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F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4초

재구성 방법(점 확산함수 적용 유무)에 따른 PET/MR 영상 평가 (Comparison of PET/MR image quality with and without point spread function algorithm according to reconstruction type)

  • 박찬록;문일상;노경운
    • 핵의학기술
    • /
    • 제22권1호
    • /
    • pp.43-45
    • /
    • 2018
  • NEMA IEC body phantom으로 PET/MR 스캐너를 이용해 MR 영상 기반의 감쇠보정 된 PET 영상을 얻고, 반복재구성 기반의 점 확산 함수(PSF)에 적용 유무에 따라 PET 영상을 Contrast recovery 와 SNR 의 평가 인자를 적용해 평가하였다. 또한, 동일한 재구성 방법에 따라 본원의 내원한 환자의 영상도 평가하였다. 데이터는 임상환자 와 팬텀 실험 모두 PSF를 적용해 재구성한 영상이 모두 영상의 질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MR 기반으로 얻어진 PET 영상 평가가 추후에도 계속해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Effect of Bed Soil with Polypropylene Spunbonded Fabrics on Rice Seedling Production

  • Lee, Sang-Chul;Lee, Ji-Ean;Shon, Tae-Kwon;Jeong, Ki-Po;Daniel Acquah;Kim, Sang-K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9-95
    • /
    • 2003
  • The study of this experiment is focused on labor saving of healthy rice seedling production using PSF (polypropylene spunbonded fabrics) as thermal protection material. Several factors such as different compositions of nursery soil and PSF materials were tested to produce healthy rice seedlings. The inner thermal protection material in PE film (polyethylene film) showed $0.9-1.7^{\circ}C$ higher than that of PSF 40-100 $\textrm{gm}^{-2}$. The light transmittance-ratio also showed similar trends. It is considered that the appropriate PSF material density was 40 gm$\textrm{gm}^{-2}$ in accordance with economic values and healthy rice seedlings. Plant height and dry weight according to various nursery soil showed the rang-es of 8.5-14.2cm and 5.5-10.0mg, respectively. In composition of nursery soil, artificial soil combined with paddy soil was effective in producing healthy seedling for rice seedling production. The total sugar content also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PSF 40, 60 $\textrm{gm}^{-2}$ PE film (0.43-0.52mg FW $\textrm{g}^{-1}$) and PSF 80, 100 $\textrm{gm}^{-2}$ (0.28-0.35mg FW $\textrm{g}^{-1}$) and it showed the same tendency among varieties as well as various nursery soi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SF 40 $\textrm{gm}^{-2}$ economically affordable, and can be recommended as thermal protection material for producing good healthy rice seedling.

BETTER ASTROMETRIC DE-BLENDING OF GRAVITATIONAL MICROLENSING EVENTS BY USING THE DIFFERENCE IMAGE ANALYSIS METHOD

  • HAN CHEONGHO
    • 천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9-95
    • /
    • 2000
  • As an efficient method to detect blending of general gravitational microlensing events, it is proposed to measure the shift of source star image centroid caused by microlensing. The conventional method to detect blending by this method is measu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source star image point spread function measured on the images taken before and during the event (the PSF centroid shift, ${\delta}{\theta}$c,PSF).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roid positions measured on the reference and the subtracted images obtained by using the difference image analysis method (DIA centroid shift, ${\delta}{\theta}$c.DIA), and evaluate its relative usefulness in detecting blending over the conventional method based on ${\delta}{\theta}$c,PSF measurements. From this investigation, we find that the DIA centroid shift of an event is always larger than the PSF centroid shift. We also find that while ${\delta}{\theta}$c,PSF becomes smaller as the event amplification decreases, ${\delta}{\theta}$c.DIA remains constant regardless of the amplification. In addition, while ${\delta}{\theta}$c,DIA linearly increases with the increasing value of the blended light fraction, ${\delta}{\theta}$c,PSF peaks at a certain value of the blended light fraction and then eventually decreases as the fraction further increases. Therefore, measurements of ${\delta}{\theta}$c,DIA instead of ${\delta}{\theta}$c,PSF will be an even more efficient method to detect the blending effect of especially of highly blended events, for which the uncertainties in the determined time scales are high, as well as of low amplification events, for which the current method is highly inefficient.

  • PDF

Multi-bore PSf 중공사막의 내화학성 및 세척 효율 특성평가 (Evaluation of Chemical Resistance and Cleaning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Multi bore PSf Hollow Fiber Membrane)

  • 임광섭;김태한;장재영;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30권2호
    • /
    • pp.138-148
    • /
    • 2020
  • 본 연구는 (주)퓨어엔비텍에서 제조한 multi-bore 형태의 중공사 막을 이용하여 오염된 원수의 투과 후 오염된 막의 재사용을 위해 화학적 세정효율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제조된 중공사 막의 재료는 내화학성이 좋은 PSf(polysulfone) 소재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소혈청 알부민(BSA)을 이용한 내오염성 평가 및 염기성 용액인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산성 용액인 구연산(citric acid)을 이용해 장기 함침하여 내화학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간에 따른 수투과도와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와 성능의 감소에 대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후 소혈청 알부민으로 오염된 막의 화학적 용액에 따른 역세척 후 회복효율을 파악하였다. PSf 중공사 막은 뛰어난 내화학성을 가졌으며 화학적세척결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효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흉부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에서 블라인드 디컨볼루션 알고리즘 최적화 방법에 대한 연구 (Analysis on Optimal Approach of Blind Deconvolution Algorithm in Chest CT Imaging)

  • 이영준;민정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2호
    • /
    • pp.145-150
    • /
    • 2022
  •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was to restore the blurry chest CT images by applying a blind deconvolution algorithm. In general, image restoration is the procedure of improving the degraded image to get the true or original image. In this regard, we focused on a blind deblurring approach with chest CT imaging by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in MATLAB, which the blind deconvolution technique performed without any whole knowledge or information as to the fundamental point spread function (PSF). For our approach, we acquired 30 chest CT images from the public source and applied three type's PSFs for finding the true image and the original PSF. The observed image might be convolved with an isotropic gaussian PSF or motion blurring PSF and the original image. The PSFs are assumed as a black box, hence restoring the image is called blind deconvolution. For the 30 iteration times, we analyzed diverse sizes of the PSF and tried to approximate the true PSF and the original image. For improving the ringing effect, we employed the weighted function by using the sobel filter. The results was compared with the three criteria including mean squared error (MSE), root mean squared error (RMSE) and 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which all values of the optimal-sized image outperformed those that the other reconstructed two-sized images. Therefore, we improved the blurring chest CT image by using the blind deconvolutin algorithm for optimal approach.

PET/CT 장비와 영상 재구성 차이에 따른 EQ PET을 이용한 표준섭취계수의 평가 (Evaluation of Standardized Uptake Value applying EQ PET across different PET/CT scanners and reconstruction)

  • 윤석환;김병진;문일상;이홍재
    • 핵의학기술
    • /
    • 제22권1호
    • /
    • pp.35-42
    • /
    • 2018
  •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에서 정량적 평가에 통상적으로 쓰이는 표준섭취계수(SUV : Standardized Uptake Value)는 종양의 병소와 병기의 진단 그리고 치료 성적 평가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유용한 지표이다. 하지만 SUV는 환자의 체격, 검사까지의 시간, 부분용적 효과, 관심영역의 설정, 검사장비, 영상재구성 차이 등에 따라 변화 되므로 다양한 인자의 영향을 고려하여야만 한다. 그 중에서도 PET/CT 장비와 영상의 재구성 방법의 차이에 의한 SUV의 차이를 SIEMENS 사의 EQ PET을 이용하여 방사능의 차이를 보정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phantom 실험과 FDG PET 임상영상의 SUVmax를 비교 하여 EQ PET을 적용함으로써, SUV의 변화를 평가 하고 EQ PET의 유용성에 대해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원의 3대의 PET/CT 장비인 Biograph true point 40, Biograph mCT 40, Biograph mCT 64 장비를 이용하여 $^{18}F-FDG$를 주입 한 NEMA IEC body phantom 영상을 획득 한 후 OSEM3D+PSF, OSEM3D+TOF, OSEM3D+PSF+TOF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 하였다. 각각 재구성된 영상에서 관심영역의 방사능 농도를 측정한 후, EARL에서 권고하는 NEMA IEC body phantom의 방사능 농도의 회복계수 값을 비교하여 서로 다른 PET system 간에 방사능 농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EQ filter 값을 산출 하였다. 산출한 EQ Filter 값을 장비와 영상 재구성에 따라 적용하여 팬텀의 회복계수와 61명의 폐암환자의 FDG PET 영상에서 종양의 SUVmax를 비교 분석 하였다. 3대의 PET/CT 장비에서 영상의 재구성 알고리즘을 달리하여 획득한 phantom의 영상의 6개구의 평균 변동계수는 EQ PET 적용 전 후의 값은 OSEM3D 재구성 영상에서 각각 0.05, 0.04 OSEM3D+TOF 재구성 영상에서는 각각 0.04, 0.03, OSEM3D+PSF 재구성 영상에서는 각각 0.04, 0.03, OSEM3D+PSF+TOF 재구성 영상에서는 각각 0.03, 0.02 값을 보여 EQ PET 적용 후 팬텀의 6개 구의 평균 변동계수는 감소하였다. 임상 영상 비교 에서는 폐암환자 종양의 SUVmax는 OSEM3D, OSEM3D+TOF, OSEM3D+PSF, OSEM3D+PSF+TOF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EQ PET 적용 후 재구성 영상에 대한 SUVmax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1.000). PET/CT 영상에서 서로 다른 PET/CT 장비와 영상의 재구성 방법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방사능 농도의 차이를 EQ PET을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서 장비와 영상 재구성별 방사능 농도의 편차가 감소되었다. PET 영상에서 정량적 평가에 이용되는 SUV의 편차를 줄일 수 있어 종양의 병소와 병기의 진단, 그리고 치료 성적평가의 정량적 평가 신뢰도가 향상 될 것으로 사료된다.

DMIDR 장치의 재구성 알고리즘 별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Reconstruction Algorithms for DMIDR)

  • 곽인석;이혁;문승철
    • 핵의학기술
    • /
    • 제23권2호
    • /
    • pp.29-37
    • /
    • 2019
  • DMIDR (General Electric Healthcare, USA)은 GE 사(社)의 최신 장비로써 PSF (Point Spread Function reconstruction), TOF(Time of Flight)와 Q.Clear의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Q.Clear는 보정 알고리즘으로써 복셀(voxel)단위 신호 잡음 제거로 기존 OSEM (Ordered Subset Expectation Maximization)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구성 및 보정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통해 정확한 SUV를 구현하며, 병변 검출 능력에 도움이 되는 알고리즘의 조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H/B(Hot & Background) Ratio 2:1, 4:1, 8:1의 비율로 NEMA/IEC 2008 PET phantom을 제작하였다. DMIDR의 NEMA test protocol을 이용하여 영상 획득을 하였다. 재구성 조합은 (1) VPFX(VUE point FX(TOF)), (2) VPHD-S(VUE point HD+PSF), (3) VPFX-S(TOF+PSF), (4) QCHD-S-400(VUE point HD+Q.Clear(${\beta}-strength$ 400)+PSF), (5) QCFX-S-400(TOF+Q.Clear(${\beta}-strength$ 400)+PSF), (6) QCHD-S-50(VUE point HD+Q.Clear(${\beta}-strength$ 50)+PSF), (7) QCFX-S-50(TOF+Q.Clear(${\beta}-strength$ 50) + PSF)의 7 가지로 구성하였다. H/B Ratio 및 재구성 알고리즘 별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CR (Contrast Recovery)와 BV (Background Variability)을 구하였다. 또한, 각 조합의 count를 측정하여 SNR (Signal to Noise Ratio)과 RC(Recovery Coefficient)를 구하고 SUV (Standardized Uptake Value)를 측정하였다. 구의 크기가 가장 작은 10 mm와 13 mm에서는 VPFX-S, 17 mm 이상에서는 QCFX-S-50에서 가장 높은 CR 결과를 보였다. BV와 SNR의 비교에서는 QCFX-S-400과 QCHD-S-400에서 좋은 값을 보였다. SUV 측정 결과는 H/B ratio와 비례하여 증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SUV에 대한 RC의 경우 H/B ratio와 반비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재구성 알고리즘 중에서는 QCFX-S-50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Q.Clear에 ${\beta}-strength$ 400이 적용된 재구성 알고리즘들이 낮은 값 분포를 보였다. Q.Clear가 적용된 재구성 조합은 ${\beta}-strength$를 높이면 신호잡음이 억제되어 영상 품질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beta}-strength$를 낮추면 선예도가 증가하며, partial volume effect가 감소하여 기존의 재구성 조건에 비하여 높은 RC에 근거한 SUV 측정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진보된 알고리즘의 사용으로 보다 정확한 정량화와 미세병변 검출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나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목적에 맞는 최적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8F-FDG PET/CT 융합영상에서 영상 재구성 차이에 의한 MTV (Metabolic tumor volume) 평가 (Evaluation of metabolic tumor volume using different image reconstruction on 18F-FDG PET/CT fusion image)

  • 윤석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33-440
    • /
    • 2018
  • FDG PET 영상에서 MTV는 종양의 전체 대사정도를 반영하여 종양의 체적을 나타낸다. 하지만 MTV는 영상재구성의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팬텀실험을 통하여 영상재구성에 따라 SUVmax의 역치 값을 달리하여 실제 체적과 MTV의 상관관계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NEMA IEC Body 팬텀에 $^{18}F-FDG$를 구와 배후 방사능의 비율(4:1, 8:1, 10:1, 20:1)이 되도록 주입 후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에 4가지 방법(OSEM3D, OSEM3D+PSF, OSEM3D+TOF, OSEM3D+TOF+PSF)으로 영상을 재구성한 후 다양한 SUVmax 역치 값을 적용하여 MTV의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전반적으로 SUVmax 역치 값이 증가 할수록 MTV가 감소하였으며, 구와 배후방사능 비율이 증가할수록 동일한 SUVmax 역치 값에서 MTV가 감소하였다. PSF와 TOF+PSF재구성영상에서 40% 역치 값, OSEM3D와 TOF 재구성 영상에서는 45% 역치 값을 적용하였을 때 팬텀의 실제체적과 MTV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하여 영상재구성에 따라 MTV 측정에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되어 질 것으로 사료된다.

2-butoxyethanol 첨가에 따른 고분자 구조가 분리막 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mer Structure on Membrane Morphology by Addition of 2-butoxyethanol)

  • 손예지;김노원
    • 멤브레인
    • /
    • 제21권4호
    • /
    • pp.377-388
    • /
    • 2011
  • 침지법을 이용한 상전이 공정으로 polysulfone (PSF), polyethersulfone (PES) and polyphenylsulfone (PPS)의 정밀여과 평막을 제조하였다. 용매로는 dimethyl formamide (DMF)를, 습윤제 고분자로는 polyvinylpyrrolidone (PVP)를 사용하였으며 pore 형성 촉매로 2-butoxyethanol (BE)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분리막들은 SEM과 micro permporometer를 이용하여 morphology를 분석하였으며 순수투과도를 측정하여 분리막의 투과성능을 측정하였다. BE의 첨가를 통하여 분리막의 기공을 성장시킬 수 있었으며 고분자 구조에 따라 분리막의 morphology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PSF, PES, PPS 분리막의 평균기공의 크기는 각각 0.282, 0.330, $0.308{\mu}m$이었으며 공극률은 68.5, 66.1, 66.4%로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PS 분리막의 경우 PSF, PES 분리막에 비해 높은 기공 밀도와 좁은 기공 분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 결과 PPS 분리막의 순수 투과 유량은 $357L/m^2\;hr$으로 PSF ($196L/m^2\;hr$)나 PES membrane ($214L/m^2\;hr$) 분리막에 비해 훨씬 증가함을 보였다.

POINT SPREAD FUNCTION OF THE SOFT X-RAY TELESCOPE ABOARD YOHKOH

  • SHIN JUNHO;SAKURAI TAKASHI
    • 천문학회지
    • /
    • 제36권spc1호
    • /
    • pp.117-124
    • /
    • 2003
  • Pre-launch calibration data have been analyzed for evaluating the point spread function (PSF) of Yohkoh Soft X-ray Telescope (SXT). Especially, it is found crucial that the effect of undersampling should be treated properly. The best fit solution of the SXT PSF, which is modeled by an elliptical Moffat function, has been derived by the comparison with the ground experiment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off-axis variation of the SXT PSF, we need to define in advance the location of the optical axis on the CCD.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e off-axis variation of effective area (the vignetting function) may be approximated either by two non-concentric cones or by a cone with some flat distortions. There have been, however, no fully approved representations for the SXT vignetting effect. The effect of the shift of the optical axis from the geometrical center of the telescope is investigated by numerical simulation. It is revealed from our study that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of the SXT PSF stays nearly constant within an error bound over the central area of the CCD where the solar disk is lo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