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fication of Landscape Type on Land and Evaluation of Site-suitability Based on It

토지의 경관유형분류와 이에 기초한 입지타당성 평가

  • Ra, Jung-Hw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u, Ji-N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un-Tae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Hyun-J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7.20
  • Accepted : 2011.10.10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sites being considered for development of different types of parks in the vicinity of yangmock-myun kyoung buk, where a large project(as large as about14.0$km^2$) has been plan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ree surveys for selecting the assessment indicators were performed. ${\cdot}$ The first survey analyzed the importance of 23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based on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review and an on-the-spot research. ${\cdot}$ The second survey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for each park type. ${\cdot}$ The third survey computed additive values of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by the park types. It used a method of standardizing the average importance of indicators by making their sum equal to 10. These additive values were then multiplied by each grade of indicators to make a final evaluation. An evaluation of the site-suitability of park types was performed twice. The purpose of the first evaluation was to figure out how much each type met the minimum requirements targeted for all landscape types. The minimum requirements were derived by using a relative comparison between the standard of value rating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which was over the medium magnitude on the importance analysis, and the result of field research. A second evaluation estimated the targeted sites that met the minimum requirements. Value ratings of second assessment indicators were quantitatively divided as 1 to 3 grade and the evaluation scores were added, giving an additive value for each assessment indicator. The evaluation score on each park type was rated on a scale of 1 to 3 according to their averages, (from lowest to highest). Since this evaluation model of the site suitability on park types only focused on the 'face' of space in this study, additional analysis is necessary for setting the evaluation model and incorporating the overall impact of space, network connection and other factors, considering 'spot', 'line' and 'face' aspects of space.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 예정지로 계획되어 있는 경상북도 약목면 일대 약 14.0$km^2$를 대상으로 개발 이전에 어느 지역이 공원유형별 입지로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입지타당성평가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는 1차, 2차, 3차 설문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먼저 1차 설문분석은 문헌분석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선정된 23개 평가지표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는 단계이며, 2차 설문분석은 각 공원유형별 평가지표항목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3차 설문분석은 공원유형별 선정된 평가지표 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단계로서, 평가지표 항목의 중요도 평균을 기준으로 합이 10이 되도록 표준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차 평가 시, 각 지표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최종 평가에 활용하였다. 각 공원유형별 입지타당성 평가는 1차 평가와 2차 평가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1차 평가는 분류된 모든 경관유형을 대상으로 공원유형별 최소요구조건의 충족정도를 파악해 보는 단계로서, 최소요구조건은 중요성 분석결과, 중간등급 이상을 나타내는 평가지표들의 가치등급기준과 사례지 현장조사의 상대적 비교를 통하여 설정하였다. 2차 평가는 최소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유형만을 대상으로 부지평가를 실시하는 단계로서, 2차 평가지표항목들에 대한 가치등급은 모두 3등급으로 정량적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부여해서 공원유형별 평가지표항목들의 점수를 산술합산 하였다. 각 공원유형에 따른 산술합산 점수는 가장 높은 점수의 평균치에서 가장 낮은 점수의 평균치까지 균등 분할하여 최종 3등급으로 가치등급화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공원유형별 입지타당성 평가모델은 공간의 면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공간을 등급화 하였던 바, 차후에는 공간유형의 점, 선, 면적인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간체험 루트, 네트워크 연결 등에 대한 내용을 반영한 평가모델의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래, 허준, 노재현(1993) 녹지공간의 자연성과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4):26-37
  2. 김귀곤, 성현찬, 황기현(1994) 택지개발사업지구의 공원녹지계획 지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2(1):179-198
  3. 김재준, 유리화(2000) 도시림에 관한 서울시민 의식조사. 임업정보(108). 임업연구원:32-36
  4. 김학열, 안재성(2005) 격자형 토지적성평가방법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 GIS학회지 13(1):1-17
  5. 김희주(2003) 도시생태공간의 안정성 추구를 위한 경관조각 네트워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나정화, 이석철(2000)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자연체험 및 휴양의 관점에서-. 한국조경학회지 28(3):72-87.
  7. 나정화, 류연수(2002) 도시 비오톱의 자연체험 가치 평가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0(3):1-11
  8. 당진군(2008) 당진군 생태현황조사(비오톱지도 작성)연구용역. 당진군.
  9. 대구광역시(2002) 대구광역시 도시경관 기본계획. 대구광역시
  10. 류연수(2000) 도시비오톱의 평가지표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문화재관리국(1998) 천연기념물 백서. 문화재관리국.
  12. 박원규(2000) 지속가능한 주거단지 모형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30(5):39-54
  13. 배중남(1997) GIS와 MESH법에 의한 경관단위 구분 및 가시권 분석 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1(3):326-333.
  14. 서울특별시(2000)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 서울특별시.
  15. 성남시(2004) 비오톱 등급평가 및 도시생태현황도 GIS구축 성남시.
  16. 안동시(2004) 낙동강 70리 생태공원조성 기본계획. 안동시.
  17. 연평식, 신원섭(2001) 국립공원과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방문동기: 속 리산 국립공원, 월악산 국립공원, 장용산 자연휴양림, 조령산 자연휴양 림을 중심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5(3):59-66.
  18. 이현택(1996) 고속도로 사면고속도로 사면의 수경처리에 관한 연구의 수경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2):2001-2012
  19. 전경수, 김세천, 송현섭, 조용복(1996) 자연휴양림의 이용특성 및 방문 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2):43-51.
  20. 전경수, 최용훈(2000) 휴양공간으로서 우리나라 산림의 특성.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25(0):81-87
  21. 정소영(2007) 금원산 자연휴양림 내 휴양시설별 적지 선정 지표. 진주 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조창우(2003) 택지개발 사업지구 내 근린공원의 입지유형별 개발실태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주신하(2008) 현대 대표 도시공원에 대한 평가: 만족도 및 경관이미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4):36-47.
  24. 최장호(2000) 여가개념에 대한 뉴 패러다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0(0): 513-521
  25. 한국도시설계학회(2008) 지구단위계획의 실제. 서울: 기문당.
  26. 한국조경학회(2000) 조경계획론. 서울: 문운당.
  27. 한국토지공사(2004) 대구 신서 택지개발 예정지구 지정을 위한 사전환 경성 검토서. 한국토지공사.
  28. Forman, R. T. T.(2000) Estimate of the area affected ecologically by the road system in the United. Conservation Biology 14: 31-35. https://doi.org/10.1046/j.1523-1739.2000.99299.x
  29. Bauer. G. ,K. Gerresheim and U. Kisker(1976) Landschftsrahmenplan Erholungspark Ville. Beitraege zur Landesentwicklung 35: 149-173.
  30. Corlett, E. N., C. Hutcheson, M .A. Delugan and J. Rogozenski(1972) "Ramps or stair-the choice using psysiological and biomechanics criteria".Applied Ergonomics 3: 195-2011. https://doi.org/10.1016/0003-6870(72)90100-7
  31. Finke,L.(1976) Zuordnung und Mischung von bebauten und begruenten Flaechen. BMB au Band 03.044. BonnBad Godesberg: pp.41-69.
  32. Garbrecht, D. und U. Matthes(1980) Entscheidungshilfen fuer die Freiraumplanung. ILSB and 2.026. Dortmund: pp. 307-312.
  33. Gobster, P. H. and L. M. Westphal(2004) The human dimensions of urban greenways: Planning forrecreation and related experienc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8(2): 147-165. https://doi.org/10.1016/S0169-2046(03)00162-2
  34. Goossen, M. and F. Langers(2000) Assessing quality of ruralareasin the Netherlands: Finding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for recreationm.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6(4): 241-251. https://doi.org/10.1016/S0169-2046(99)00058-4
  35. Jim, C. Y. and W. Y. Chen(2006) Recreation-amenity use and contingent valuation of urban greenspaces in Guang- zhou,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5(1): 81-96.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4.08.008
  36. Kiemstedt, H.(1975) Landschaftsbewertung fuer Erholung im Sauerland. Dortmund.pp. 40-72.
  37. Kiemstedt. H., A. Bechmann, G. Heitmann and E. Meyer(1975) Landschaftsbewertung fuer Erholung im sauerland. ILS Band 1,008/1. Dortmund: pp.39-89
  38. Kuehl, R. O.(2000) Design of Experiment: Statistical Principles of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Canada: Duxbury Thomson Learning.
  39. Marks, R., J. Manfred, H. Leser and H. J. Klink(1989) Anleitung zur Bewertung des Leistungsvermoegens des Landschaftshaushaltes. FEL Band 229. Trier. pp.129-135.
  40. Sukopp, H.(1969) Der Einfluss des Menschen auf die Vegetation. Vegetation 17: 363-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