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Growth of Pen Shell, Atrina pectinata japonica Transplanted into Duekryang Bay in Southern Korea I. Environmental Factors and Transplanted Effect on Different Shell Size Groups

득량만에 이식한 키조개, Atrina pectinata japonica의 성장에 관한 연구 I. 양식장 환경 및 각장 크기별 이식효과

  • 양문호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증식과) ;
  • 최상덕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증식과) ;
  • 노용길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증식과) ;
  • 김성연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증식과) ;
  • 정춘구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증식과)
  • Published : 1998.05.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nviromental quality and the growth of transplanted pen shell, Atrinna pectinata japonica.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growth of transplanted pen shell with respect to the shell size groups from the natural habitat (Usando) in May 1995, and cultivated upto November in the transplantated area (Soomoonri). The water depth of transplantated area andnatural habitat were 3m, 20~25m, respectively. The seawater temperature of the two culturing farms were ranged of 10.9~$27.8^{\circ}C.$, 8.5~$30.0^{\circ}C.$, respectively at the lowest in November adn the highest in July. The seawater salinity of the two areas were ranged of 29.54~35.26$^0\prime\infty$, 28.75~36.31$^0\prime\infty$, respectively at the lowest in July and the highest in November. The phosphoric acid ($PO_4$-P) of the two areas were 0.09~$1.14 ^{\mu}$g-at/l, 0.23~$1.33 ^{\mu}$g-at/l, respectively at the lowest in June and the highest in September. The bottom type of the two areas was a silty mud, 85.23% (82.17~87.26%) in natural habitat and 92.12% (90.76~92.94$^0\prime\infty$) in transplanted area. In this study area, phytoplankton were composed of 19 species. Of these 19 species, Skeletonema costatum was dominant species in seawater between natural habitat and transplantatied area, and 157 cells/ml, 165 cells/ml at August respectively. Stock of phytoplankton in transplantated area were more than those of natural habitat except June and November. The growth of shell length, shell height, total weight, soft part weight and posterior adductor muscle weight of pen shell on different size groups (SL 10, 10~15, 15~20, 20cm) were excellent in shell length of 10cm group, and 99.32%, 107.66%, 871.09%, 951.26% and 1,223.76%,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of pen shell was 98.10% in the shell length of 10cm groups, 90.35~94.76% in the others groups. The growth of shell length, total weight, soft part weight and posterior adductor muscle weight of pen shell in transplantated area were more 1.3, 2.6, 2.7 and 4.5 times than those of natural habitat.

키조개의 생산성 향상 및 패류 양식품종 다양화를 모색하고자 1996년 5월 자연서식장에서 연안의 양식적지에 이식하여 1995년 11월까지 크기별 성장효과 및 어장환경 등을 조사하였다. 원서식지인 득량만 하부이 우산도와 이식지인 득량만 상부의 수문리해역 수심은 각각 20~25m 및 3m였다. 그리고 원서식지 및 이식지의 수온과 염분은 각각 10.9~~$27.8^{\circ}C.$, 8.5~$30.0^{\circ}C.$, 29.54~35.26$^0\prime\infty$, 28.75~36.31$^0\prime\infty$ 였으며, 수온의 최저치는 11월이었고 최고치는 7월에 나타났다. 인산염은 0.09~$1.14 ^{\mu}$g-a/l, 0.23~$1.33 ^{\mu}$g-at/l이었으며, 최저치는 6월이었고 최고치는 9월이엇다. 조사기간도안 출현한 식물성플랑크톤은 총 19종이었다. 그중 우점종은 Skeletonema costatum였으며, 8월에 원서식지 및 이식지에서 각각 157 cells/ml, 165 cekks/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니질성분은 원서식지보다 소량 높게 나타났다. 니질성분은 원서식지 및 이식지에서 가각 85.23%(82.17~87.26), 92.12%(90.76~92.94)이었다. 각장 10cm시험구에서 키조개의 각장, 각고, 전중량, 육중량 및 패주의 성장률은 각각 99.32%, 107.04%, 871.09%, 951.26%, 1,223.76%씩 증가하였으며, 다른 시험구(각장 10~15, 15~20. 20 cm)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생존율은 각장 10 cm 시험구에서 98.10% 이었으며, 다른 시험구(90.95~94.76%)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자연발생적으로 서식하는 원서식지와 이식지에 있어서 키조개의 성장률은 이식지가 원서식지보다 각장, 전중량, 육중량 및 패주중량이 각각 1.3배, 2.6배, 2.7배 및 4.5배씩 더 증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佐賀有明水試報 v.10 有明海産タイラギに關する硏究(Ⅳ) ; タイラギの天然採苗に 關する試み(1) 古賀秀昭;山下康夫
  2. 통영수전 논문집 v.20 일본산 종굴의 이식성장시험 권구섭;원용인
  3. 水産講留所硏究報告 v.6 no.1 有明海産有用二枚貝の初期生活史(Ⅰ) 吉田裕
  4. 한수지 v.15 no.1 남해산 참굴 Crassostrea gigas(Thunberg)의 이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김용호
  5. 수진연보 v.34 여자만 키조개 유생의 출현시기와 성장 김윤;박미선;이사동
  6. 養殖會誌 v.8 no.4;5 有明海に於るタイラギ養殖にっいて 渡邊一
  7. 栽培技硏 v.13 no.2 タイラギの人工採卵と幼生飼育に關する問題點 濱本俊策;大林萬鋪
  8. 한수지 v.5 no.1 Portugal 굴 (Crassostrea angulata) 및 Olympia 굴 (Ostrea lurida)의 이식성장에 관한 연구 배경만;배평암
  9. 수진연보 v.11 참굴 수하양식에 관한 연구(Ⅱ), 해역별 성장도에 관하여 배평암
  10. 수진연보 v.20 참굴 수하양식에 관한 연구(Ⅳ), 굴 양식장의 환경과 성장도에 대하여 배평암;변충규;고창순;김윤;강필애
  11. Fresenius Z. Anal. Chem. v.314 Determination of heavy metals in sea water and marine organisms of flamess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Sperling, K.R.;B. Bahr
  12. 수산연감 한국수산회
  13. 수진연보 v.41 서해산 참굴, Crassostrea gigas(Thunberg)의 이식성장에 관한 연구 송홍인;김백균;김귀영
  14. 남해수연사업보 키조개 양식기술에 관한 연구 양문호;공용근;노용길;김성연
  15. 한수지 v.15 no.1 Malaysia국 Ambong만에 이식한 참굴의 성장 유성규;유호영
  16. 한수지 v.6 no.1;2 굴의 양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Ⅱ), 참굴의 지역별 특성 유성규;유명숙
  17. 한수지 v.17 no.6 키조개 양식개발에 관한 연구(Ⅰ), 여자만산 키조개의 번식생태 유성규;유명숙
  18. 부산수대연보 v.12 no.2 굴의 양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Ⅰ), 참굴의 성장 유성규;유명숙;박종남
  19. Tohoku Jour. of Aguri. Res. v.12 no.2 Study of breeding of Japanese oyster, Crassostrea gigas Imai, T.;S. Sakai
  20. 수진연보 v.39 키조개의 종묘생산을 위한 실험적연구 정성채;허종수;문영봉;이종관;송천호;김경길
  21. 여수수전대논문집 v.14 키조개의 크기와 중량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최규정
  22. 여수수전대논문집 v.15 키조개의 형태학적 변이에 대하여 최규정
  23. 여수수전대논문집 v.5 키조개(Atrina pectinata)의 영양성분Ⅰ.- 무기질조직 - 최규정
  24. Bulletin of Saga Prefectural Ariake Fisheries Experimental Station v.13 Studies on Pen Shell Atrina sp. in Ariake Sea-Ⅴ. ; Experiment on Collecting Seeds of Pen Shell in Natural Water(2) Hideaki Koga;Keiichi Naka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