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_{2.5}$

검색결과 17,614건 처리시간 0.043초

각종(各種) 운동선수(運動選手)의 폐기능검사성적(肺機能檢査成績) (Pulmonary Function Tests of Athletes)

  • 조징;윤평진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5권1호
    • /
    • pp.45-51
    • /
    • 198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ulmonary function tests of athletes related to Running, Swimming, Cycle, Taekwando, Wrestling, Boxing, Yudo, Badminton, Base-ball, Soccer, Hand-ball, Basket-ball and Volley-ball. Subjects were 269 athletes from 18 to 22 years of age. They were college students and citize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requency of breath: (cycles/min., $M{\pm}S.D$) Running shows $13{\pm}3.6$, Swimming $12{\pm}3.2$, Cycle $13{\pm}3.4$, Taekwondo $12{\pm}4.0$, Wrestling $14{\pm}2.5$, Boxing $15{\pm}4.5$, Yudo $13{\pm}3.2$, Badminton $14{\pm}5.7$, Base-ball $15{\pm}6.2$, Soccer $13{\pm}2.5$, Hand-ball $14{\pm}2.5$, Basket-ball $12{\pm}5.6$, Volley-ball $12{\pm}4.2$(Table 2, Fig. 1). 2) Vital capacity: (1, $M{\pm}S.D$) Running shows $4.29{\pm}0.634$, Swimming $4.30{\pm}0.608$, Cycle $4.08{\pm}0.718$, Taekwondo $4.32{\pm}0.595$, Wrestling $4.40{\pm}0.663$, Boxing $4.45{\pm}0.779$, Yudo $4.58{\pm}0.389$, Badminton $3.98{\pm}0.556$, Base-ball $3.99{\pm}0.617$, Soccer $4.42{\pm}0.728$, Hand-ball $4.23{\pm}0.397$, Basket-ball $4.28{\pm}0.426$, Volley-ball $4.60{\pm}0.620$(Table 2, Table 3, Fig. 2). 3) Tidal volume: (ml, $M{\pm}S.D$) Running shows $615{\pm}180$, Swimming $603{\pm}121$, Cycle $529{\pm}189$, Taekwondo $726{\pm}112$, Wrestling $512{\pm}90$, Boxing$622{\pm}134$, Yudo $583{\pm}89$, Badminton $672{\pm}121$, Base-ball $714{\pm}97$, Soccer $579{\pm}89$, Hand-ball $507{\pm}69$, Basket-ball $628{\pm}133$, Volley-ball $597{\pm}144$(Table 2, Fig.3). 4) Breath holding time : (sec., $M{\pm}S.D$) Running shows $64{\pm}18.8$, Swimming $81{\pm}23.0$, Cycle $54{\pm}13.6$, Taekwondo $55{\pm}11.8$, Wrestling $78{\pm}12.5$, Boxing $63{\pm}9.6$, Yudo $71{\pm}14.4$, Badminton $62{\pm}9.8$, Base-ball $58{\pm}8.9$, Soccer $65{\pm}10.9$, Hand-ball $66{\pm}7.6$, Basket-ball $62{\pm}8.8$, Volley-ball $57{\pm}13.4$(Table 2, Fig.4).

  • PDF

부산지역 봄철 주중/주말의 PM10과 PM2.5 질량농도와 금속이온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pringtime Weekday/Weekend on Mass and Metallic Elements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in Busan)

  • 전병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77-784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weekday/weekend characteristics of $PM_{10}$ and $PM_{2.5}$ concentration and metallic elements in Busan in the springtime of 2013. $PM_{10}$ concentration on weekday/weekend were 77.54 and $67.28{\mu}g/m^3$, respectively. And $PM_{2.5}$ concentration on weekday/weekend were 57.81 and $43.83{\mu}g/m^3$, respectively. Also, $PM_{2.5}/PM_{10}$ concentration ratio on weekdays/weekend was 0.75 and 0.65, respectively. The contribution rates of Na to total metallic elements in $PM_{10}$ on weekday/weekend were 38.3% and 38.9%, respectively. It would be useful in control effectively with management of urban fine particle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 concentration on weekday/weekend.

사물인터넷 기반 초미세먼지(PM2.5) 측정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IoT-based PM2.5 Measuring Device)

  • 노병국;최기흥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1-26
    • /
    • 2017
  • An IoT-based particulate matter (PM2.5) sensing device (PSD) is developed. The PSD consists of a PM2.5 sensor,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wi-fi enabled-microprocessor along with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The PSD estimates PM2.5 density by measuring light scattered by PM2.5. To gauge performance of the PSD, PM2.5 density of open air was measured with the PS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llocated-government-certified measuring station. Measurements were taken at a sampling frequency of 100 Hz and moving-averaged to remove measurement noise. When compared to the result of the measuring station, average percentile error of PM2.5 density from the PSD is found to be 31%. A correlation coefficient is found to be 0.72 which indicates a strong correlation. Instantaneous variation, however, may far exceed average errors, leading to a conclusion that the PSD is more suitable for estimating average trend of PM2.5 density variations than estimating instantaneous PM2.5 density.

PM10, PM2.5 미세먼지의 조성 및 오염 특성: 2008년 제주도 고산지역 측정 결과 (Composition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particles at Gosan site of Jeju Island in 2008)

  • 이순봉;정덕상;조은경;김현아;황은영;강창희
    • 분석과학
    • /
    • 제24권4호
    • /
    • pp.310-318
    • /
    • 2011
  • 제주도 고산지역에서 $PM_{10}$$PM_{2.5}$ 미세먼지 시료를 채취하여 주요 성분의 화학 조성, 오염 정도, 배출원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기간의 $PM_{10}$$PM_{2.5}$ 미세먼지의 질량농도는 각각 $37.6{\pm}20.1{\mu}g/m^3$, $22.9{\pm}14.3{\mu}g/m^3$$PM_{2.5}$ 질량농도는 $PM_{10}$의 약 61%를 차지하였다. $PM_{2.5}/PM_{10}$ 농도비를 조사해 본 결과, 인위적 기원의 nss-$SO_4^{2-}$, $NO_3$, $NH_4^+$은 주로 미세입자에, 그리고 nss-$Ca^{2+}$$Na^+$, $Cl^-$, $Mg^{2+}$ 성분들은 대부분 조대입자에 많이 분포하였다. 또 미세먼지 조성은 대체적으로 인위적 오염원의 영향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토양 또는 해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궤적 분석법으로 미세먼지 성분들의 유입경로를 조사해 본 결과, nss-$SO_4^{2-}$, $NO_3^-$, $NH_4^+$, nss-$Ca^{2+}$, Pb 성분들은 대체적으로 기류가 중국대륙과 한반도로부터 유입되었을 때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북태평양이나 동해를 통해 유입되었을 때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Dust Monitor를 이용한 천안시 대기 중 PM10, PM2.5 오염특성 조사 (Characterization of PM10 and PM2.5 in Cheonan Area Using a Dust Monitor)

  • 이현미;오세원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7-375
    • /
    • 2008
  • To characterize atmospheric particles in Cheonan area, 5 monitoring sites representing highway area, commercial area, residential area, and industrial areas were selected, and the mass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were monitored for 14 days at each site during 2007. The daily average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from 18.5 to $140.9{\mu}g/m^3$ and 8.2 to $116.6{\mu}g/m^3$, respectively, showing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s at the commercial area site and the lowest concentration at the residential area site. The daily average PM 10 concentrations at Shinan (Commercial area) and Bakseok (Industrial area) sites were exceeded the current National Standard for 1 and 2 days during the monitoring periods. The fractions of PM2.5 in PM10 were above 70% for all sites, indicating fine particles are the major constituent of atmospheric particles in Cheonan. The results indicate that PM10 concentrations in Cheonan are at the concerning level, and the control strategy for fine particles is necessary to address this issue.

부산지역 PM2.5와 PM10의 농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PM2.5 and PM10 Concentration in Pusan Area)

  • 김상렬;정장표;이승묵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159-1170
    • /
    • 2000
  • 여러 가지 대기오염물질을 규제대상으로 지정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적절한 처리와 방지를 통하여 대기질을 개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 이들 오염물질 중 시정의 악화, 인체보건학상 급 만성 장애를 초래하며, 재산상의 피해를 주는 분진 에 대해 최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분진의 농도 중가에 따른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는, 먼지의 농도 특성 자료에 근거한 적절한 통제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도시분진 오염도에 대한 적절한 관리를 위해 부산지역의 대기중 $PM_{2.5}$의 질량농도 및 수용성 음이온성분($Cl^-$, $NO_3{^-}$, $SO_4{^{2-}}$)의 농도 특성을 $PM_{10}$의 경우와 대비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시료채취기간은 1999년 5월부터 1999년 11월까지이며, 각 38회의 $PM_{2.5}$$PM_{10}$의 시료를 채취하여, 그 질량농도와 수용성 음이온성분 ($Cl^-$, $NO_3{^-}$, $SO_4{^{2-}}$) 의 농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PM_{2.5}$의 전체기간동안 평균농도는 $35.016{\mu}g/m^3$으로 산정되었으며, $PM_{10}$ 평균농도 ($50.293{\mu}g/m^3$)에 대한 $PM_{2.5}$의 질량농도비 평균은 0.692로 산정되었다. $PM_{2.5}$ 중 수용성 음이온성분의 전체평균농도는 각각 $1.581(Cl^-)$, $3.690(NO_3{^-})$ 그리고 $12.825(SO_4{^{2-}}){\mu}g/m^3$으로 나타났으며, $PM_{10}$은 각각 $2.471(Cl^-)$, $5.819(NO_3{^-})$ 그리고 $14.414(SO_4{^{2-}}){\mu}g/m^3$으로 나타났다. 각 성분들간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PM_{2.5}$$PM_{10}$ 질량농도의 상관성은 0.945로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M_{2.5}$ 질량농도와 각 성분들간에는 $Cl^-$(0.025), $NO_3{^-}$(0.788), 그리고 $PM_{10}$ 질량농도와는 $Cl^-$(-0.019), $NO_3{^-}$(0.806), 그리고 $SO_4{^{2-}}$)(0.535)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PDF

경북지역 장수노인의 저작능력과 건강상태 (The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Ability and Health Status in the Long-lived Elderly of Kyungpook Area)

  • 이희경;이영권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200-207
    • /
    • 1999
  • 본 연구는 구강보건측면에서의 장수를 위한 노인생활지침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85세 이상 노인들의 구강검진을 통하여 구강내 실태조사와 저작능력의 상태를 파악하고 구강상태에 따른 건강상태 및 신체계측치를 비교함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97명 중 남자가 27.8%, 여자가 72.2%이었고, 평균연령은 $88.14{\pm}3.20$세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노인들이 53.6%가 건강하다고 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키는 $148.8{\pm}11.2cm$, 평균몸무게는 $46.9{\pm}10.5kg$, 평균BMI는 $21.2{\pm}3.5kg/m^2$, 평균체지방율은 $26.7{\pm}6.9%$, 평균제지방율은 $73.0{\pm}7.1%$, 평균체수분율은 $53.4{\pm}5.2%$로 나타났다. 2. 잔존치아수는 $3.50{\pm}5.71$개로 상악이 $1.08{\pm}2.88$개, 하악이 $2.41{\pm}3.76$개로 나타났고 최대 잔존치아 수는 22개이었고, 치아가 없는 노인이 전체의 76.3%나 되었다. 저작양상은 상,하 의치를 사용하는 노인이 전체의 52.6%, 자기치아만으로 저작(자연치 교합)하는 노인이 23.7%, 치아도 없으며 의치도 사용하지 않는 노인이 23.7%로 나타났다. 3. 저작양상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와 소화상태, 저작능력을 보면 의치 교합군에서 47.1%,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에서는 56.5%, 자연치교합군에서는 65.2%가 건강하다고 했고, 소화상태도 의치군이 82.4%,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이 65.2%, 자연치 교합군이 73.9%로 좋다고 했고, 저작능력도 의치군이 90.2%,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이 60.9%, 자연치 교합군이 65.2%로 좋다고 하였다. 4. 저작영상에 따른 키, 몸무게, 체지방율, 제지방율, 총수분량을 비교하면 의치교협군에서 $150.0{\pm}10.7cm$, $49.0{\pm}10.9kg$, $26.9{\pm}6.6%$, $72.7{\pm}7.0%$, $53.2{\pm}5.1%$이며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에서는 $142.7{\pm}6.0cm$, $43.2{\pm}5.5kg$, $29.5{\pm}7.2%$, $70.8{\pm}6.9%$, $51.8{\pm}5.0%$이고 자연치교합군에서는 $152.3{\pm}14.1cm$, $45.9{\pm}12.6kg$, $23.4{\pm}6.0%$, $75.9{\pm}6.9%$, $55.6{\pm}5.1%$로 나타났다. 저작양상 대한 신체계측치는 키, 체지방율, 제지방율, 총수분율에서 의치를 사용하는 군, 자연치교합군, 치아도 없이 의치도 사용 안하는 군의 순으로 유의하게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을 이용한 정상 뇌량에서의 연령대별 신경섬유로의 변화 (Evaluation of the Neural Fiber Tractography Associated with Aging in the Normal Corpus Callosum Using the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 임인철;구은회;이재승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89-194
    • /
    • 2011
  • 본 연구는 자기공명 확산텐서영상(DTI)을 이용하여 연령대에 따른 정상 뇌량의 신경섬유로 영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뇌질환이나 다른 질병이 없는 건강한 지원자 6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검사방법은 TR: 6650 ms, TE: 66 ms, FA: $90^{\circ}$, NEX: 2, thickness: 2 mm, no gap, FOV: 220 mm, b-value: $800s/mm^2$, sense factor: 2, acquisition matrix size: $2{\times}2{\times}2mm^3$로 하였고, 검사시간은 3분 46초이었다. 평가방법은 영상범위를 두개저부에서 두정부까지 포함하여 color-cored FA map을 만든 후 뇌량의 슬부, 전체부, 후체부, 이행부, 그리고 팽대부 등 5개의 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각각 트래킹을 하여 신경섬유로의 길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뇌량의 슬부에 대한 신경섬유로 길이는 20대: $61.8{\pm}6.8$, 30대: $63.9{\pm}3.8$, 40대: $65.5{\pm}6.4$, 50대: $57.8{\pm}6.0$, 60대: $58.9{\pm}4.5$, 70대 이상: $54.1{\pm}8.1mm$, 전체부에서는 20대: $54.8{\pm}8.8$, 30대: $58.5{\pm}7.9$, 40대: $54.8{\pm}7.8$, 50대: $56.1{\pm}10.2$, 60대: $48.5{\pm}6.2$, 70대 이상: $48.6{\pm}8.3mm$, 후체부에서는 20대: $72.7{\pm}9.1$, 30대: $61.6{\pm}9.1$, 40대: $60.9{\pm}10.5$, 50대: $61.4{\pm}11.7$, 60대: $54.9{\pm}10.0$, 70대 이상: $53.1{\pm}10.5mm$, 이행부에서는 20대: $71.5{\pm}17.4$, 30대: $74.1{\pm}14.9$, 40대: $73.6{\pm}14.2$, 50대: $66.3{\pm}12.9$, 60대: $56.5{\pm}11.2$, 70대 이상: $56.8{\pm}11.3mm$, 그리고 팽대부에서는 20대: $82.6{\pm}6.8$, 30대: $86.9{\pm}6.4$, 40대: $83.1{\pm}7.1$, 50대: $81.5{\pm}7.4$, 60대: $78.6{\pm}6.0$, 70대 이상: $80.55{\pm}8.6mm$ 이었다. 정상 뇌량에 대한 신경섬유로의 길이는 슬부(P=0.001)와 후체부(P=0.009), 그리고 이행부(P=0.01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대로는 30대와 40대까지 증가하다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뇌의 신경세포들이 중년의 나이에서 활발히 발달하고 있음을 신경 섬유로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 성북지역 미세먼지 및 미세먼지결합 수은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Fine Particles and Particles-bound Mercury in Seongbuk-gu Area of Seoul Metropolitan City)

  • 박은정;이종화;김대선;박광식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2호통권57호
    • /
    • pp.185-188
    • /
    • 2007
  • PM10 and PM2.5 in ambient air were collected in Seongbuk-gu area of Seoul for one year, from April 2005 to February 2006, and the concentration of PM-bound mercury was monitored. The annual concentrations of particles were $66.4{\pm}43.2{\mu}g/m^3\;(47.6{\pm}19.1{\mu}g/m^3-106.1{\pm}78.0{\mu}g/m^3)$ in PM10 and $37.2{\pm}20.4{\mu}g/m^3\;(28.0{\pm}23.4{\mu}g/m^3{\sim}42.7{\pm}21.4{\mu}g/m^3)$ in PM2.5, which is about 56% of PM10 concentration.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of mercury were $0.125{\pm}0.078ng/m^3\;in\;PM10\;and\;0.141{\pm}0.080ng/m^3$ in PM2.5, respectively. In April of Asian dust season in Korea, mercury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both PM10 and PM2.5.

다이어트프로그램 S-28에 대한 영양교육의 효과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Diet Control Program S-28)

  • 이혜양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9-42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diet program S-28 for a per-iod of 5 months. The participants in this diet program were 40 Chungkang college female students with over 30% body fat. During the first 2 weeks they were provided 800kcal a day and 1,200kcal a day for the lat 2 weeks. Since then weight maintenance program was continued. Exercise and nutrition e여-cation program for nutrition knowledge attitude and food habit were conducted during the entire test period, Results during the test period were as follows : 1) Weight loww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69.5$\pm$4.9kg at the beginning to65.6$\pm$3.0kg(P<0.01) in 3 months to 63.2$\pm$3.5kg(P<0.01) in the 5th month. 2) Obesity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3.9$\pm$12.1% to 21.3$\pm$9.2%(P<0.05) in 3 mon-ths to 19.7$\pm$8.5% in the 5th month. 3) BMI was significantly declined from 27.3$\pm$1.5kg/m2 to 26.1$\pm$1. 2kg/m2(P<0.01) in 3 months to 25.7$\pm$0.9kg/m2(P<0.05) in 3 months to 28.2$\pm$1.8%(p<0.05) in the 5th month. 5) The mean scores of food habit were 33.4$\pm$4.5 at the beginning 35.2$\pm$3.7 in 3 mon-손 37.4$\pm$4.0 in the 5th month and each of nutrition attitude was 53.8$\pm$5.3, 58.0$\pm$6.2. There-fore these data showed that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diet program S-28 were feflected remark-ably not only in the antropmetric measurements but also in the mean scores of food habit and nu-trition attitu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