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 and group siz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8초

한우 거세우의 군집크기에 따른 산육특성 연구 (Studies on Variation of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by Pen and Group Size)

  • 하재정;이용준;장원진;김연욱;;송영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6
    • /
    • 2009
  • 본 시험은 한우 거세우의 군집의 크기가 산육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일반 사육농가의 거세 비육우 48두를 $35.28\;m^2$에 4두를 배치(대조구; C), $70.56\;m^2$에 8두를 배치(처리구 1; $T_1$), $105.84\;m^2$에 12두(처리구 2; $T_2$)를 배치하여 체중과 초음파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개체별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근내지방도의 분석과 도체 실측치를 이용하여 처리구별 산육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12두 처리구에서 조사료 섭식량이 가장 많았으나, 21개월령 우방 재구성 후에는 8두 처리구와 12두 처리구에서 섭취량이 낮게 나타났다. 전 기간에 걸쳐 처리구별 산육특성을 비교하였을 경우 육질등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근내지 방도의 경우 12두 처리구가 4두 처리구와 8두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증체량에 있어서는 12두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등심단면적, 근내지방도 등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고급육 출현율에 있어서도 12두 처리구에서 87.4%로 4두 처리구의 62.5%와 8두 처리구 75.0%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가장 넓은 사육공간에서 사육 된 12두 처리구에서 산육특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되며 우방의 크기와 우방내 사육두수는 한우의 산육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육성 기에서 비육기까지의 합사 관리 및 더 나아가 한국형 축사에 적합한 복지형 사육관리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環境條件이 育成豚의 增體와 行動에 미치는 影響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Performances and Behavioural Patterns of Growing Pigs)

  • 김두환;김철욱;송영민;진상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45-153
    • /
    • 1995
  • 두당돈방면적과 돈군의 크기 등 비기후적 환경요인이 육성돈의 생산과 각종 행동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30kg부터 60kg까지의 육성돈을 18돈방에 총 270두를 공시하여 시험하였다. 두당돈방면적을 0.33$m^2$, 0.44$m^2$ 및 0.66$m^2$로 설정하였고 돈군의 크기는 12두, 15두 및 18두로 하였다.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및 휴식, 채식, 공격, 사회성, 유희행동 등의 각종 행동유형을 조사하였으며 각 조사항목에 대하여 요인별로 주요인 효과와 자 요인들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당 돈방면적을 0.44$m^2$로 한 것이 육성돈의 증체 및 사료요구율(p<0.01)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돈군의 크기에 따라서는 15두군이 12두와 18두군에 비하여 증체와 사료요구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3. 육성돈의 행동에 대한 두당돈방면적의 효과는 두당돈방면적이 좁아지면 휴식행동과 비공격적 사회성 친화 행동이 감소되나 섭취행동과 공격행동은 그 빈도가 증가되었다(p<0.01). 4. 돈군의 크기는 육성돈의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돈군의 크기가 커질수록 육성돈의 공격행동과 섭취행동은 증가되나 휴식행동은 감소되었다(p<0.01). 5. 육성돈의 생산과 행동면에서 두당 0.44$m^2$로 하고 돈군의 크기는 15두로 하는 것이 최적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r Group Size on Intake, Growth,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Bos taurus coreanae)

  • Lee, Sang-Moo;Kim, Jae-Yeon;Kim, Eun-Jo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1호
    • /
    • pp.1553-155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r group size on feed intake, daily gai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Korean indigenous breed) steers reared from 7 months to 31 months of age. Thirty Hanwoo stee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 three replicates each (a total of 12 pens). In each group, one (G1), two (G2), three (G3), and four steers (G4) per pen were allocated as treatments. Pen size was $32.0m^2$, and therefore Hanwoo steers in G1, G2, G3, and G4 were reared under different space allowances, i.e. 32.0, 16.0, 10.6, and $8.0m^2$/steer, respectively. Steers were reared following a conventional beef cattle management method in Korea, and were offered a fixed amount of commercial concentrate with ad libitum forages. Results were subjected to analysis of variance with stocking density as the main effect, and significance was declared at p<0.05. Although total fee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altered, it numerically increased in animals of low stocking density (G1) compared to those subjected to high stocking density treatment (i.e. G4). Feed conversion ratio was higher (p<0.05) in G3 compared to G1 and G2. Animals in G1 (low stocking density) grew faster (p<0.05) than those of high stocking density (G3 and G4). Back fat thickness, meat yield index, and meat yield grade were similar among all levels of stocking density. However, longissimus muscle area was larger in G1 and G2 (p<0.01) compared to G3 and G4, and animals in G3 produced smaller carcasses (p<0.05). Carcass quality traits, including marbling score, meat color, fat color, texture, maturity and meat quality grade, as determined by a group of exper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lower stocking density resulted in increased feed efficiency, daily gain, and carcass weight in Hanwoo steers. However it remains unclear whether such differences are the results of stocking density or group size, or a combination of both. Nonetheless, these results confirm previous studies reporting a negative effect of increased stocking density on animal productivity. Further, animal welfare under an intensive farming system in relation to economical return is discussed.

Gametogenic Cycle and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in Atrina (Servatrina) pectinata (Bivalvia: Pinnidae) in Western Korea

  • Chung, Jae Seung;Chung, Ee-Yung;Lee, Chang-Hoo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63-375
    • /
    • 2012
  • The gametogenic cycle,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per year and first sexual maturiity of the pen shell, Atrina (Servatrina) pectinata, were investig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Compared two previous results (the spawning periods in the reproductive cycles in 1998 and 2006)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with the present results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pawning periods: the spawning period (June to September)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one month longer than those of two previous reports (June to July or June to August)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However,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studied by the qualitative and quatitative analyses occurred once per year. In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the patterns of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 (%) of the areas occupied by follicles to the ovary area in females (or that of the areas occupied by spermatogenic stages to the testis area in males) showed a maximum in May, and then sharply droped from June to September, 2006.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A. (S.) pectinata occurred once a year from June to September, indicating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Shell heights of sexually mature pen shells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GM_{50}$) that were fitted to an exponential equation were 15.81 cm in females and 15.72 cm in males (considered to be one year old).

環境條件이 仔豚의 成長과 行動에 미치는 影響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Growth Performances and Behavioural Patterns of Weanling Pigs)

  • 김두환;김철욱;송영민;진상근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37-144
    • /
    • 1995
  • 두당 돈방면적과 돈군의 크기 등 돼지의 사육환경 조건이 자돈의 성장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유후부터 체중 30kg까지의 자돈을 총 18돈방에 300두를 공시하여 시험하였다. 사료급여는 습식급여로 하였으며 두당 돈방 면적은 0.18$m^2$, 0.23$m^2$ 및 0.30$m^2$로 하였고 돈군의 크기는 돈방당 15두, 20두 및 25두로 하였다.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을 조사하였으며 자돈의 행동을 휴식, 섭취, 공격, 사회성 및 유희행동으로 나누어 조사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당 돈방면적이 0.18$m^2$의 경우 사료섭취량은 많았으나(p<0.01) 증체량은 차이가 없고, 사료효율은 낮으므로(p<0.05) 두당 0.23$m^2$의 경우가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돈군의 크기에 따른 자돈의 증체나 사료효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사료섭취량은 15두군이 가장 많았다(p<0.01). 3. 자돈의 두당 돈방면적은 행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두당 돈방면적이 좁을수록 공격행동이 증가되었고, 휴식, 사회성 및 유희행동은 감소되었다(p<0.01). 4. 돈군의 크기는 자돈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유희행동은 돈군이 커질수록 감소되었다(p<0.01). 5. 자돈의 성장과 행동면에서 두당 0.23$m^2$의 돈방면적을 부여하고 20~25두 크기로 돈군을 유지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득량만에 이식한 키조개, Atrina pectinata japonica의 성장에 관한 연구 I. 양식장 환경 및 각장 크기별 이식효과 (A Study on the Growth of Pen Shell, Atrina pectinata japonica Transplanted into Duekryang Bay in Southern Korea I. Environmental Factors and Transplanted Effect on Different Shell Size Groups)

  • 양문호;최상덕;노용길;김성연;정춘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3-201
    • /
    • 1998
  • 키조개의 생산성 향상 및 패류 양식품종 다양화를 모색하고자 1996년 5월 자연서식장에서 연안의 양식적지에 이식하여 1995년 11월까지 크기별 성장효과 및 어장환경 등을 조사하였다. 원서식지인 득량만 하부이 우산도와 이식지인 득량만 상부의 수문리해역 수심은 각각 20~25m 및 3m였다. 그리고 원서식지 및 이식지의 수온과 염분은 각각 10.9~~$27.8^{\circ}C.$, 8.5~$30.0^{\circ}C.$, 29.54~35.26$^0\prime\infty$, 28.75~36.31$^0\prime\infty$ 였으며, 수온의 최저치는 11월이었고 최고치는 7월에 나타났다. 인산염은 0.09~$1.14 ^{\mu}$g-a/l, 0.23~$1.33 ^{\mu}$g-at/l이었으며, 최저치는 6월이었고 최고치는 9월이엇다. 조사기간도안 출현한 식물성플랑크톤은 총 19종이었다. 그중 우점종은 Skeletonema costatum였으며, 8월에 원서식지 및 이식지에서 각각 157 cells/ml, 165 cekks/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니질성분은 원서식지보다 소량 높게 나타났다. 니질성분은 원서식지 및 이식지에서 가각 85.23%(82.17~87.26), 92.12%(90.76~92.94)이었다. 각장 10cm시험구에서 키조개의 각장, 각고, 전중량, 육중량 및 패주의 성장률은 각각 99.32%, 107.04%, 871.09%, 951.26%, 1,223.76%씩 증가하였으며, 다른 시험구(각장 10~15, 15~20. 20 cm)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생존율은 각장 10 cm 시험구에서 98.10% 이었으며, 다른 시험구(90.95~94.76%)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자연발생적으로 서식하는 원서식지와 이식지에 있어서 키조개의 성장률은 이식지가 원서식지보다 각장, 전중량, 육중량 및 패주중량이 각각 1.3배, 2.6배, 2.7배 및 4.5배씩 더 증가하였다.

  • PDF

Effect of Individual, Group or ESF Housing in Pregnancy and Individual or Group Housing in Lactation on the Performance of Sows and Their Piglets

  • Weng, R.C.;Edwards, S.A.;Hsia, L.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9호
    • /
    • pp.1328-1333
    • /
    • 2009
  • To evaluate different housing systems, 80 gilts were randomly allocated at puberty to four treatments: i) sow stall in gestation followed by farrowing crate (SC), ii) group housing with individual feeding in gestation followed by farrowing crate (GC), iii) ESF (Electronic Sow Feeding) system in gestation followed by farrowing crate (EC), and iv) ESF system followed by group farrowing pen (EG). The results showed that stalled sows had a longer interval between puberty and second estrus (p<0.001). The sows kept in the ESF system gained more body weight (p<0.01) and backfat (p<0.05) prior to service, and more backfat during gestation (p<0.05), but also had greater backfat losses in the subsequent lactation (p<0.01). Sows changing from loose housing to confinement at farrowing had longer gestation length (p<0.001). Total litter siz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estation treatments, but the number of stillborn pigle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C treatment (p<0.01). After weaning, SC sows had the longest interval for rebreeding (p<0.001). Some EG sows came into heat before weaning, giving this treatment the shortest interva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estation confinement in sow stalls had several detrimental effects on sow performance relative to group housing.

Social genetic effects on days to 90 kg in Duroc and Yorkshire pigs

  • Kim, Yong-Min;Cho, Eun-Seok;Cho, Kyu-Ho;Sa, Soo-Jin;Jeong, Yong-Dae;Woo, Jae-Seok;Lee, Il-Joo;Hong, Joon-Ki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4호
    • /
    • pp.595-602
    • /
    • 2016
  • In pigs, individuals in the same pen may show aggressive behavior toward each other, such as tail biting. Such social interactions among pen mates may considerably affect their welfare and performance, both in negative and positive way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ocial genetic effects on days to 90 kg using data from 12,208 Duroc and Yorkshire pigs that were born between 2008 and 2012. Heritability was estimated using the five following animal models: a basic model with direct heritable effects only (Model 1), a social model with direct and social heritable effects (Model 2), a model accounting for covariance between direct and social heritable effects (Model 3), and two models considering a dilution factor with direct and social heritable effects (Models 4 and 5). The optimal model to represent Duroc pigs was Model 1 which only uses direct heritable effects. Direct heritability (0.21) was higher than total heritability (0.09) and covariance was negative. Model 2 was evaluated as the optimum model for Yorkshire pigs. Yorkshire data showed that total heritability (0.5) was twice as high as direct heritability (0.25) and covariance was positiv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fficiency of social effects differed among breeding lines. Further research on social effects related to breeds by group size would clarify which is the most efficient selection method that accounts for social genetic effects.

Bis-hydroxyethyl Naphthalate의 축중합 반응에 관한 속도론적 연구 (Kinetic Study on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of Bis-hydroxyethyl Naphthalate)

  • 이성진;정성일
    • 폴리머
    • /
    • 제26권4호
    • /
    • pp.422-430
    • /
    • 2002
  • Antimony trioxide 촉매를 사용하여 241 - $260^{\circ}C$ 범위에서 bishydroxyethyl naphthalate (BHEN)의 축중합 반응에 관한 속도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반응은 회분식 반응기에서 진행되었고 반응물의 농도는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자종 모델을 적용하여 구한 반응속도상수의 정반응 및 역반응 활성화 에너지 값은 각각 19.7과 31.4 kcal/mole 이었으며, 평형상수는 1.4-2.0으로 PET 축중합 반응의 경우보다 큰 값을 가지며 온도에 따라 어느 정도 변하였다. 말단기인 hydroxyethyl기의 반응속도는 분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함을 Flory, 모델식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기 모델을 적용한 결과 정반응과 역반응 활성화 에너지 길기 큰 차이가 없었으며, 평형상수는 1.4정도의 값을 가졌다. 관능기 모델로부터 구한 속도상수 값은 분자종 모델로부터 구한 값의 3-4배로서 두 모델이 모두 반응계를 잘 설명하였다. 제안된 분자종 모델이 10개의 분자종을 모두 예측해야 하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실험 결과와 잘 맞음을 알 수 있었다.

GSP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도형의 대칭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n Symmetrical Figures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f Mathematical Instruction Using GSP)

  • 최주영;박성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59-474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도형의 대칭 단원을 GS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지도했을 때, 도형의 대칭이동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실험집단은 GS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도형의 대칭을 학습하였고,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학습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수학 성취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GSP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도형의 대칭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GSP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흥미를 불러 일으켰으며, 학생 스스로 문제를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음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