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n Hospice-Palliative Car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아동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inal Care Stress and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mong Pediatric Nurses)

  • 박은영;방경숙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55-6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pediatric nurse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Methods: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154 pediatric nurses who experienced terminal care at least once were surveyed. This study used three scales, including the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 (PCQN),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Data analyses using SPSS 22.0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Mann-Whitney U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erminal care stress experienced by the pediatric nurse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the hospice-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enhanced the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Conclusion: Hospice-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pediatric nurses to improve pediatric hospice-palliative care.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on this topic is required because the present results are inconsistent with previous and current researches.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완화의료인식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es'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손연주;김경아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6-265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rses' attitude toward death and their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in long-term care hospitals (LCHs).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27 nurses from 6 Incheon LCH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ly and August, 2020.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collect data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erminal care stress,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Nurses' terminal care stress was affected by their attitude toward death (𝛽=.30, p<.001) and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𝛽=.28, p=.002)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1.6%. Conclusion: Terminal care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erefore, educating nurses in LCHs about death an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s essential to manage their terminal care stress effectively.

간호학과 졸업예정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 및 인식 (Perception of Good Death,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mong The Nursing Graduates)

  • 조은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624-63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과 졸업예정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 및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권역별 8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4학년 2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3.28점이었고 하위영역별 수준은 친밀감 3.53점, 통제감 3.14점, 임상증상 2.89점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은 20점 만점에 9.24점이었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4.07점이었으며, 목적은 4.49점, 필요성은 3.79점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좋은 죽음과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 및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교과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며, 역할극, 시뮬레이션, 토론 수업 등 다양한 수업방법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the Hospice &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for Caregivers)

  • 최금희;권소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1호
    • /
    • pp.33-39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2015년 7월 새로이 등장한 완화의료 도우미를 양성하기 위한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임종환자 돌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 실험연구로서, 대조군 43명 실험군 58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군은 완화의료학회에서 제공하는 이론 20시간 실습 20시간의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였고, 대조군은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편의 표출하였다. 결과변수는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군은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F=21.09, P<0.001)과 말기환자 돌봄에 대한 태도(F=13.28, P<0.001)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이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 제공자로 준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상급종합병원근무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미치는 영향요인 -장기기증·이식의 지식 및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인식- (Factors Influencing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ertiary General Hospital Workers -Knowledge and Attitude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wareness of Death,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 제남주;화정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3호
    • /
    • pp.92-103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병원 근무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기증, 장기이식, 죽음,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지식, 태도 및 인식을 알아본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도 J시에 위치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28명의 대학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으로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관련 지식은 연령, 학력, 직종, 근무부서, 생명의료윤리 교육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뇌사 장기기증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죽음에 대한 인식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은 연명치료 중단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호스피스 병동 근무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인식으로 연명치료 중단 태도를 32.5% 설명하였다. 결론: 연명치료 중단 태도에 호스피스 병동 근무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이 관련이 있었으며, 생명의료윤리에 기반을 둔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Hospice Palliative Education Program on Perception of Hospice,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of Life in Adults)

  • 최금희;권수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1호
    • /
    • pp.14-22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일 지역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 교육을 실시하여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의미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지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호스피스 인식확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1일부터 11월 17일까지이다. 본 연구는 U시 소재 일개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실시하는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실험 설계였다. 실험군에게는 총 10주간 매주 3시간씩 총 30시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실험군, 대조군에게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하여 ${\chi}^2-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호스피스 완화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은 t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호스피스 인식(t=6.63, P<0.001), 죽음에 대한 태도(t=2.36, P=0.023), 삶의 의미(t=5.06, P<0.001) 정도에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호스피스 완화 교육 프로그램은 일반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의미 정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우리 사회에 편만한 호스피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함양하며 삶의 의미를 고취시키는 적극적인 시도와 노력이 요구된다고 본다.

The Effects of Counseling about Death and Dying on Perceptions, Preparedness, and Anxiety Regarding Death among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Hospice Patients: A Pilot Study

  • Jung, Yeojung;Yeom, Hyun-E;Lee, Na-Ri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1호
    • /
    • pp.46-55
    • /
    • 2021
  • Purpose: This pilot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eath counseling on perceptions, preparedness, and anxiety regarding death and dying among family caregivers of hospice patients. Methods: Death counseling developed based on the SPIKES model was provided to 37 family caregivers in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unit. Perceptions, preparedness, and anxiety regarding death were assessed with a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participants' scores before and after counseling were compared using the paired t-test. Results: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perceptions, preparedness, and anxiety regarding death after counseling. Compared to before counseling, the scores for perceptions of death (t=-4.90, P<0.001) and preparedness for death and dying (t=-16.23, P<0.001) improved, while anxiety (t=3.72, P=0.001) decreased after counseling. Some changes were also found in the types of support that family caregivers needed to prepare for the death of their family members in the hospice care unit. Conclus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death counseling could help family caregivers prepare for the death of their loved ones.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viders should play a key role in supporting family caregivers of hospice patients by developing strategies for counseling.

부산시민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what Constitutes a Good Death of the Citizenry of Busan)

  • 백정원;김숙남;최순옥;류지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85-97
    • /
    • 2016
  •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awareness of hospice and the perceptions on the need for visiting palliative care and what constitutes a good death of the citizens of Busan were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ospice system based on the needs of the citizenry of Busan by seeking solutions for current hospice strategies. Methods : One thousand Busan citizens from 20 to 80 years of age were surveyed in this study. Results : Busan citizens defined a good death as spending less than one month of time in the actual process of dying at home between the ages of 80-89 years. They knew about hospice a little and were aware of its necessity. They also knew about the necessity of visiting palliative care and were interested in receiving it when appropriate but did not know much about it. Conclusions : Firs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Busan citizens' expectations on what constitutes a good death and what a good death really is. Second, Hospice palliative care should be provided to the community. Third, the older the patient is, the more palliative care visits are necessary. Fourth, 40s and 50s must make preparations for hospice palliative care in their future.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에 대한 중요도 인식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Items on Psychosocial Assessment amo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ocial Workers)

  • 김원철;황명진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4호
    • /
    • pp.259-269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심리사회적 표준사정항목을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써,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의료기관의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자격조건에 따라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방법: 2013년 5월 3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전국 55개 완화의료지원기관에 정부인증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 10곳의 사회사업초기면접 기록지와 선행연구결과를 반영하여 8개 범주 80개 항목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메일로 발송하였다. 이 중 조사 참여에 동의한 31개 기관(56%)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심리사회적 사정영역의 8개 범주 중 가족사항에 대한 평균치가 4.53으로 가장 높고 경제적 사항이 4.06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 자격증, 의료사회사업수련,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담여부등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자격특성과 병원의 유형에 따라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히 본 연구결과 심리사회적 사정항목의 수행도가 기관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정항목을 중요하게 인식함에도 사정하고 있지 않는 등의 편차가 나타나 표준사정항목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법적 제도화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자격기준과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전담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전문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Changes in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Medical Students toward End-of-Life Care after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Education

  • Cha, Jeehyun;Lihm, Hoseob;Kim, Yoonyoung;Kang, Jihu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4호
    • /
    • pp.166-173
    • /
    • 2019
  • 목적: 높은 수준의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 교육은 한국 의과대학 교육과정에 필요하다. 하지만 이와 연관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며 이에 본 연구는 호스피스와 완화의료 교육 과정을 마친 의과 대학생의 호스피스와 완화의료에 대한 인지 및 태도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또한 의과대학의 기본 교육 과정 안에서 호스피스 교육과정의 역할에 대해서도 탐구하고자 한다. 방법: 호스피스와 완화의학에 대한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마친 총 76명의 의학과 4학년 학생이 자기 기입 형태의 설문조사에 참여 하였다. 교육 과정을 마친 후 수업 전과 비교하여 수업 후의 후의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교육 과정을 이수한 이후 가장 큰 변화는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 세팅에서 적절한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 부분에서 나타났다(3.50점 vs 5.32 점; P≤0.001). 수업 전과 비교하여 수업 이후 호스피스와 완화의료에 대한 태도를 나타내는 질문인 "나는 호스피스와 완화의료의 목표와 역할을 바르게 알고 있다"고 답한 학생은 17명(22.4%)에서 65명(85.6%)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예비의사로서 나는 호스피스와 완화의료의 바른 적용 시점을 알고 있다"고 답한 학생은 수업 전의 22명(28.9%)과 비교하여 65명(85.6%)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통합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과정은 의과 대학생의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