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senecio firmu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9초

P-V 곡선을 통한 누룩치, 고려엉경퀴, 병풍쌈의 내건성 평가 (Evaluation of Drought Tolerance of Pleurospermum camtschaticum, Cirsium setidens and Parasenecio firmus Obtained from Pressure-Volume Curves)

  • 이경철;한상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6-41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proper cultivation site and diagnose the drought tolerance of Pleurospermum camtschaticum, Cirsium setidens and Parasenecio firmus leaves by using pressure-volume curves. The result of ${\Psi}_o^{sat}$ and ${\Psi}_o^{tlp}$ were lower in Pleurospermum camtschaticum leaves. On the other hand, it appeared that $E_{max}$ of Pleurospermum camtschaticum was approximately six times higher than that of Parasenecio firmus. The values of $RWC^{tlp}$ is all above 88% showing that the function of osmoregulation is somewhat better, and Vo/DW, Vt/DW, Ns/DW of Pleurospermum camtschaticum leaves were approximately 2~4 times Lower than other ones. Thus, responses to water relations of Pleurospermum camtschaticum, Cirsium setidens and Parasenecio firmus such as ${\Psi}_o^{sat}$, ${\Psi}_o^{tlp}$, $E_{max}$, ${\Psi}_{P,max}$, $RWC^{tlp}$ were shown that the Pleurospermum camtschaticum leave was higher drought tolerance than Cirsium setidens and Parasenecio firmus leaves.

한국과 중국에서의 병풍쌈(Parasenecio firmus (Kom.) Y.L.Chen) 개체군 분포지의 생태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asenecio firmus Population in Korea and China)

  • 김영화;안영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7-207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native Parasenecio firmus population in Korea and China. The survey quadrates we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tive P. firmus habitats. According to the field survey, the habitats of P. firmus were classified into same Tilia amurensis community in tree layer. The investigation of native habitat in Korea shows that P. firmus inhabited deciduous forest from with T. amurensis, Acer pictum subsp. mono, Carpinus cordat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which was similar to vegetation structure of Mt. Laoling in China.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which uses SYN-TAX 2000 program, dissimilarity from 53% level was on a large scale divided at 2 units. The research revealed 96 taxa in total, in which 51 families, 81 genera, 21 varieties, 5 forma, 1 sub-species and 67 species were checked in the flora of the native P. firmus habitats.

임간재배지에서 상대광도에 따른 병풍쌈의 생장 및 엽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Leaf Characteristics of Parasenecio firmus by Different Relative Light Intensity in Forest Farming)

  • 송기선;전권석;윤준혁;김창환;박용배;김종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5-300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duce more Parasenecio firmus in forest farming.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t was surveyed the growth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P. firmus. Relatively light intensity was controlled by 100%, 60%, 30% and 5% of full sunlight. Height was the highest under 5% of full sunlight. Shoot diameter was the highest in full sunlight. Fresh weight (leaf, stem, root and total) and dry weight (leaf, root and total) were the highest under 30% of full sunlight. S (leaf+stem)/R (root) ratio was the lowest under 30% of full sunlight and the highest under 5% of full sunlight. In leaf characteristics, leaf area, SLA and LAR were getting higher in the lower light level and the highest under 5% of full sunlight ($176.1cm^2$, $420.5cm^2{\cdot}g^{-1}$ and $123.5cm^2{\cdot}g^{-1}$). Especially, leaf area was surveyed higher under 30% of full sunlight in the next. Leaf thickness was getting lower in the lower light level and the lowest under 5% of full sunlight (overall 0.14~0.24 mm).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whole experiment, P. firmus grows well under 30% and 5% of full sunlight in forest farming.

차광처리에 따른 병풍쌈의 용기 내 발아 및 초기생장 특성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Parasenecio firmus in Container by Shading Treatment)

  • 송기선;전권석;김창환;윤준혁;박용배;김종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47-555
    • /
    • 2014
  • 본 연구는 병풍쌈을 대상으로 종자의 전처리(상온건조, 저온건조, 수침처리를 각각 48시간 동안 실시)에 따른 차광처리별 발아특성과 유묘의 생장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전처리된 종자를 용기에 파종하여 차광시설(전광 및 35%, 50%, 75%, 95% 차광)에 각각 배치하여 진행하였다. 종자의 발아율은 25.7~61.1%의 범위로 조사되었으며 전광 내 수침처리구에서 61.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풍쌈 유묘의 초장생장은 95% 차광에서, 근원직경은 전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엽생장(엽면적, 엽장, 엽폭, 엽두께)과 뿌리생장(전체뿌리길이, 뿌리투영단면적, 뿌리표면적, 평균뿌리직경, 뿌리부피)은 전반적으로 35%~75% 차광에서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95% 차광에서는 가장 저조한 생장을 보였다. 또한, 부위별(잎, 줄기, 뿌리) 및 전체 생중랑은 모두 50% 차광에서, 지상부(잎, 줄기)와 전체 건중량은 75% 차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95% 차광에서는 모든 부위에서 가장 저조한 생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병풍쌈의 종자는 수침처리하여 높은 광도에서 발아시킨 후 어느 정도의 차광처리(50%~75% 차광)를 하는 것이 용기 유묘생산에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차광처리에 따른 병풍쌈의 생리반응 및 생장특성 (Physiological Response and Growth Performance of Parasenecio firmu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 이경철;이학봉;박완근;한상섭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9-89
    • /
    • 2012
  • 본 연구는 광환경 변화에 따른 병풍쌈의 엽록소 함량, 광합성 특성, 엽록소형광반응 그리고 생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병풍쌈을 무처리구(full sunlight)와 3개의 서로 다른 피음조건(88~93%, 65~75% and 45%~55% of full sunlight)에서 생육시켰다. 병풍쌈은 피음수준이 증가할수록 총 엽록소 함량, 광화학반응효율, T/R율, SLA, LAR, LWR은 증가하고 암호흡은 감소하여, 낮은 광조건에서 빛의 흡수량과 광합성에 대한 이용효율을 높이는 반응을 나타냈다. 5월의 중피음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최대광합성속도와 순양자수율을 나타냈으며, 피음처리구보다 전광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최대광합성속도, 광화학반응효율, 엽록소 함량을 나타냈다. 위의 결과에 따라 병풍쌈은 음지식물로 강한 광에 대한 민감성이 매우 높고, 광을 제한하여도 강피음 상태를 지속하게 되면 광합성 능력이 크게 감소될 수 있으며, 건전한 생육을 위해서는 노천광의 65~75%를 차단시킨 광환경 조건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산 박쥐나물속(국화과)의 외부형태와 체세포 염색체수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Parasenecio (Compositae) of Korea by the Morphology and Somatic Chromosome Numbers)

  • 남기흠;박명순;정형진;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23-330
    • /
    • 2006
  • 한국산 박쥐나물속(Parasenecio)의 외부형태학적 형질 및 체세포 염색재수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외부형태학적 형질인 초장, 경생엽수, 잎의 모양, 엽병 형태, 총포편수, 소화 수, 암술대의 털 존재 유무, 소화의 가는 통부와 법은 통부의 비, 열매의 크기 등이 종을 식별하는 형질로 가치를 지니고 있었으며, 이러한 형질을 기초로 할 때,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a var. auriculata), 나래 박쥐나물(P. auriculata var. kamtschatica), 민박쥐나물(P. hastata subsp. orientalis), 참나래박쥐(P. koraiensis), 병풍쌈(P. firmus), 어리병풍(P. pseudotaimingasa)의 6분류 군에 대한 국내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게박쥐나물(P. adenastylodes)과 박쥐나물(P. auriculata var. matsumurana)의 분류학적 위치 및 국내 분포 여부에 대하여 추후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게박쥐나물과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 병풍함과 어리평풍의 체세포 염색제수는 모두 2n=60이었으며, 이중 게박쥐나물과 귀박쥐나물, 나래박쥐나물, 민박쥐나물은 일본산과 중국산의 염색계수와 일치하였으며, 병풍쌈과 어리병풍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병풍쌈의 종자 및 임분별 생장 특성 (Seed Characteristics of Parasenecio firmus Kom. and Its Growth Comparison among Forest Stands)

  • 박완근;김영설;이학봉;김유신;김남준;김남영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6권3호
    • /
    • pp.219-223
    • /
    • 2010
  •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wild vegetation are sort of improving fitness. Many peoples are now ingesting them instead of the vegetables that are grown in green house. In this regard, Parasenecio firmus,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are species in Korea, has been given a lot of attentions as edible green plants recently. Hence it may be necessary to provide the information people who want to commercially cultivate the plants. Regarding appropriate forest stands that are fit for the cultivation. Firstly, we collected the seeds from 4 natural habitats to find out how many seeds are fully matured in the natural conditions. The quality of the seeds collected were found to be very low. However, it appeared as clear differences when screened seeds were grown in covered seed beds over winter. In this case the germination rate of the seeds was 95%, indicating that there may be no difficulty for mass production of plantlets. Secondly, in the field of planting test in an appropriate cultivating site among 6 of forest stands, those in Pinus koraiensis stand were the highest in survival rate, but somewhat low with those in Quercus mongolica and broad-leaved stands. Thus, it was demonstrated that forest stands dominated with conifer like P. koraiensis are more appropriate for the cultivation of P. firums.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을 위한 일월산(경북 영양)의 관속식물상과 유형별 특성 (Vascular Plants and Characteristics by Type in Mt. Ilwolsan(Yeongyang, Gyeongbuk) for Designating a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 오현경;손병율;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6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Korean ecosystem by surveying the presen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flora to select the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Ilwolsan(Mt.), Korea. The numbers of flora in Mt. Ilwol were summarized as 582 taxa including 94 families, 307 genera, 508 species, 4 subspecies, 61 varieties and 9 formas. The rare plants were 15 taxa including Clematis koreana, Aristolochia contorta,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Iris odaesanensis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4 taxa including Pseudostellaria coreana, Philadelphus schrenckii, Galium koreanum, Weigela subsessilis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29 taxa including Cimicifuga heracleifolia, Parasenecio firmus,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Acer mandshuricum,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2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Rumex nipponicus, Trifolium repens, Sonchus asper, Phleum pratense and so forth. A set of important area is rare plant, Korean endemic plant, specific plant emerge a lot of areas.

임간재배 시 병풍쌈 유묘의 차광처리별 생장 및 생리 반응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Cacalia firma Seedlings by Shading Conditions in Forest Farming)

  • 윤준혁;전권석;송기선;박용배;문용선;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65-71
    • /
    • 2014
  • 병풍쌈(Cacalia firma)은 병풍취라고도 하며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되어있다. 웰빙 삶을 위한 생활식습관의 변화에 따라 기능성 식품과 유기농 채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병풍쌈 임간재배를 위한 적정 광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1년생 병풍쌈에 대해 차광망을 이용하여 4가지 광조건 25%, 55%, 75%와 95% 차광처리(전광의 50%, 30%, 20%, 10% 상대광도)와 대조구(전광)에서 생육 후 초기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조사 분석하였다. 75% 차광처리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초장, 뿌리생육과 함수율을 보였으나, 잎의 길이, 폭과 면적이 증가하여 엽 건중량과 총 건중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95% 차광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근원경과 뿌리길이는 감소하였으며 총 건중량도 감소하였으나, 초장이 약 40% 증가 하였으며 엽 생육과 함수량 또한 증가하였다. 엽면적비(specific leaf area; SLA)와 엽면적률(leaf area ratio; LAR)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며 대조구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 잎의 두께가 얇고 수광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병풍쌈은 낮은 광조건에서도 원활한 탄소동화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병풍쌈의 임간재배를 통한 적정 광요구는 차광처리 75~95%(상대광도 10~20%)로 조사되었으며, 산채류로써의 상품성을 고려할 때 임간지역에서 75% 이상 차광재배 함으로써 식감과 생산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결과는 병풍쌈의 임간재배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