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naeus japonicu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보리새우(Penaeus japonicus)에 감염된 Mollicute-like Organism (Detection of a mollicute-like organism in kuruma shrimp, Penaeus japonicus)

  • 최동림;손상규;박명애;허문수;르노 트리스탕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40
    • /
    • 1996
  • 자연산 보리새우(Penaeus japonicus) 모하의 병리검사 결과 사상체의 mollicute와 유사한 미생물의 감염을 확인하였다. 검사에 사용된 보리새우 모하는 일본산이며, 한국으로 수입되었다. 일반 조직검사 결과 병리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투과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간췌장 상피세포에서 세포내 다형태성 사상체 세균의 광범위한 감염을 발견하였다. 사상체 세균은 직경이 약 60nm이며, 길이가 300nm에서 $1{\mu}m$ 이상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이 세균의 구조는 사상체이며, 끝마디를 가진 가지로 분지 되는 특징을 보였다. 세포벽은 없으며, 원형질막으로만 둘러싸여 있었으며, 전형적인 원핵세포성 리보소음과 선형 DNA와 유사한 가닥을 가지고 있었다. 그 외 다른 세포내 기관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형태적인 특징들과 세포내 감염부위로 볼 때 이 세균은 mollicutes로 판단된다.

  • PDF

Enzymatic Properties of Protease from the Hepatopancreas of Shrimp, Penaeus japonicus

  • Kim Hyeung-Ra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3권3_4호
    • /
    • pp.188-194
    • /
    • 2000
  • A protease purified from hepatopancreas of shrimp, Penaeus japonicus, had maximum activity at $70^{\circ}C$ and in neutral and alkaline pH ranges. Specific activity at optimum reaction condition of the protease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2 U/mg/min. The protease was stable in neutral and alkaline pH ranges and activity was retained after heat treatment at $50^{\circ}C$ for 30 min. Apparent $K_m$ and $V_{max}$ value against casein substrate were estimated to be $0.29\%$ and $7.8see^{-1}$, respectively, and those against N-CBZ-L-tyrosine p-nitropheny1 ester (CBZ­Tyr-NE) were 0.38 mM and $2,400 see^{-1}$, respectively. The N-termina1 sequence of the protease showed high homology to the trypsin from same species and the proteases from shrimp. Myosin heavy chain (MHC) from shrimp tail meat was the most susceptible to the protease and actin/tropomyosin were degraded progressively during 4 hr incubation, but to a lesser degree than MHC.

  • PDF

White Spot Baculovirus의 모하와 중간숙주 감염 및 해수생존 (White Spot Baculovirus Infection of Shrimp Spawner, Inhabitant Organisms and Survival in Seawater)

  • 허문수;손상규;김영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20
    • /
    • 2000
  • 자연산 모하의 White Spot Baculovirus(WSBV)보균을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에 의한 검출에서 Penaeus chinensis 모하가 52%, Penaeus japonicus 모하는 20%나타났다. 새우 양식장의 서식생물의 본 바이러스의 보균을 조사한 결과 Upogebia major 37%, Calliamassa japonica 29%를 보였다. 본 바이러스의 해수 생존시험에서는 $4^{\circ}C$에서는 장기간 생존하였고 $25^{\circ}C$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활성을 잃었다.

  • PDF

White Spot Syndrome Virus in Penaeid Shrimp Cultured in Korea

  • Shin, En-Joo;Park, Jae-Hak;Lee, Yeo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394-398
    • /
    • 2001
  • Because of the great concern over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from the rod-shaped nuclear virus (PRDV) from Japan and white spot virus (WSSV) from Taiwan, most eggs used in Korean shrimp farms are currently obtained from local broodstock. In addition, the screening of imported broodstock for any viral presence at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is also mandatory. Nonetheless, massive mortality from white spot syndrome continues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present an improved PCR method to use tissue-extracted DNA instead of viral DNA extracted from a purified virus based on a sucrose density gradient, and produced results within 8 h. In 1998, this modified PCR method was able to detect that diseased Penaeus japonicus were infected within 8 h. In 1998, this modified PCR method was able to detect that diseased Penaeus japonicus were infected only with PRDV, while Fenneropenaeus chinensis were infected with both PRDV and WSSV. In 1999, PRDV and WSSV were detected in F. chinensis with signs of infection, but not with WSSV alone.

  • PDF

양식 보리새우 Penaeus japonicus의 아가미에 기생하는 Leucothrix sp.에 대하여 (FUNGUS LEUCOTHRIX SP. GROWING ON THE GILLS OF CULTURED SHRIMP PENAEUS JAPONICUS)

  • 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1-124
    • /
    • 1980
  • Microscopical studies of Leucothrix sp. and its histological effect on the gill tissue of Penaeus japanicus have been made. Infection of Leucothrix sp. results in color change of the gills of the shrimp which is mainly due to the brown or black pigments of the filamentous bacteria. Higher degree of the infections makes necrosis and serious histological changes of the gill tissue and this infection affects the respiratory activity of the shrimp.

  • PDF

White Spot Baculovirus(WSBV) 미감염 새우(Penaeus chinensis, Penaeus japonicus) 종묘 생산 (Production of Healthy Shrimp(Penaeus chinensis, Penaeus japonicus) Seedling Free from White Spot Baculovirus(WSBV))

  • 허문수;손상규;김종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5
    • /
    • 2001
  • White Spot Baculovirus(WSBV) 미감염 새우 건강 종묘를 생산하기 위하여 난의 요오드 소독을 실시하였다. 유효 요오드농도 20,50,100,200 ppm에서 각 시험구의 대하(Penaeus chinensis) 수정난을 각각 30,60초 처리한 결과 각 농도의 30초 처리구에서는 50%이상의 상대부화율을 보였고, 60초 처리구에서는 20ppm 처리구에서만 약 50% 상대 부화율을 보인 반면 50 ppm이상에서는 부화율이 거의 없었다. 보리새우(Penaeus japoni cus)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대하의 경우 세란만 실시한 대조구의 부화율은 33.3%이었지만, 보리새우는 55.2%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부화후 생존율을 보면 수정난의 소독으로 부화율은 낮아지지만 수정란 소독후 부화된 유생은 초기생육에는 문제점이 없었다. WSBV 미감염 건강종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정난을 세척하고 저농도의 요오드를 짧은 시간에 소독해야 한다.

  • PDF

황해산 대하(Penaeus chinensis)의 계군분석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Mitochondrial DNA Analysis of the Fleshy Prawn (Penaeus chinensis) for Stock Discrimination in the Yellow Sea)

  • 황규린;이영철;장정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8-94
    • /
    • 1997
  • 황해 서식 대하(P. chinenesis) 각 개체군의 유전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 DNA(mtDNA)를 추출한 후 BamHI등 15종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제한효소 절편 다형 현상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er-phisms; RFLPs)을 분석하였으며 보리새우 (P. japonicus)와의 염기 치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본 나가사키 1 집단의 절편 양상도 함께 분석하였다. 한국의 대천, 진도, 나로도 집단과 중국의 발해, 청도 집단 등 5개 집단을 분석한 결과, 대하에서는 3종의 haplotype이 발견되었으나 5개 집단 모두가 하나의 haplotype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타난 변이는 2종류로 Cla I과 Pvu II 인식부위가 부가된 변이가 청도와 나로도 집단에서 출현하였을 뿐 전 집단에 대한 나머지 13종의 제한 효소 절편 양상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보면 황해산 대하의 각 집단 사이에는 활발한 유전자 교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3개 계군에 대한 지금까지의 구분은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하와 보리새우의 mtDNA 공통절편을 이용한 p 값에 의한 염기치환은 $13.7\%$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한 효소별 절편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대하의 mtDNA의 크기는 평균 16.44kb였고 보리새우는 약 16.31kb였다.

  • PDF

국내 온라인 유통 새우 제품의 종판별 및 표시사항 모니터링 연구 (Species Identification and Labeling Compliance Monitoring of Commercial Shrimp Products Sold in Online Markets of South Korea)

  • 김건희;이지영;강태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96-507
    • /
    • 2023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온라인 시장에서 판매되는 48개의 새우 제품의 종판별 및 제품 표시 사항 일치 여부를 조사하였다. 사용 원재료의 종 판별을 위해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CBI GenBank 및 BOLD system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생물종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였다. 또한 계통분석을 수행하여 동정된 새우종을 추가로 검증했다. 종판별 결과 총 16종[흰다리새우(Penaeus vannamei, Whiteleg shrimp or Pacific white shrimp), 북쪽분홍새우(Pandalus borealis, Alaskan pink shrimp), 그라비새우(Palaemon gravieri, Chinese ditch prawn), 돗대기새우(Leptochela gracilis, Lesser glass shrimp), 얼룩새우(Penaeus monodon, Giant tiger prawn), 아르헨티나붉은새우(Pleoticus muelleri, Argentine red shrimp), 산모양깔깔새우(Metapenaeopsis dalei, Kishi velvet shrimp), 태평양난바다곤쟁이(Euphausia pacifica, Isada krill), 가시배새우(Lebbeus groenlandicus, Spiny lebbeid), 꽃새우(Trachypenaeus curvirostris, Southern rough shrimp), 진흙새우(Argis lar, Kuro shrimp), 가시발새우(Metanephrops thomsoni, Red-banded lobster), 깔깔새우(Metapenaeopsis barbata, Whiskered velvet shrimp), 긴발딱총새우(Alpheus japonicus, Japanese snapping shrimp), 대하(Penaeus chinensis, Fleshy prawn), 긴뿔민새우(Mierspenaeopsis hardwickii, Spear shrimp)]이 확인되었으며, 흰다리새우(n=22, 45.8%)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일반명 '새우'를 포함하는 35개 제품(72.9%)에서 표시사항과 불일치를 나타내었으며, 일반명(n=30)을 제외할 경우 불일치율은 10.4%로 낮아졌다. 가공 정도별 불일치율은 다중 가공 제품(n=25, 89.3%)이 단순 가공 제품(n=10, 50%)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원산지별 분석 결과 특정 국가와 불일치율과의 상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새우 제품의 모니터링 수행 및 새우의 국명 표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보리새우 Penaeus japonicus Bate의 춘계 산란군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STUDIES ON THE BIOLOGY OF THE SPRING SPAWNING GROUPS OF PENAEUS JAPONICUS BATE)

  • 변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19-227
    • /
    • 1970
  • 1. 거제도 동쪽 연안의 보리새우 어장에서는 5월부터 10월까지 어획이 되고 있으나 성어기는 6월과 9월에 두번 이루어지고 있다. 2. 능포 지선에 출현하는 보리새우 암컷의 두흉갑장의 모오드는 5월에는 $51\~55mm$, 6월에는 $51\~60mm$,의 것이 약 $80\%$를 차지하게 되며, 7월에는 현저한 모오드는 보이기 않고 $41\~50mm$의 소형의 것이 출현하기 시작하고, 8월에는 $46\~50mm$의 것이 모오드를 나타내고 있었다. 3. 수컷의 두흉갑장의 모오드는 5월에는 $41\~45mm$, 6월에는 $46\~50mm$, 7, 8월에는 다시 $41\~45mm$의 것이 나타내고 있었다. 4. 본종은 봄과 가을에 출현하는 2개의 계통군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일부의 군은 혼입되는 것으르 추측된다. 5. 5월에서 8월까지 능포 지선에서 출현하는 보리새우의 성비는 암컷 33, 수컷 67정도였다. 6. 본종의 두흉갑장($\iota$)과 체장(L) 및 체중(Wg)과의 관계는 5월산이 $L=2.9418{\iota}+2.0166$, $W=1.449{\iota}^{2.2858}$, 6월 산이 $L=2.5551{\iota}+4.2986$, $W=1.528{\iota}^{2.2595}$, 7월산이 $L=2.6738{\iota}+3.4037$, $W=1.341{\iota}^{2.3593}$의 식으로 표시되었고 6월산이 5, 7월산에 비하여 두흉갑장에 대한 체장과 체중의 증가가 공히 완만한 편이었다. 7, 5, 6, 7월산 어미 새우의 두흉갑장과 난소, 중량(W)과의 관계는 $W=2.695\times10^{-3}\iota^{4.2973}$의 식으로 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