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of Good Death,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mong The Nursing Graduates

간호학과 졸업예정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 및 인식

  • Received : 2018.09.27
  • Accepted : 2018.12.20
  • Published : 2018.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knowledge and perception hospice palliative care among the nursing graduat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1 nursing students in 4th grade in 8 universities nationwi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knowled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with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was 3.28 points. Knowled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was 9.24 points.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was 4.07 poi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iculum to improve knowledge and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hospice palliative care, and to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programs such as role play, simulation, and discu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과 졸업예정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 및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권역별 8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4학년 2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3.28점이었고 하위영역별 수준은 친밀감 3.53점, 통제감 3.14점, 임상증상 2.89점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은 20점 만점에 9.24점이었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4.07점이었으며, 목적은 4.49점, 필요성은 3.79점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좋은 죽음과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 및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교과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며, 역할극, 시뮬레이션, 토론 수업 등 다양한 수업방법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Keywords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8_v18n12_624_t0001.png 이미지

표 2. 좋은 죽음과 호스피스 특성

CCTHCV_2018_v18n12_624_t0002.png 이미지

표 3.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CCTHCV_2018_v18n12_624_t0003.png 이미지

표 4.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

CCTHCV_2018_v18n12_624_t0004.png 이미지

표 5.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

CCTHCV_2018_v18n12_624_t0005.png 이미지

표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 및 인식

CCTHCV_2018_v18n12_624_t0006.png 이미지

표 7.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식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간의 상관관계

CCTHCV_2018_v18n12_624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통계청, 시도별 신규 증증(암) 등록환자의 암유형별 등록인원 현황, 통계청, 2018.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1_A089&conn_path=I2
  2. 통계청, 고령인구비율(시도/시/군/구), 통계청, 2018.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20631&conn_path=I2
  3. 통계청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2017년 인구동향조사 출생, 사망통계 잠정 결과, 통계청, 2018.
  4. 이명숙, 김윤정,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83-29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83
  5. 정현숙, 일개병원 의사와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부산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6. 안미숙, 이금재,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7권, 제3호, pp.122-133, 2014. https://doi.org/10.14475/kjhpc.2014.17.3.122
  7. 한지영, "검시관과 응급실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6-24, 2015. https://doi.org/10.14475/kjhpc.2015.18.1.16
  8. 김종근, 오수민, 천의영, 유장학,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pp.676-683,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1.676
  9. 박지현, 일개 종합병원 근무자의 좋은 죽음과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 부산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0. 김미혜, 권금주, 임연옥, "노인이 인지하는 '좋은 죽음' 의미 연구 : '복(福) 있는 죽음',"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2호, pp.195-213, 2004.
  11. 노유자, 호스피스와 죽음, 현문사, 1997.
  12. 장호영, 군보건의료인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교육요구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3. 김창곤,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20권, 제1호, pp.8-17, 2017. https://doi.org/10.14475/kjhpc.2017.20.1.8
  14. 김숙남, 김현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연명치료 중단 및 안락사에 대한 종합병원 간화의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36-144, 2016. https://doi.org/10.14475/kjhpc.2016.19.2.136
  15. 한지영, 이내영, "일부 간호학생의 죽음 관련 태도와 호스피스인식에 대한 실태조사," 종양간호학회지, 제9권, 제2호, pp.95-103, 2009.
  16. C. C. Chao, "Hospice palliative care is a universal value and the essence of nursing," Hu Li Za Zhi The Journal of the Nursing, Vol.62, No.2, pp.5-12, 2015. doi: 10.6224/JN.62.2.5.
  17. N. Ge, X. Qu, X. H. Ning, and X. H. Liu, "Needs of continuing education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China:A questionnaire-based survey," Zhongguo yi xue ke xue Yuan xue Bao, Acta Academiae Medicinae Sinicae, Vol.40, No.3, pp.390-394, 2018. doi: 10.3881/j.issn.1000-503X.2018.03.016.
  18. 김신미, 이윤정, 김순이, "노인과 성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3권, 제3호, pp.95-100, 2003.
  19. 백정원, 김숙남, 최순옥, 류지선, "부산시민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10권, 제3호, pp.85-97, 2016.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3.085
  20. 이영은, 최은정, 박정숙, 신성훈,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및 지식 그리고 죽음에 대한 태도: 일대 지역에서의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6권, 제4호, pp.242-252, 2013. https://doi.org/10.14475/kjhpc.2013.16.4.242
  21. 문도호, 이명아, 고수진, 최윤선, 김수현, 염창환, "말기암 환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 의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9권, 제2호, pp.93-100, 2016.
  22. 심혜영, 장윤정,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사 e-learning 교육과정 개발,"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8권, 제1호, pp.9-15, 2015. https://doi.org/10.14475/kjhpc.2015.18.1.9
  23. 이영은, 김미경, 최은아, 임민숙, "고등학생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영향요인,"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9권, 제3호, pp.222-232, 2016. https://doi.org/10.14475/kjhpc.2016.19.3.222
  24. C. E. Schwartz, K. Mazor, J. Rogers, Y. Ma, and G. Reed, "Validation of a new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Vol.6, No.4, pp.575-584, 2003. https://doi.org/10.1089/109662103768253687
  25. M. M. Ross, B. McDonald, and J. McGuinness, "The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 (PCQ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nurses' knowledge of palliative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23, No.1, pp.126-137, 1996.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6.tb03106.x
  26. H. S. Kim, B. H. Kim, Y. S. Jeong, S. H. Kim, S. H. Park, and S. G. Choi, "The effect of an end-of-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 course on nurses'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28ve care in Korea,"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Nursing, Vol.13, No.4, pp.222-229, 2011. https://doi.org/10.1097/NJH.0b013e318210fdec
  27. 이용주,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및 태도 조사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8. 최은정, 정혜선,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좋은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275-284, 2018. https://doi.org/10.5762/KAIS.2018.19.5.275
  29. 한나영, 윤홍주, 박일환, 정유석, 유선미, "좋은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제23권, 제2호, pp.769-777, 2002.
  30. 김미혜, 권금주, 임연옥, "노인이 인지하는 '좋은 죽음' 의미 연구 : '복(福) 있는 죽음',"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2호, pp.195-213, 2004.
  31. T. Oliver and S. J. O'Connor, "Perceptions of a "good death" in acute hospitals," Nursing Times, Vol.111, No.21, pp.24-7, 2015.
  32. 유민영, 일 상급 종합병원 의료인의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인식, 지식 및 의뢰 시 장애 요인,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3. 위다희, 강숙정,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완화 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죽음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제22권, 제4호, pp.257-264, 2016. https://doi.org/10.4094/chnr.2016.22.4.257
  34. 이현정,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9권, 제2호, pp.88-95, 2013. https://doi.org/10.14370/jewnr.2013.19.2.88
  35. 윤은자, 황윤영, 전미순, 유승미, 권영미, 김희정, 이영미, 장은실, 노인간호학, 수문사, 2018.
  36. 양은숙, 이동훈,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667-685,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