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el logit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4초

An Analysis of Response Pattern and Panel Attrition in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 Nam, Ki-Seong;Chun, Young-Min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6호
    • /
    • pp.933-945
    • /
    • 2012
  • In this paper we used the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tudy) data that surveyed from 2006(wave 9) to 2009(wave 12). Other previous studies are concerned with the panel attrition in the early wave, but this study classifies the response pattern and investigates some factors that influence panel attrition when the panel tends to stabilize. It was revealed that panel attrition was influenced by relocation and housing type through the logit model. Besides it was appeared that panel attrition was affected by the monthly living expenses and the overall household income through the decision tree.

우리나라의 건강수요 및 의료수요에 대한 분석: Grossman Model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Health and the Medical Demand in Korea: Using the Grossman Model)

  • 황용하;사공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2-341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s health behavior on the health and the medical demand for the management of health and medical expenses. Methods: This study uses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data from 2010 to 2015. We utilize the panel ordered logit model and the panel Tobit model with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medical expenses as the dependent variables. Results: Chronic diseases would cause the deterioration of his or her health and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would deteriorate one's health. The total amount of cigarettes increases medical expenses. Exercises could make people healthier, whereas excessive exercise might increase medical expenses. Private health insurance would increase medical expenses. Conclusion: Since health could reduce the medical expenses, people should promote one's health by changing one's behavior for health.

Analysing Korean Residential House Tenure Choice by Mixed Logit Panel Model

  • Jeong, Ki-Ho;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9권2호
    • /
    • pp.559-568
    • /
    • 2008
  • This paper analyzes Korean residential tenure choice for hous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 Korean households' assets. Data used in the analysis is the data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for the period from 1998 to 2006 and with 2341 households. In this paper, a household chooses a housing tenure mode, either by renting or by owing house. We use a mixed-logit panel model as an estimation model to take into consideration household's heteroscedasticity of preference in tenure choice. It turns out that the heteroscedasticity is significant in households' tenure choice behavior, implying that Korean housing policy emphasizing supply side should consider the demand side.

  • PDF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에서 패널탈락분석 (An Analysis of Panel Attrition in GOMS(Graduates Occupational Survey))

  • 천영민;윤정혜;오민홍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5호
    • /
    • pp.981-993
    • /
    • 2009
  • 패널조사에서 패널탈락이 특정계층에 집중되어 있다면, 초기에 구축된 샘플의 변화에 따라 패널자료의 대표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를 이용하여 신뢰성과 대표성을 저해하는 표본 탈락편의(non-random attrition bias)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패널탈락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패널탈락을 최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패널탈락은 응답자의 문제보다 조사시스템의 문제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가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조사시스템의 구축 및 응답자관리방법 개발뿐만 아니라 패널탈락의 편의를 보완하기 위한 가중치 부여 등 다양한 개선책의 도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노년기 은퇴자의 은퇴 전후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 (Social Network Changes of pre- and post- Retirement)

  • 박현춘;홍진혁;최민재;권영대;김진석;노진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753-763
    • /
    • 2014
  • 은퇴 후 사회적 관계망은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사회적 관계망은 개인을 중심으로 여러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것으로 구조적/기능적 특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특징에 의해 체계적으로 은퇴 후 사회적 관계망의 변화와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2008년도, 2010년도, 2012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45세 이상의 은퇴자 1,569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추출하였다. STATA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은퇴자의 개인적 특성과 은퇴여부가 사회적관계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Panel logit model과 fixed effects regression model방식을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은퇴 여부와 사회적 관계망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Multiple panel logit model과 fixed effects model의 within추정 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적 특성에서는 친한 사람 접촉빈도와 사회활동 참여 정도가 더 줄어들었다. 기능적 특성인 자녀로부터의 지원 유무는 은퇴자가 비은퇴자에 비해 지원이 더 적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은퇴 이후 사회적 관계망을 변화를 확인 하였으며 은퇴 후 노년기의 삶의 시작과 맞물린 현실에서 사회적 관계망이 축소되는 은퇴자들을 위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시사한다.

매체환경과 청소년 사이버비행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성인매체몰입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edia Environment and Adolescent Cyber-Delinquency : Focused on X-rated Media Commitment)

  • 이창문;문진영;박주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365-379
    • /
    • 2019
  • 본 연구는 사이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검토된 일반긴장 이론, 비행기회 이론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한 이후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한 패널 4차 자료와 7차 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이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사이버 비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종단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STAT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이버 비행을 저지르는 결정요인을 패널 로짓분석을 통해 살펴본 다음 이후 패널 토빗확률효과 모형을 통하여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횟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 비행횟수와 관련해서는 성인매체몰입, 컴퓨터 사용시간, 휴대폰 의존 정도는 사이버 비행횟수를 증가시켰으며, 연령증가, 부모의 양육태도 중 관심적 감독은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 행위 선택에 대한 패널 로짓 분석: 2006~2015년 한국 복지 패널 자료를 중심으로 (A Panel Logit Analysis Research on the Choice of Donate Behavior: Using 2006~2015 Data of Korea Welfare Panel)

  • 황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8-26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들과 기부 행위 사이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복지 패널의 10년 분 자료를 이용하여 패널 로짓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분석은 가구 수 기준 134,500개의 자료가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변인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기부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223$, p<.05). 그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정기적으로 기부나 자원봉사를 하는 행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009$, p<.001). 둘째, 근로형태에서, 임금근로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자영업자나 비경제활동인구에 비해 기부행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578$, p<.001). 셋째, 자아존중감(${\beta}=1.673$, p<.001)과 삶의 만족도(${\beta}=1.01$, p<.001)는 기부 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학력(${\beta}=.211$, p<.001)이 기부 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학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 변수들의 정밀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둘째, 본 연구가 2차 자료를 활용하면서, 다루고자 하는 변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이들 변수들을 대리하여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충분히 고민하고 검토해야 할 것이다.

남성 중고령 근로자의 직무요구도와 건강행동의 종단적 관계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job demands and health behaviors of middle-aged and older male workers)

  • 정윤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3-21
    • /
    • 2016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job demands and problem drinking, smoking, and practice of regular exercise among middle-aged and older male employees. Methods: Analyses were based on 239 employees aged 50+ and participated the 1st(2006) and the 4th(2012)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Panel logit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plore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and cognitive job demands and the health behaviors when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 job conditions were controlled. Results: Results suggested that first, workers who reported greater cognitive job demands were less likely to engage in problem drinking over the 6-year-period. Second, increased physical demands of the job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odds of smoking, while physical demands predicted a reduced likelihood of practicing regular exercise. Conclusions: Results from the present analyses emphasize job demands could lead workers to problem health behaviors and suggest areas for health promotion efforts at the workplace that are sensitive to the needs of aging workers.

최저임금이 근로빈곤 탈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Minimum Wage On Working Poor's Poverty-Exit Possibility)

  • 이시균
    • 산업노동연구
    • /
    • 제19권1호
    • /
    • pp.35-64
    • /
    • 2013
  • 본 논문은 최저임금 상승의 근로빈곤 완화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근로빈곤지위에서 근로비빈곤으로 이행하는지, 혹은 실업 및 비경활상태로 이행하는지를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미관찰 이질적 특성을 통제한 다수준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최저임금 상승은 근로빈곤에서 근로비빈곤의 이행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저임금 상승과 고용지위 유지와는 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최저임금의 상승은 근로빈곤의 상태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육수준과 비근로소득이 고령자 취업에 미치는 영향: 내생성을 고려한 패널로짓 모형 추정 (The Impacts of Education and Non-Labor Income on Employment Among the Elderly: An Estimation with a Panel Logit Model to Address the Problem of Endogenous Predictors)

  • 김철주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1호
    • /
    • pp.95-123
    • /
    • 2016
  •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고령자의 취업 행동에 대한 객관적 분석은 효과적인 고령자 고용정책의 설계와 안정적인 노후소득보장 체제 개편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선결과제가 되었다. 고령자의 취업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한 선행연구들은 교육수준이나 비근로소득이 취업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함에 있어 고령자 개인의 비관측 이질성과 독립변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하지 못했으며, 따라서 그렇게 추정된 이들 두 변수의 회귀계수는 일치추정량으로 간주될 수 없다. 이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4차웨이브 자료를 이용하여 패널로짓 모형을 추정함으로써 교육수준과 비근로소득의 효과에 대한 일치 추정량을 구하고자 했다. 그 결과, 비관측 이질성이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한 후에도 교육수준과 비근로소득은 고령자 취업에 유의미한 음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재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과거 어느 세대보다 학력이 높고 연금 등 비근로 소득이 높은 세대집단인 베이비부머들이 노동시장을 떠날 시점이 되면, 다른 조건이 동일할 경우 이들의 취업 유인은 그 이전세대의 그것보다 훨씬 더 약할 것이며 따라서 전례 없는 노동시장 인력부족과 연금재정 고갈이 초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에 대비하기 위한 정책 방향으로 저학력 저소득 고령자와 고학력 고소득 고령자 각각을 대상으로 하는 취업지원 정책의 개편 방안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