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k Analysis Indicators

검색결과 570건 처리시간 0.029초

과학기술분야 학술정보 유통사업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Academic Information Distribution Project in Scientific Technology Field)

  • 곽승진;김정택;박용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41-462
    • /
    • 2007
  • 세계 각국은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R&D 투자 확대 및 효율성 제고에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과학기술분야 학술정보 유통사업도 질적 제고 및 발전적 미래전략 도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 과학기술 분야 학술정보 유통기관인 A기관을 대상으로 BSC 기반 성과지표를 적용하여 사업성과를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중요도 및 성과에 대한 포트폴리오 분석을 실시하였다. BSC기반 성과지표의 평가항목은 정보자원관점, 정보서비스관점, 이용자관점, 경제적관점의 4개 관점에서 정보자원 품질, 정보서비스 품질, 이용자 만족도 및 학술정보의 경제적 유용가치 등 12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포트폴리오 분석에서는 성과지표별 포트폴리오 분석과 더불어 개별 성과지표의 구성요소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과평가 및 포트폴리오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A기관의 학술정보 유통사업에 대한 관점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무등산(無等山) 도립공원(道立公園) 시설물(施設物)의 관리상태(管理狀態) 평가(評價)와 개선방안(改善方案) (Evaluation of the Present Management Conditions for the Facilities in Moodeung-san Provincial Park)

  • 김상오;오광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590-60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규범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무등산 도립공원의 주요 시설물에 대한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평가기준을 토대로 공원의 현 시설물 관리상태를 평가하였으며, 여기에서 발견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데이터는 1996년 8월 중 무등산 도립공원에서 현지설문조사와 우편설문조사에 의하여 수집되었으며, 총 1,173명의 조사대상자 중 519명(44.2%)이 본 연구의 분석에 이용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선정된 5개 지표항목 중 '쓰레기통 충분여부'와 '등산로 안내시설 충분여부'를 제외한 3개 지표항목(화장실 충분여부, 화장실 청결상태,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하여 기다려야 하는 시간)에서 현 상황이 명가기준보다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안내시설 충분여부'에 대한 현 상황은 평가기준과 동일하였다.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지표항목에 대해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관리대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자료들이 공원 시설물관리를 위하여 어떻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인가를 소개하였다.

  • PDF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공원의 물리적 환경요소 평가 - 서울시를 대상으로 - (The Evaluation of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in Urban Parks for Healthy City - Focus on Seoul -)

  • 채진해;김원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9-40
    • /
    • 2020
  • 본 연구는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공원 평가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 요소를 해외사례와 선행연구를 통해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서울시에 조성된 근린공원을 지역적 분배를 고려하여 서대문독립공원, 홍릉근린공원, 고척근린공원, 신림근린공원, 청담근린공원, 개포근린공원, 숭인근린공원 7개이다. 평가 지표는 정량적 지표 (공원의 배후지역 환경, 공원 특성, 공원 시설물 3가지 분류에 따른 12가지 요소), 정성적 지표(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활동성, 어메니티 5가지 분류에 따른 14가지 요소)를 선정하였다. 지표 선정방법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선정하였으며, 물리적 환경 인식 요소의 평가방법은 전문가와 조사원이 현장관찰을 통해 3점 척도(상·중·하)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건강증진을 위한 지표는 운동시설이나 산책로 뿐 아니라, 휴식공간, 여가 및 문화시설, 접근성, 청결, 식수대 등 건강 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주요한 지표임을 알았다. 둘째, 정량적인 지표로는 요건을 갖추고 있다 할지라도 정성적인 평가에서는 실제 구현시키거나,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많아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물리적 환경요소에 대한 정성적 평가 결과 유형별, 공원별 점수차가 나타났는데,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시설, 체력단련시설 등 활동성보다는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과 같은 간접적 지표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COVID-19 등으로 공원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공원의 서비스 증진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기적으로 정량적·정성적 지표를 평가하여 공원의 서비스를 증진시키고, 직접적 요인 뿐 아니라 간접적·보안적인 지표들에 대한 서비스 고려가 필요하다.

토지의 경관유형분류와 이에 기초한 입지타당성 평가 (Classification of Landscape Type on Land and Evaluation of Site-suitability Based on It)

  • 나정화;구지나;이현택;조현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7-75
    • /
    • 2011
  •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 예정지로 계획되어 있는 경상북도 약목면 일대 약 14.0$km^2$를 대상으로 개발 이전에 어느 지역이 공원유형별 입지로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입지타당성평가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는 1차, 2차, 3차 설문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먼저 1차 설문분석은 문헌분석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선정된 23개 평가지표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는 단계이며, 2차 설문분석은 각 공원유형별 평가지표항목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3차 설문분석은 공원유형별 선정된 평가지표 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단계로서, 평가지표 항목의 중요도 평균을 기준으로 합이 10이 되도록 표준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차 평가 시, 각 지표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최종 평가에 활용하였다. 각 공원유형별 입지타당성 평가는 1차 평가와 2차 평가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1차 평가는 분류된 모든 경관유형을 대상으로 공원유형별 최소요구조건의 충족정도를 파악해 보는 단계로서, 최소요구조건은 중요성 분석결과, 중간등급 이상을 나타내는 평가지표들의 가치등급기준과 사례지 현장조사의 상대적 비교를 통하여 설정하였다. 2차 평가는 최소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유형만을 대상으로 부지평가를 실시하는 단계로서, 2차 평가지표항목들에 대한 가치등급은 모두 3등급으로 정량적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부여해서 공원유형별 평가지표항목들의 점수를 산술합산 하였다. 각 공원유형에 따른 산술합산 점수는 가장 높은 점수의 평균치에서 가장 낮은 점수의 평균치까지 균등 분할하여 최종 3등급으로 가치등급화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공원유형별 입지타당성 평가모델은 공간의 면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공간을 등급화 하였던 바, 차후에는 공간유형의 점, 선, 면적인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간체험 루트, 네트워크 연결 등에 대한 내용을 반영한 평가모델의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usiness Cycle and Occupational Accidents in Korea

  • Kim, Dong Koo;Park, Sunyou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3호
    • /
    • pp.314-321
    • /
    • 2020
  • Background: Occupational accidents occur for a variety of reasons, such as unsafe behaviors of workers and insufficient safety equipment at the workplace, but there are also various economic and social factors that can impact working conditions and working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economic factors and the occurrence of occupational accidents in Korea. Methods: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the analysis model. The general to specific method was also used, which consecutively remove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variables from a general model that includes dependent variables and lagged variables of dependent variables. Results: The frequency of occupational accident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economic indicators. The monthly number of cases of occupational injury and disease and fatal occupational injuries were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manufacturing capacity utilization,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index in the services sector, and commenc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 The increase in equipment investment indicators was found to reduce fatal occupational injur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to develop occupational accident trends or leading indicators, which in turn can be used by organizations that manage and monitor occupational accidents toward taking administrative action designed to reduce occupational accidents. The results also imply that short-term and mid- to long-term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at can impact workers, workplaces and working conditions, and workplace organizations must be taken into account if more effective government policies are to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oward further prevention of occupational accidents.

첫 1년간 혈액투석 환자의 식사 관련 생리적 지표 변화 분석 (Analysis of Physiological Indicators Related to Dietary Regimen during the First Year in Patients on Hemodialysis)

  • 정희진;구자선;김진동;박진선
    • 임상간호연구
    • /
    • 제23권1호
    • /
    • pp.91-99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ime and content of dieta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physiological indicators of hemodialysis patients during their first year and to present baseline data related to dietary education for patients on hemodialysis. Methods: For this retrospective study physiological indicators for 73 patients on hemodialysis were analyzed. Data included levels of potassium, phosphorus, albumin and the IDWG rate, and Kt/V during the first year after starting hemodialysis. Repeated-measure 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erum levels of phosphorus (p<.006), albumin (p<.001) and the IDWG rate (p<.001)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7 months from the start of hemodialysi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iod in which diet related educational intervention is necessary is before physiological changes, that is, after 6 months of dialysis. The contents for effective education should include phosphorus-limited and weight control dietary restrictions at 6 months.

산림복원 평가지표를 활용한 산림 훼손지 우선복원대상지 발굴 -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 (Identification of Priority Restoration Areas for Forest Damage Sites Using Forest Restoration Evaluation Indicators in Gangwon-Do)

  • 박윤선;송정은;박천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29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restoration priority of forest damage sites in Gangwon Province. We first identified the status of damaged areas. We then selected restoration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We then set weights for these indicators through expert surveys. We next acquired data that can represent these indicators and spatially mapped them. Finally, we prioritized the restoration target sites by taking the weigh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disaster sensitivity and ecologicality are important criteria for selecting the restoration priority of damage sites. The analysis showed that damage sites in Doam, Jeongseon, Samcheok and Inje are in urgent need of resto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elected the restoration priority of damage sites in Gangwon Province based on the restoration priority evaluation criteria selected based on expert surveys. However, the priority restoration area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not actually implementing restoration projects at presen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would be efficient in various aspects to establish the restoration priority area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techniques and carry out the project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restoration project. In this study,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priority of restoration of damage sites was derived based on data from the past due to the limitation of data acquisition. However, the fact that the priority restoration area inferred based on past data has been restored over time has im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by verifying the usefulness of the priority extraction technique. In the future, if the priority of damage sites is extracted by extracting the restoration target area boundary through the latest data based on the methodology applied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available as a result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경영성과지표(KPI)를 이용한 중소건설기업 경쟁력 실증분석 (The Empirical Analysis for Competitiveness of Small &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us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KPI))

  • 박홍조;지현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9-209
    • /
    • 2017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주로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된 건설기업의 KPI들이 실제로도 그 실효성이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중소건설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실증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소건설기업은 미래성장을 위한 투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를 보완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들에서 설문조사에 의한 문헌적인 방법을 통해 선정한 주요 KPI의 대부분이 실증적 자료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서도 실효성이 있는 성과평가지표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건설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과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문헌적으로 도출된 건설기업 경영성과지표의 실효성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를 수행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치주질환자의 스트레스와 피로가 치주건강 지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tress and fatigue on periodontal health indicators in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 조지영;정지혜;이소영;권현숙;박경록;엄상화;유병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5-231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factors of stress and fatigue on peridontal indicators in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Methods: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study was conducted during November 2012 to January 2013 with 140 periodontal patients. The Fatigue and Stress were evaluated with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MFS) and Psychosocial Well-bing Index(PWI). Periodontal health indicators were consisted with gingival index and pocket depth.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verall stress and fatigue level of subjects were $22.61{\pm}5.62$ and $64.67{\pm}9.45$. Gingival index and periodontal pocket depth as periodontal health indicators were $1.26{\pm}0.3$ and $4.29{\pm}0.52$. The influential factors of gingival index and periodontal pocket depth were social function(subcategory of pwi) and depression(subcategory of pwi), respectively. Conclusions: Some subcategories of PWI were related with periodontal health indicators. So, consideration of stress related with depression and social function are needed to manage and prevent periodontal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