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anent lateral incisor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1초

영구치 절치의 크기와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oth size and shape of the permanent Incisor teeth)

  • 이태정;신종우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9-94
    • /
    • 1993
  • The tooth size and shape of the permanent incisor teeth have been studied and analyzed about the mean size, S.D, S.E, etcs and percentage from stone model of 100 Korean male and 74 Korean fem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rown length of permanent incisor teeth were longer in males than in females statistical differences of males and female were not found. 2. the mesio-distal diameters of permanent incisor teeth were larger in males than in females and statistical differences of males and females were found in mandibular lateral incisor and the bigest were max. central incisor, 2nd max. lateral incisor, 3rd man. lateral incisor and the smallest were man. central incisor. 3. The square form in max. central incisor was the greatest percentage and the tapering form in max. lateral incisor and man, incisor was the greatest percentage but tapering form and ovoid form and other shape were found in max. lateral at the same ratio. 4. Concerning the labial developmental groove "midium" was the greatest percentage in the max. central incisor and "low" was the greatest percentage in the man incisor. Concerning the incisal line, straight line was the greatest percentage in the max, incisor and man, incisor and concerning the lingual tubercle "none" was the greatest percentage in the max. incisor. 5. In comparison between left side and right side of incisor, the ratio of same shape ware 22.4%-36.2% but similar or dissimilar cases were more frequently found.

  • PDF

한국인(韓國人) 영구치(永久齒) 맹출시기(萌出時期)에 관(關)한 통계학적(統計學的) 연구(硏究) (STATISTIC STUDY ON ERUPTION TIME OF PERMANENT TEETH IN KOREA)

  • 문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9
    • /
    • 1984
  • The author has sought to determine the time and the sequence of permanent teeth eruption in Korean children.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15,671 healthy children (male 8,015 ; female 7,656) aged 5-13 years old who lived in Seoul or Cheongju.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eruption times of permanent teeth were 0.45 years earlier in females than in males. 2. The ages corresponding to $ER_{50}$ of permanent teeth were as follows : In Maxilla 1) central incisor was 7.37 yrs 2) lateral incisor was 8.50 yrs 3) canine was 10.83 yrs 4) 1st premolar was 10.30 yrs 5) 2nd premolar was 11.09 yrs 6) 1st molar was 6.49 yrs 7) 2nd molar was 12.79 yrs In Mandible 1) central incisor was 6.40 yrs 2) lateral incisor was 7.41 yrs 3) canine was 10.18 yrs 4) 1st premolar was 10.26 yrs 5) 2nd premolar was 11.15 yrs 6) 1st molar was 6.32 yrs 7) 2nd molar was 12.05 yrs 3. The eruption sequence of permanent teeth by Z-test was as follow: In Male 1st : Mandibular 1st molar, and Mandibular central incisor 2nd : Maxillary 1st molar 3rd : Maxillary central incisor 4th : Mandibular lateral incisor 5th : Maxillary lateral incisor 6th : Mandibular canine, Maxillary and Mandibular 1st premolar 7th : Maxillary canine 8th : Maxillary and Mandibular 2nd premolar 9th : Mandibular 2nd molar 10th : Maxillary 2nd molar In Female 1st : Mandibular 1st molar, and Mandibular central incisor 2nd : Maxillary 1st molar 3rd : Mandibular lateral incisor, Maxillary central incisor 4th : Maxillary lateral incisor 5th : Mandibular canine, Maxillary and Mandibular 1st premolar 6th : Maxillary canine 7th : Maxillary and Mandibular 2nd premolar 8th : Mandibular 2nd molar 9th : Maxillary 2nd molar 4. The corresponding permanent teeth in the mandible generally erupted earlier than the corresponding permanent teeth in the maxilla by an average of 0.73 years, but the mean eruption time of mandibular 1st premolars was almost the same as those of maxillary 1st premolars, and the mean eruption time of mandibular 2nd premolars was 0.06 years later than those of maxillary 2nd premolars. 5.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arch in the eruption time and sequence. 6. Generally, the ages of permanent teeth eruption tended to be earlier than those of Dr. Cha's data from 1963.

  • PDF

유합치와 쌍생치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F FUSED AND GERMINATED TOOTH)

  • 박철제;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20권1호
    • /
    • pp.79-89
    • /
    • 1990
  • The incidence and several characteristic features of fused and geminated teeth were studied radiographically, with full mouth periapical radiogram and pantomogram, in 4201 patients of mixed dentition and 5358 patients of permanent dentit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 was revealed to 2.86%, 0.32%, 0.33%, and 0.06% in deciduous fused tooth, permanent fused tooth, deciduous geminated tooth and permanent geminated tooth respectively, and these anomalies were occured in female more than male. 2. Fused teeth were observed predominantly in lower anterior teeth area, especially in lateral incisor and canine region, and many cases of deciduous geminated tooth were observed in upper central incisor region. 3. Congenital missing rates of succedaneous tooth in deciduous fused teeth were 57.1 %, 85.7%, 71.0%, 69.0% in upper right and left central-lateral incisor regions, lower right and left lateral incisor-canine regions, respectively. 4. Prevalence of dental caries was 42.3%, 18.8% and 5.6% in deciduous fused, deciduous geminated and permanent fused tooth, respectively. 5. In classifying of fused and geminated teeth into 9 types, by following appearance such as number of crown, root, pulp chamber and pulp canal of those teeth, it was more favorable that Type Ⅰ(2 crown, 2 root, 2 pulp chamber, 2 pulp canal) in deciduous fused tooth and Type Ⅸ (I crown, 1 root, 1 pulp chamber, 1 pulp canal) in permanent fused tooth, deciduous and permanent geminated tooth.

  • PDF

영구치 전치의 근원심경과 치관 길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sio-Distal Crown Diameters and Crown Length of the Permanent Anterior Teeth)

  • 이태정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6
    • /
    • 1991
  • The mesiodistal crown diameters and crown length of the permanent anterior teeth have been studied and analyzed about the mean size, S.D, S.E etcs from stone models of 100 Korean male and 74 female. From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 1. Statistical differences of left and right teeth were not found in the mesio distal crown diameters and crown length of the permanent anterior teeth. 2. The mean values of mesiodistal crown diameters of permanent anterior teeth were slightly larger in male than in females and statistical differences of males and females were found in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mandibular left canine, mandibular right lateral incisor and mandibular right canine. 3. The mean values of crown length of permanent anterior teeth were slightly larger in male than in female and statistical differences of males and females were found in mandibular left canine, mandibular right canine. 4. Mesiodistal crown diameters and crown length of maxillary left lateral incisors and right lateral incisors of female are larger than that of male.

  • PDF

X선에 의한 유합치와 계승치에 관한 통계학적 고찰 (The Statistical Study on Primary Fused Teeth and The Corresponding Permanent Teeth by Orthopantomograph)

  • 박병진;조사현;우원섭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1권5호
    • /
    • pp.313-316
    • /
    • 1973
  • 970 children visited attached hospital, S.N.U, were taken orthopantomograph. Of those children, there were 14 patients who have primary fused teeth. The author observed those cases and got following results. 1) Incidence of primary fused teeth was higher in female. 2) In the order of frequency, fused teeth of mandibular right primary lateral incisor and canine were 9 and that of mandibular left primary lateral incisor and canine were 4, and there was only one case in maxillary. 3) 13 cases showed the congenital absence of lateral incisor of the corresponding permanent teeth. 4) Incidence of fused teeth was 1.44%.

  • PDF

영구 측절치 발육 이상과 치아 맹출 장애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Developmental Anomalies of Permanent Lateral Incisors and Tooth Eruption Disturbances)

  • 김민지;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8-139
    • /
    • 2020
  • 이 연구는 2016년 11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5세부터 13세 사이의 3984명 환자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조사하여, 측절치 발육 이상과 맹출 장애의 빈도 및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측절치 발육 이상의 유병률은 10.0%였으며, 선천적 결손(66.1%), peg-shape 측절치(33.5%)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영구치 맹출 장애의 유병률은 15.9%였으며, 상악 견치(29.7%)에서 가장 호발하였고, 상악 중절치(24.7%)에서도 높은 빈도를 보였다. 측절치 발육 이상이 관찰된 환자 중 30.8%에서 맹출 장애가 관찰되었는데, peg-shape 측절치(p < 0.001), 발육 저하된 측절치(p < 0.001) 그리고 치내치(p = 0.004)의 존재가 맹출 장애 발생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Peg-shape 측절치와 치내치가 관찰된 환자는 상악 견치의 맹출 장애가 높은 빈도를 보였고, 발육 저하된 측절치를 가진 환자는 상악 중절치의 맹출 장애가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측절치 발육 이상이 관찰되는 환자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맹출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측절치 발육 이상과 맹출 장애 간의 연관성을 염두에 두고 최적의 시기에 적합한 진단과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순ㆍ악ㆍ구개파열 환자의 치아수의 이상과 악파열 부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Anomalities and Site of Cleft Associated with Cleft Lip and/or Palate)

  • 김은경;안형규
    • 치과방사선
    • /
    • 제15권1호
    • /
    • pp.51-57
    • /
    • 198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the dental anomalies and site of cleft in cleft lip and palate. In this study, 142 patients who had cleft lip and/or cleft palate were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missing tooth was high in the permanent dentition as compared to the incidence in the deciduous dentition. 2.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of incidence of supernumerary tooth between deciduous and permanent dentition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had cleft lip and jaw with or without cleft palate. 3.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had cleft lip and jaw with or without cleft palate, the frequency of incidence of cleft sides was higer in unilateral than bilateral cases. And, incidence of left sides was higher than right sides. 4. The type of cleft between central incisor and canine with missing lateral incisor was most frequent in permanent dentition and the type of cleft between central and lateral incisor was most frequent in deciduous dentition. 5. The type of cleft associated with tooth position in deciduous dentition was not almost the same in the succeeding permanent dentition.

  • PDF

Nolla stage에 의한 영구치의 석회화 시기에 대한 연구 (THE CALCIFICATION TIMING OF THE PERMANENT TEETH BY NOLLA STAGE)

  • 안상현;양규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40-548
    • /
    • 2000
  • 본 연구는 아동의 신체적 발육이 향상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Nolla stage에 따른 각 영구치의 석회화 시기 및 순서를 재평가하여 소아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임상적 자료로 사용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전신 상태가 양호하며, 교정치료 경험이 없는 4세에서 13세까지의 아동 258명 (남자 149명, 여자 109명)을 대상으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Nolla의 분류법을 이용한 각 치아의 석회화 단계에 따라 남,녀별 상,하악별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Nolla stage에 의한 각 영구치의 석회화 시기에 대한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그중 Nolla stage 7에 의한 평균치는 다음과 같다. 남자 상악에서 중절치는 6세 9개월, 측절치는 7세 4개월, 견치는 7세 9개월, 제1소구치는 8세 8개월, 제2소구치는 9세 4개월, 제 1대구치는 6세 3개월, 제2대구치는 10세 8개월로 나타났으며, 남자 하악에서 중절치는 5세 11개월, 측절치는 6세 4개월, 견치는 7세 5개월, 제1소구치는 8세 1개월, 제2소구치는 8세 6개월, 제1대구치는 5세 6개월, 제2대구치는 10세 3개월로 나타났다. 여자 상악에서 중절치는 6세 2개월, 측절치는 6세 7개월, 견치는 6세 11개월, 제1소구치는 8세 1개월 2소구치는 8세 5개월, 제1대구치는 5세 10개월, 제2대구치는 9세 10개월로 나타났으며, 여자 하악에서 중절치는 5세 6개월, 측절치는 5세 9개월, 견치는 6세 8개월, 제1소구치는 7세 6개월, 제2소구치는 8세 4개월, 제1대구치는 5세 3개월, 제2대구치는 9세 7개월로 나타났다. 2. 치근의 1/3이 형성되는 시기로 비교하였을때의 석회화 순서는 남,녀 상,하악 모두에서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견치, 제 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으로 나타났다. 3. 치근 형성이 완료되는 시기에 있어서는 남, 녀 모두에서 상악에서는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순으로, 하악에서는 중절치, 제 1대구치, 측절치 순으로 나타났다. 4. 여자가 남자보다 영구치 석회화 시기가 빠르게 나타났다(p<0.05). 상기 자료는 소아 치과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임상적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E-초등학교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시기 및 순서 (ERUPTION TIME AND SEQUENCE OF PERMANENT TEETH IN STUDENTS FROM E-ELEMENTARY SCHOOL)

  • 권정현;최병재;이제호;김성오;손흥규;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3-261
    • /
    • 2009
  • 치아 맹출은 나이, 성별, 인종, 시대에 따라 시기 및 순서의 차이가 있으나, 교과서에 인용되어 임상에서 사용되는 영구치 맹출 및 치근 형성에 대한 자료는 1933년 Logan과 Kronfeld가 발표한 것이므로 현재 한국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 경향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연령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맹출순서를 알아보며, 이전 국내외 연구 자료와 비교하여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구강검진을 시행한 E-초등학교의 어린이 중만 6세에서 만 12세의 2,619명 (남자 1,307명 여자 1,31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영구치의 맹출시기 및 순서에 대해 연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의 영구치 맹출시기는 중절치는 남자 만 6.81세, 여자 만 6.73세, 측절치는 남자 만7.78세, 여자 만7.65세, 견치는 남자 만10.48세, 여자 만9.92세, 제 1소구치는 남자 만9.76세, 여자 만9.63세, 제2소구치는 남자 만10.65세, 여자 만10.49세 제 1대구치는 남자 만6.39세, 여자 만6.26세, 제2대구치는 남자 만12.13세, 여자 만 12.03세로 나타났다. 2. 하악의 영구치 맹출시기는 중절치는 남녀 모두 정확한 시기의 측정은 불가능하였지만, 만 6.08세 이전에 맹출한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고, 측절치는 남자 만6.78세 여자 만6.65세, 견치는 남자 만9.76세, 여자 만9.05세, 제1소구치는 남자 만9.82세, 여자 만9.59세, 제2소구치는 남자 만10.67세, 여자 만10.52세, 제1대구치는 남자 만6.22세, 여자 만 6.12세, 제2대구치는 남자 만11.58세, 여자 만 11.14세로 나타났다. 3. 맹출순서는 상악은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제1소구치, 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이었고, 하악은 중절치, 제1대구치 측절치, 견치, 제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이었다. 4. 모든 영구치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빨리 맹출하였으며, 상악은 약 0.19세, 하악은 약 0.29세 먼저 맹출하였다. 5. 남녀 모두 상악은 측절치와 제1소구치 사이, 하악은 측절치와 견치 사이에 휴지기가 있었고. 남자의 휴지기는 상악 1.98년, 하악 2.98년, 여자는 상악 1.98년, 하악 2.40년이었다.

  • PDF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어린이에서의 영구치 맹출 시기 및 순서 (TIMING AND SEQUENCE OF ERUPTION OF PERMANENT TEETH IN A SAMPLE OF CHILDREN FROM YONSEI DENIAL HOSPITAL)

  • 강태성;최병재;권호근;손흥규;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93-702
    • /
    • 2005
  • 치아의 정확한 맹출 시기와 그 순서는 어린이의 발육 성숙도의 지표로서 소아치과 임상 및 예방 교정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2001{\sim}2003$년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어린이 중 만 5세부터 만 14세까지의 남자 654명, 여자 542명, 총 1,196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영구치의 맹출 시기 및 순서에 대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 영구치의 맹출 시기는 중절치 남 만6.81세, 여 만6.78세, 측절치 남 만8.30세, 여 만7.98세, 견치 남 만10.28세, 여 만10.04세, 제1소구치 남 만9.74세, 여 만9.90세, 제2소구치 남 만10.87세, 여 만10.41세, 제1대구치 남 만6.25세, 여 만6.54세, 제2대구치 남 만12.21세, 여 만12.03세였다. 2. 하악 영구치의 맹출 시기는 중절치 남 만6.00세, 여 만6.06세, 측절치 남 만6.99세, 여 만6.74세, 견치 남 만9.83세 여 만9.17세, 제1소구치 남 만9.92세, 여 만9.75세, 제2소구치 남 만10.66세, 여 만10.39세, 제1대구치 남 만5.99세, 여 만5.75세, 제2대구치 남 만11.92세, 여 만12.17세였다. 3. 영구치의 맹출 순서는 상악에서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제1소구치, 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의 순이었고, 하악에서 제 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견치, 제 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의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