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LLUTANT MANAGEMENT

검색결과 672건 처리시간 0.023초

FEMWASP 모형을 이용한 영월 다목적댐의 장래 수질 예측 (Prediction of Water Quality of Youngwol Multipurpose Dam Using FEMWASP)

  • 김준현;한영한
    • 산업기술연구
    • /
    • 제18권
    • /
    • pp.443-452
    • /
    • 1998
  • The future water quality of Youngwol Dam was predicted using FEMWASP. In the this study, point and non-point source in the basin was investigated in detail, and future pollutant loading was computed by various prediction technique. The water quality of 29 sites was analyzed over four seasons. FEMWASP was used to predict future water quality of Youngwol lake and downstream of proposed dam. Future water quality of Youngwol lake was predicted to configure eutrophication status, management criteria was suggested to minimize the pollution problems coming from future eutrophication. Discharge rate of dam was decided as 30CMS to conserve the water quality, and overall design of dam was changed.

  • PDF

BASELINE MEASUREMENTS ON THE PERFORMANCE OF FOUR CONSTRUCTED WETLANDS IN TROPICAL AUSTRALIA

  • Fell, A.;Jegatheesan, V.;Sadler, A.;Lee, S.H.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0권6호
    • /
    • pp.316-327
    • /
    • 2005
  • Constructed wetlands provide several benefits that are not solely limited to storm water management and are becoming common in storm water management. In this research, four recently constructed wetlands underwent in situ and laboratory water sampling to determine their efficiency in removing storm water pollutants over a 5-month period. From the sampling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each of the wetlands was able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the stormwater. To aid in the assessment of the wetlands against each other, a model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removal of stormwater pollutants over the length of the wetland. The results from this model compliment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field. Improvements, such as increased amounts of vegetation were recommended for the wetlands with the aim of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Further investigations into the wetlands will allow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wetland's performance.

500MW 표준석탄화력발전소의 환경안전우선 설비운영개념 도입방안 고찰 (Study of the Environment Priority Facility Operation Concept of 500MW Standard Coal Thermal Power Plant)

  • 이갑주;정진도;김산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
    • /
    • 2022
  • In korea, 500MW standard coal fired power plants were designed and operated for the initial base load, so facility stability was prioritized from facility problem to treatment, but now we needed to research for minimizing greehouse gas emissions at the operation of coal fired power plants. research on various facilities and technologies was actively conducted to reduce environment pollutants was drastically reduced, but research and attempts on coping measures in the event of a reduction facility problem were in sufficient. this study considered investigated ways to minimized pollutants by quickly responding to logic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load runback concept in case of serious problems with environmental pollutant reduction facilities such as NOx reduction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facilities, SOx reduction wet flue gas desulpherisation facilities, and TSP(Total Suspended Particles) collection low temperature electric precipitator.

CONSTRUCTION EQUIPMENT ACTIVITY RECOGNITION FROM ACCELEROMETER DATA FOR MONITORING OPERATIONAL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 Changbum R. Ahn;SangHyun Lee;Feniosky Pena-Mora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88-195
    • /
    • 2013
  • Construction operations generate a significant amount of air pollutant emissions, including carbon emissions.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construction operations is closely relevant to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each resource employed, which indicates how efficiently each resource (e.g., construction equipment) is utilized. In this context, monitor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construction equipment provides key information in managing and improving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operations. In this paper, we report our efforts to measur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construction equipment, using low-cost accelerometers. An experimental study and real-world case studies are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The results have shown the potential of this approach as an economically feasible means of monitoring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construction operations.

  • PDF

부하지속곡선과 유량-부하량 상관곡선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오염총량평가 (TMDL Evaluation of Nakdong River Basin Using Load Duration Curve and Streamflow-Load Rating Curve)

  • 손태석;주재승;박재범;신현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5B호
    • /
    • pp.475-481
    • /
    • 2011
  • 유역관리제도로써 시행 중인 현재의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기준유량은 과거 10년 평균저수량을 적용하고 있으며, 오염총량관리 이행평가는 단위유역별 목표수질을 만족할 수 있는 부하량에 대한 관리를 통해 시행되고 있다. 현재의 단순화되고 평균화된 개념의 기준유량을 이용한 단위유역별 부하량 할당과 관리는 목표수질 달성이라는 규제 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관리측면에서의 편리성은 있으나 유역관리를 통한 유역 혹은 수체의 건전한 회복과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유역관리의 역할은 미흡하다. 동일한 수질 농도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시간, 매일 변동하는 유량, 즉 전체유량을 고려한 부하량 관리를 통해서만 하천 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전체 유량 규모를 고려해야 한다. 전체 유량 규모를 고려한다는 의미는 자연 현상인 강우-유출에 의해 다양하게 변동되는 유량과 인위적인 조절 유량 등을 고려한 오염총량관리 기준 설정과 이러한 양상을 반영한 과학적, 합리적인 평가가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체 유량 규모가 고려되는 유량-부하량 상관곡선을 이용한 오염총량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낙동강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에의 실적용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본 기법의 국내 오염총량관리의 부하량 할당 및 이행평가에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시화호 유입하천의 수질오염물질 농도에 관한 연구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Concentrations in the Streams of Shihwa Lake)

  • 장정익;한인섭;김경태;나공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9-29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시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천을 통해 시화호로 유입되는 수질오염물질의 농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화호 유역 하천수 내 부유물질(SS),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용존영양염($NO_2$, $NO_3$, $NH_4$, $PO_4$, $SiO_2$), 총인(TP) 및 총질소(TN) 등을 분석하였으며 조사시기별 및 지역별(산업지역, 도시지역 및 농업지역) 하천수의 오염물질 농도 특성을 비교하였다. 12월 조사 결과가 다른 조사 시기에 비해 모든 수질항목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산업지역 내 하천수에서의 COD의 평균값은 12.6 mg/L로 도시지역(6.6 mg/L) 및 농업지역(5.9 mg/L)에 비해 약 2배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총인 농도는 COD와 유사하게 산업지역 내 하천수에서 가장 높았고 농업지역 내 하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용존 인산염($PO_4$)이 약 21%를 차지하고 있었다. 총질소는 산업지역, 도시지역 및 농업지역에서의 평균농도가 각각 5.89 mg/L, 3.02 mg/L 및 5.27 mg/L로 산업지역과 더불어 질소계 비료의 사용의 영향으로 농업지역에서도 높은 농도를 보였다. 조사시기 및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총질소 중 질소화합물의 평균비율은 $NH_4$ (35.1%) > $NO_3$ (30.0%) > DON (22.8%) > PON (8.9%) > $NO_2$ (3.2%)의 순으로 나타났고 약 70%가 용존무기질소($NH_4$, $NO_3$, $NO_2$)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하천수의 용존영양염, 총인 및 총질소 농도는 시화호 표층수에 비해 3.2~37.2배 높았으며 이는 많은 양의 오염물질이 처리과정 없이 하천을 통해 시화호로 유출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시화산단을 관통하는 군자천 중류지역에서 상류 또는 하류지점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하수와 폐수 일부가 관로 오접 및 무단 방류되어 하수구를 통하여 유입되고 있어 하천수에 대한 하수처리시설로의 이송 및 환경기초시설 증대 등의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시행 예정인 시화호 연안오염총량관리제의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시 오염부하량 산정과 삭감계획 수립에 유용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 개발 전·후 LID 기법 적용에 따른 물수지 및 오염부하 변동 특성 (Water Balance and Pollutant Load Analyses according to LID Techniques for a Town Development)

  • 박지영;임현만;이혜인;윤영한;오현제;김원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1호
    • /
    • pp.795-802
    • /
    • 2013
  • 도시 개발 과정에서 토지이용 특성의 변화에 기인하는 불투수면적률의 증가에 따라 일반적으로 강우시 침투율은 감소하고, 유출률은 증가한다. 이에 따라 개발 이후 도시 내 하천 및 하류부 공공수역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도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시 개발과정에서 가능한 개발 이전의 강우 유출특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저영향 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의 도입이 활발하게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LID 기법이 검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기법별로 강우 및 오염부하 유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는 충분치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도시 지역을 대상으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구축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범용성이 높은 SWMM 모형을 이용하여 LID 기법 적용에 따른 도시 개발 전 후의 유출 및 오염부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모의결과, 침투/저류율은 개발 전보다 개발 후 78%에서 15%로 감소하였고, LID 기법(투수성포장, 빗물저류조, 빗물정원)을 적용한 결과 24%까지 다시 증가하였다. 또한 유출률은 개발 전 20%에서 개발 후 74%로 3배 이상 증가하였고, LID 기법 적용시 66%까지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본 모의에 적용한 LID 기법 중 강우유출 저감 측면에서는 투수성포장의 효율이 가장 높았고, 오염부하(TSS, BOD, COD, T-N, T-P) 저감 측면에서는 빗물저류조의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 개발에 따른 유출 및 오염부하 저감을 고려하여 LID 기법을 선정할 경우, 강우유출 저감의 측면을 고려한다면 침투의 기능이 주요한 기법을 선정하고, 오염부하 저감의 측면을 고려한다면 저류의 기능이 주요한 기법을 선정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10개 댐저수지 인공습지의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Operating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Ten Wetlands Constructed in Dam Reservoirs in Korea)

  • 최광순;김세원;김동섭;이요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31-440
    • /
    • 2014
  • 국내 10개 댐저수지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수심분포, 유입량 및 유출량, 물흐름분포, 체류시간, 수처리효율, 종횡비, 개방수역/폐쇄수역 구성비 등 습지의 운영현황 및 구조적 형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공습지의 수질정화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개선대책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대상 인공습지의 처리수는 하수처리장 방류수 또는 하천수였으며, 처리수의 수질은 외국의 인공습지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처리수의 BOD는 모든 습지에서 3 mg/L 이하로 매우 낮았는데, 이는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 및 평수기 저농도 하천수 취입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수처리효율은 TN이 7.6~67.6%(평균 24.9%), TP가 -4.9~74.5%(평균 23.7%)의 범위로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처리수로 하는 인공습지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BOD는 -133.3~41.7% 범위로 습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대부분 습지에서 처리효율이 없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습지의 낮은 처리효율은 습지의 부적합한 종행비, 과도한 개방수역 면적 등의 구조적인 문제와 수위관리 미흡, 초기우수 취입시스템 및 운영관리 미흡, 강우시 모니터링 부재 등의 운영적인 문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댐저수지 인공습지가 비점오염 저감시설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댐저수지 인공습지에 적합한 습지설계 및 운영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습지 운영매뉴얼에 비점오염물질이 유출되는 강우시 모니터링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댐저수지 인공습지의 수처리효율도 강우시 모니터링 자료를 토대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BASINS-SWAT 모델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비점원 오염배출 중점관리 대상지역 결정 (Decision of Critical Area Due to NPS Pollutant Loadings from Kyongan Stream Watershed using BASINS-SWAT)

  • 장재호;윤춘경;정광욱;손영권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5호
    • /
    • pp.69-78
    • /
    • 2009
  • In order to improve water quality of upper watershed of Paldang reservoir, it is necessary to evaluate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and identify critical watershed pollution sources. A GIS based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was applied to evaluate model application and reliability, estimate NPS pollution load, identify critical watershed by NPS pollution sources, and suggest various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Kyongan Stream watershed. Yearly NPS pollution loads were estimated 30.0% SS, 60.1% TN and 35.4% TP, respectably. The watershed pollution load is mainly decided by precipitation condition and SS and nutrients load have a significant regression relationship. Based on 10-year average yearly NPS pollution load, critical sub-watersheds were identified. The No. 5 and 17 which have lots of relatively intensive agricultural fields and scattered industrial area were vary critical sub-watersheds and under more intensive pollution load. In order to control critical watershed, watershed best management practices such as scientific fertilizer, contour farming and parallel terrace, transferring the sloppy farmland to grass or forest and constructing a buffer zone, and constructing wetlands and retention ponds will be applied. Overall the SWAT model can be efficiently used for identification of critical sub-watersheds in order to develop a priority watershed management plan to reduce water pollutions.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The Concept of Microplastics and their Occurrence, Transport, Biological Effects, and Management Methods in the Ocean)

  • 한선기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10-626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microplastics and their occurrence, transport, biological effects, and management methods in the ocean. Methods: I reviewed articles on microplastics in the ocean by using the Google Scholar database. Results: Plastic litter has been reported as a ubiquitous pollutant in the ocean due to the extensive consumption of plastics and the mismanagement of plastic wastes. Microplastics are generally defined as synthetic polymer particles <5 mm in size. Microplastics generated from the degradation of plastic litter are currently a serious global concern since they spread easily all over the ocean, transfer to different tissues inside contaminated animals, and even across different trophic levels inside the food web. An additional concern is the ability of microplastics to adsorb organic and inorganic pollutants and subsequently release them into the ocean. Thus, alternatives to reduce microplastics in the ocean are discussed. Conclusions: This paper summarizes the concept of microplastics and their behavior in the ocean and suggests management methods for microplastics in support of a cleaner oc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