies for pulmonary vasodilators.

Iloprost 흡입 투여로 치료한 신생아 폐고혈압 지속증 1예 (A case of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Treatment with inhaled iloprost)

  • 장윤영;박혜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175-1180
    • /
    • 2009
  • 신생아 폐고혈압 지속증은 치료가 힘들고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나, 산화질소 흡입 치료가 시행된 이후 사망률의 많은 감소를 가져왔다. 그러나, 신생아 집중 치료실이 있는 병원이라도 이러한 산화질소 흡입 치료가 가능하지 않는 곳이 많고, 산화질소 투여에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흡입 iloprost는 최근 원발성 혹은 이차성 폐고혈압 환자에서 사용이 늘고있는 폐동맥 확장제로, 신생아 폐고혈압 지속증에 사용한 증례가 외국에 보고된 바 있다. 환아는 출생시 심한 태변 착색과 출산 질식, 진행되는 저산소증을 보였으며, 신생아 폐고혈압 지속증으로 진단되었다. 환아는 지속적인 저산소증을 보였으며, 통상적인 지지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았다. 당시 저자들의 병원에는 산화질소 흡입 치료가 가능하지 않아, iloprost 흡입 치료를 시도하였다. Iloprost 흡입 치료 이후 수시간 내에 산소 포화도가 증가하였으며, 심초음파상에는 동맥관을 통한 우좌 단락이 좌우로 바뀌었고, 우심실 압력이 감소하였다. Iloprost 흡입 치료를 하는 동안 특별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산화질소 흡입치료가 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 신생아 폐고혈압 지속증 신생아의 치료로 iloprost 흡입 치료를 시도한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Congenital heart disease in the newborn requiring early intervention

  • Yun, Sin-We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5호
    • /
    • pp.183-191
    • /
    • 2011
  • Although antenatal diagnostic technique has considerably improved, precise detection and proper management of the neonate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CHD) is always a great concern to pediatricians. Congenital cardiac malformations vary from benign to serious conditions such as complete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TGA), critical pulmonary and aortic valvular stenosis/atresia,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HLHS), obstructed tot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TAPVR), which the baby needs immediate diagnosis and management for survival. Unfortunately, these life threatening heart diseases may not have obvious evidence early after birth, most of the clinical and physical findings are nonspecific and vague, which makes the diagnosis difficult. High index of suspicion and astute acumen are essential to decision making. When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is opened Widely, many serious malformations may not be noticed easily in the early life, but would progress as severe acidosis/shock/cyanosis or even death as PDA constricts after few hours to days. Ductus dependent congenital cardiac lesions can be divided into the ductus dependent systemic or pulmonary disease, but physiologically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reatment strategy has to be tailored to the clinical status and cardiac malformations. Inevitably early presentation is often regarded as a medical emergency. Differential diagnosis with inborn error metabolic disorders, neonatal sepsis,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PPHN) and other pulmonary conditions are necessary. Urgent identification of the newborn at such high risk requires timely referral to a pediatric cardiologist, and timely intervention is the key in reducing mortality and morbidity. This following review deals with the clinical presentations, investigative modalities and approach to management of congenital cardiac malformations presenting in the early life.

신생아의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증에서 Sildenafil 치료 경험 (Oral Sildenafil in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 손수빈;김경아;윤소영;고선영;이연경;신손문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24-129
    • /
    • 2011
  • 목적: 최근 PPHN의 치료를 위해 iNO와 함께 많은 약물적 치료가 사용되고 있다. Sildenafil은 PDE5의 억제제로 선택적인 폐혈관 확장제로 알려져 있으며 iNO에 비하여 접근성이 뛰어나 iNO에 대안적인 약제로 연구되어 왔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sildenafil로 PPHN을 치료한 경험을 분석하였다. 방법: 심초음파를 통해 PPHN으로 진단된 재태 기간 35주 이상, FiO2 1.0을 필요로 하는 3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sildenafil은 0.5 mg/kg로 시작하여 6시간마다 1 mg/kg로 투약하였으며, 투약 전과 후 6, 12, 24, 48시간의 MAP, $FiO_2$, OI, MBP를 비교하였다.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환아들의 위장관 증상, 뇌초음파, 안저검사와 청성뇌간유발반응 검사의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 32명 중 태변 흡인 증후군 9명, 호흡곤란증후군 8명, 폐렴 3명이었으며, 12명은 특발성이었다. 이 중 31명이 생존하였으며 28명의 환아는 본원에서 sildenafil만으로 치료되었고 3명의 환아는 전원되어 iNO 치료 후 회복하였다. Sildenafil 단독으로 치료된 28명의 환아에서 $FiO_2$와 OI는 치료 6시간째부터 MAP는 48시간째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특별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Sildenafil은 35주 이상의 PPHN 환아에서 비교적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시도해 볼 수 있는 대안 약제로서, 특히 iNO가 가능하지 않은 병원에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정맥-정맥 도관 체외막형 산소섭취로 치료한 신생아의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증 2례 (Two Cases of Neonatal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Treated by Veno-venous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V-V ECMO))

  • 유희준;성세인;김진규;서현주;최서희;유혜수;안소윤;김은선;양지혁;허준;장윤실;강이석;전태국;박원순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109-115
    • /
    • 2010
  • 신생아의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증(PPHN)은 출생 후 폐동맥의 저항이 낮아지고 전신 혈관 저항이 올라가면서 폐로 가는 혈류가 증가하고 난원공과 동맥관을 통한 폐와 전신의 평행 순환에서 연속 순환인 신생아 순환으로 바뀌게 되는 과정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저자들은 태변흡인이 있었던 두 명의 만삭아에서 고빈도 환기 요법과 흡인성 일산화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PPHN을 치료하였으나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전신 장기에 산소화가 문제가되어 정맥-정맥도관체외막형산소섭취(V-V ECMO)를 시행하였고 두 증례 모두 체외막형 산소 섭취를 이탈하여 생존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태변 흡인 증후군에 의해 생긴 PPHN 환아들에서 ECMO를 적용하여 치료한 국내 보고가 없고, 특히 V-V ECMO 적용으로 신생아를 치료한 보고 또한 없다. 이에 저자들은 태변 흡입 증후군에 의해 생긴 PPHN 환아들에서 V-V ECMO로 생존한 2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fficacy of Serum Neutrophil-to-Lymphocyte Ratio for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 Jo, Chae-Ku;Kang, Sung-Min;Lee, Sun-Young;Kim, Myo-Jing
    • Perinatology
    • /
    • 제29권4호
    • /
    • pp.153-158
    • /
    • 2018
  • Objectiv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neutrophil-to-lymphocyte ratio (NLR) and severity of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MA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97 neonates who admitted for MAS between 2008 and 2016 at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Dong-A University Hospital. The serial changes of NLR were analyzed from 1st to 3rd day of life. The NLR was compared by disease severities (non-invasive respiratory care group vs. invasive respiratory care group and MAS with or without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PPHN]). Results: The NLR values from 1st to 3rd day of lif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P=0.031). The NLR of invasive respiratory car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invasive respiratory care group at 2nd, 3rd, and average of 1 to 3 days of life. The NLR of PPH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ithout PPHN group at 3rd, and average of 1 to 3 days of life. Conclusion: The NL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in early stage of MAS and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MAS.

A Case of Successful Treatment of Congenital Syphilis in an Extremely Preterm Baby With Severe Respiratory Distress

  • Yoon Kyung Cho;Yeon Kyung Lee;Sun Young Ko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3호
    • /
    • pp.161-165
    • /
    • 2022
  • We report a case of successful treatment of congenital syphilis in an extremely preterm baby. A 1,395 g female infant was born by emergency Caesarean section due to preterm labor and breech presentation at gestational age at 29 weeks and 3 days with an Apgar score of 2 and 4 at 1 minute and 5 minutes, respectively. The mother of the newborn, an illegal immigrant who did not receive any antenatal care, was diagnosed as active syphilis infection by reactive rapid plasma regain (RPR) (titer 1:128) just before the delivery. Upon birth, the newborn presented with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including sever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persistent pulmonary hypertension of the newborn,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desquamation and scaling of the whole body, and osteolytic changes of long bone ends. Results of laboratory tests showed signs of early congenital syphilis, including positive syphilis reagin test (12.7 R.U.), reactive with RPR titer of 1:64, and positive for immunoglobulin (Ig) M and IgG fluorescent treponemal antibody absorption test. However, after completion of penicillin G treatment for two weeks, laboratory results dramatically improved, showing a negative syphilis reagin test (0.5 R.U.) and non-reactive in RPR. In conclusion, the incidence of congenital syphilis is prone to be resurgent in South Korea, neonatologists should be fully aware of the clinical features of congenital syphilis because early diagnosis and prompt treatment are essential in order to reduce the social and economic burden due to congenital syphilis.

중증 태변흡입증후군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evere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 최창원;김병일;이현주;정경은;심규홍;임인숙;이진아;김이경;김한석;최중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7호
    • /
    • pp.713-721
    • /
    • 2008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48시간 이상의 기계 환기요법이 필요한 중증 태변흡입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 MAS)의 임상적 특성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또한 폐표면 활성제 투여 전후의 호흡 부전 정도와 방사선 영상 소견의 변화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중증 MAS로 입원하였던 1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PPHN의 발생은 긴 입원기간과 긴 총 기계 환기요법 적용기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 폐표면 활성제는 RDS의 방사선 영상 소견이 있었던 경우에만 투여되었다. RDS의 방사선 영상 소견이 있었던 8명(75%)의 환아들에서는 그렇지 않았던 경우에 비해 고빈도진동환기기 적용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PPHN은 8명(75%)의 환아들에서 발생하였고 이들은 PPHN이 발생하지 않았던 환아들에 비해 기계 환기요법 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폐표면 활성제를 투여 받은 환아들은 투여 후 12시간 이내에 모두 방사선 영상 소견의 호전을 보였으나 같은 기간 동안 호흡 부전 정도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PPHN이 발생하지 않은 환아들에서는 폐표면 활성제를 투여한 후 12시간 이내에 유의한 호흡 부전 정도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PPHN이 발생한 환아들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결 론 : 중증 MAS의 임상경과는 PPHN의 발생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RDS에 합당한 방사선 영상 소견이 동반되었던 환아들에서의 폐표면 활성제의 투여는 방사선 영상 소견의 호전을 가져왔지만 이들의 임상경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