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5초

제품계열공학에서 어플리케이션 생성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세스 (A Systematic Process for Generating Applications in Product Line Engineering)

  • 장치원;장수호;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8호
    • /
    • pp.717-729
    • /
    • 2005
  • 제품계열공학(Product Line Engineering, PLE)은 핵심자산(Core Asset) 개발과정과 어플리케이션공학(Application Engineering, AE)과정으로 구성된다. 핵심자산 개발과정은 한 도메인에 속한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의 공통적인 휘쳐(Feature)를 핵심자산으로 모델링하고, 이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체화하는 작업이다 어플리케이션 공학 과정은 핵심자산을 각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맞게 인스턴스화(Instantiation)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개발하는 작업이다. 기존의 PLE 기법들은 핵심자산개발에 크게 치중되어 있고, AE 과정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AE 과정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중요한 활동인 인스턴스화하는 실용적 절차와 기법이 미비하다. PLE의 넓은 산업계의 적용을 위해서는 체계적이며 실용적인 수준의 AE 프로세스, 작업 지침, 산출물의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AE의 실용적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프로세스의 각 활동에 대한 상세 지침을 제시하며. 활동에 따른 산출물 제시한다. 또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제시되는 프로세스에 논리성과 실용성을 검증한다.

증량제의 종류가 Polyoxyethylene Laury Ether를 포함한 토양습윤제의 상토 내 잔류성, 상토의 수분 보유 및 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riers on Residue of Wetting Agent Containing Polyoxyethylene Laury Ether, Initial Wetting and Water Movement in Container Media)

  • 최종명;정해준;심재성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96-601
    • /
    • 2001
  • Polyoxyethylene laury ehter[$C_{12}H_{25}O(C_{2}H_{4}O)_{3}H$, PLE]를 polyoxyethylene+polypropyleneoxide tridecylether(1:1, w/w, CM-1)와 혼합한 토양습윤제를 조제할 때 증량제가 상토 내에서의 PLE 농도변화, 초기 습윤화, 상토 내에서의 수분이동 및 상토의 수분상실에 미치는 영향들을 조사하였다. 조제된 습윤제 PLE+CM-1에서 질석을 증량제로 이용한 경우 비석을 증량제로 이용한 처리보다 2주부터 6주까지의 용출량이 많았으며 6주 이후 급격히 농도가 낮아져 불안한 용출곡선을 보였다. 질석이 증량제로 이용된 처리에서 비석을 증량제로 이용한 처리보다 실험한 8주 동안 약 $500mg{\cdot}L^{-1}$이상의 PLE가 용출되었다. PLE+CM-1이 혼합된 처리들은 증량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포트당 510mL의 이상의 수분을 보유하여 $AquaGro^{G}$처리의 490mL나 무처리구의 410mL보다 실험한 8주동안 더 많은 토양수를 보유하였다. 증발에 의한 수분상실에서는 비석을 증량제로 이용한 PLE+CM-1이나 대조구보다 더 빠르게 건조되었다. $AquaGro^{G}$ 혼합처리구에서 증량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PLE+CM-1이 혼합된 처리들보다 상토 내에서의 수분이동이 빠르게 일어났으며, 단위시간당 상토 안으로 침투하는 수분량도 많았다. 질석을 증량제로 조제된 PLE+CM-1의 처리양이 증가해도 총 수분 보유량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증발에 의한 수분 상실에서는 $0.6mg{\cdot}L^{-1}$ 처리구에서, 상토 내로 침투하는 수분량에서는 $0.3mg{\cdot}L^{-1}$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 PDF

유산균 발효가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Ferment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 박민정;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890-89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가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를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키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LE)과 발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FPLE)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물 PLE와 FPLE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65.02±1.32 mg GAEs/extract g과 93.33±0.98 mg GAEs/extract 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8.3±1.57 mg QEs/extract g과 17.69±0.95 mg QEs/extract g이었다. 추출물 PLE와 FPLE의 DPPH에 의한 라디칼소거 활성은 2-4 mg/ml의 농도에서는 두 시료 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지만, 8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추출물 PLE에 비해 FPLE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였다. 추출물 PLE와 FPLE의 환원력도 추출물 PLE에 비해 FPLE이 우수하였으며 1.6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PLE에 비해 FPLE의 환원력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추출물 PLE와 FPLE의 ORAC 지수는 각각 74.34±0.37 uM TEs/extract g과 79.22±0.72 uM TEs/extract g으로 추추물 PLE에 비해 FPLE의 ORAC 지수가 높게 나타났고, RAW 264.7 세포에 대한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큰느타리버섯 수확후 배지를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유산균 발효에 의해 항산화물질인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효법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식의약품 소재로 개발하는 과정에 필요한 전처리 과정이라고 판단된다.

In situ Er 도핑된 GaN와 Er이 이온 주입된 GaN의 PL과 PLE 비교에 대한 연구 (Comparison of In-situ Er-doped GaN with Er-implanted GaN Using Photoluminescence and Photoluminescence Excitation Spectroscope)

  • 김현석;성만영;김상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89-96
    • /
    • 2003
  • Photoluminescence (PL) and photoluminescence excitation (PLE) spectroscopy have been performed at 6 K on the 1540 nm $^4$I$\_$(13/2)/\longrightarrow$^4$I$\_$(15/2)/ emission of Er$\^$+3/ in in situ Er-doped GaN The PL and PLE spectra of in situ Er-doped GaN are compared with those of Er-implanted GaN in this study. The lineshapes of the broad PLE absorption bands and the broad PL bands in the spectra of the in situ Er-doped GaN are similar to those in Er-doped glass rather than in the Er-implanted GaN. The PL spectra of this in situ Er-doped GaN are independent of excitation wavelength and their featur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ite-selective PL spectra of the Er-implanted GaN. These PL and PLE studies reveal that a single type of Er$\^$3+/ sites is present in the in situ Er-doped GaN and these Er sites are different from those observed in the Er-implanted GaN. In addition, the comparison of the PL single strength illustrates that the excitation of Er$\^$3+/ sites through the energy absorption of defects in Er-implanted GaN.

비소세포 폐암 세포 (NCI-H520) 이식 마우스에서 포모사 자두 추출물의 면역활성 및 악액질 억제효과 (Anticancer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Formosa Plum Extracts o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NCI-H520, Xenograft Mice)

  • 손영숙;이상남;박지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5-41
    • /
    • 2020
  • Objectives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anticancer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Formosa plum aqueous extracts (PLe) o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squamous epithelial carcinoma), NCI-H520, xenograft Balb/c nu-nu nude mice. Method : Three different dosages of PLe, 50, 100 and 200 mg/kg were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28 days from 11 days after tumor cell inoculation. Five groups, each of seven mice per group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as follows. Tumor volume and weights, serum interferon (IFN)-γ levels, serum IL-6 were observed with tumor mass and lymphatic organ histopathology to detect anticancer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Result : Although no meaningful changes on the tumor weights and volumes were observed after treatment of all three different dosages of PLe, decreases of tumor cell volumes in tumor masses were dose-dependently decreased mediated by increases of apoptosis among tumor cells by treatment of PLe 100 and 200 mg/kg as compared with tumor-bearing control. In addition, decreases on the body weight and gains were also demonstrated in tumor-bearing control with increases of serum IL-6 levels. Conclusion :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over 50 mg/kg of PLe showed favorable immunomodulatory and anticachexic effects with anticancer effects in 100 and 200 mg/kg of PLe treated groups on the NCI-H520 cell xenograft. However, detail mechanism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future with the screening of the biological active compounds in this herb.

Effect of Extract of Perilla Leav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of Charcoal Barbecued Pork Patty

  • Jinwoo Cho;Farouq Heidar Barido;Hye-Jin Kim;Ji-Seon Kwon;Hee-Jin Kim;Dongwook Kim;Sun-Jin Hur;Aera J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9-156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thanolic extracts from perilla leaves (PLE) on the quality attribute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charcoal-barbecued pork patties. The PLE addition and don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H of pork patties (p>0.05).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the PLE significantly lower malondialdehyde concentrations and reduced the CIE L*, CIE a*, and CIE b* b* when compared to control. The addition of 0.2% of PLE did not adversely affect the organoleptic properties of doneness of medium and well-done pork patties. Addition of PLE at 0.4% to medium-cooked pork patties had stronger suppressing effect on the formation of light PAHs compare to control (p<0.05), also adding it to well-done pork patties ha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4 PAHs and 8 PAHs, and a total of 16 PAHs (p<0.05). Therefore, PLE at 0.4% can be used for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PAHs and lipid oxidation in well-cooked pork patty.

감잎(Diospyros kaki Thunb)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 of Persimmon Leaf Extracts)

  • 유기환;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91-169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연구되어진 감잎 추출물(PLE)의 추출방법을 달리하고 그 추출물을 비 특이적 흡착 resin을 사용하여 부분 정제함으로서 추출물의 활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PLE와 PLE의 부문 정제물(PPLE)의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의 항산화제와 항알레르기 개선제로써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효과에 관여하는 DPPH 라디칼 포착효능,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 포착효능과 제Ⅰ형 알레르기 반응 억제 효능에 관여하는 5-LO억제 효능, COX억제효능, NO소거효능 및 수동피부아나필락시스 억제 효능(PCA)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LE와 PPLE의 페놀성 화합물은 각각 $230.0{\pm}19.6$ mg/g, $475{\pm}38.7$ mg/g이 함유되어 있었고, 플라보노이드는 각각 $34.8{\pm}6.5$ mg/g, $78.8{\pm}3.6$ mg/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LE와 PPLE이 각각 $23.8{\pm}63.2$ mg/g, $10.0{\pm}1.3$ mg/g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을, $47.6{\pm}3.4$ ppm, $22.4{\pm}3.3$ ppm의 농도에서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LE와 PPLE의 항알레르기 효능에 관하여 5-LO의 $IC_{50}$값이 각각 $77.1{\pm}11.7$ ppm, $38.6{\pm}7.0$ ppm으로 양성대조군인 EGCG의 $IC_{50}$($18.9{\pm}5.5ppm$)보다는 높았지만 PLE와 PPLE가 EGCG와 같은 단일물질이 아니라 천연혼합물임을 감안하였을 때 5-LO를 비교 적 낮은 농도에서 억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COX-2의 선택적 저해율을 COX-1과 COX-2의 비율 비교를 통해 나타낸 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EGCG보다는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으나 다른 천연물과 비교하였을 때 COX-2를 상당히 선택적으로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우스의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주를 사용하여 낮은 세포독성과 NO소거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수동피부아나필락시스 반응 억제 효과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감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고 있어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아토피와 같은 알레르기관련 질병 예방 및 개선 또는 건강식품 원료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감초정제물 첨가 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Purified Licorice(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 이수현;고영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09-61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김치의 맛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감미료로 첨가되는 설탕 대신에 감초정제물을 첨가하여 김치의 품질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김치제조원료에 설탕 또는 감초정제물을 첨가하여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관능적 특성 및 휘발성냄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H는 숙성 2일과 3일의 경우 감초정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소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도는 0일과 1일의 경우는 감초정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2일과 3일의 경우는 감초정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감초정제물의 첨가로 젖산균수는 변화가 없었다. 비숙성시료와 1일숙성시료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맛은 감초정제물의 첨가농도가 0.01% 이상인 경우 유의적으로 저하하였다(p<0.05). 2${\sim}$3일 숙성시료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맛은 감초정제물 0.005% 또는 0.01% 첨가시료가 다른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p<0.05). 비숙성시료에 비하여 숙성시료에서 diallyl sulfide와 methyl trisulfide가 새로이 생성되었으며, 일부의 냄새성분 함량은 숙성과정에서 증가하거나 변화를 보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이 사염화탄소로 간 손상이 유발된 흰쥐에서의 면역조절 효과 (Immunomodulatory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on Liver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 안치선;최세영;김해란;전윤희;허선진;김익희;박금덕;정용준;임병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7-22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evaluated the immunoregulatory effect of phellinus linteus ethanol (PLE) extracts on liver damage on carbon tetrachloride ($CCl_4$) induced in rats. Four-week 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randomly; Control group, $CCl_4$ group, $CCl_4$ + PLE group. We found that effect of PLE on $IFN-\gamma$, STAT1 and pSTAT1 was decrease in vivo. Several genes were demonstrated to be IL-4 inducible prior to the discovery of STAT6. IL-4, STAT6 and pSTAT6 decreased significantly lower in $CCl_4$ + PLE than the $CCl_4$ group. Our data indicated that cytokine protein production were increased in $CCl_4$ group with $CCl_4$ + PLE group. In our data indicate that IgA levels in MLN lymphocytes were low, while IgE was high in $CCl_4$ + PLE group compared with $CCl_4$ group.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LE can be proposed to protect the liver against $CCl_4$-induced immunoregulatory activity in rats.

수동적 요추 신전 검사와 엎드린 상태에서 요추 불안정성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assive Lumbar Extension Test and the Prone Instability Test)

  • 사재민;김선엽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5-9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assive lumbar extension (PLE) test and prone instability test (PIT). Thirty-three subjects (14 males, 19 females) with lower back pain enrolled in the study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positive and negative instability groups) on the basis of radiographies of flexion and extension. Reliability was determined by the kappa coefficient and validity was examined using calculated sensitivity, specificity, and the likelihood rati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LE test was higher than the PIT (intra-rater reliability: k=.86 and k=.81, interrater reliability: k=.65 and k=.62) and the validity of the PLE test was also higher than the PIT (sensitivity: 91% and 62%, specificity: 95% and 85% positive likelihood ratio: 20.00 and 4.10, negative likelihood ratio: .10 and .45). In conclusion, we think that the PLE test was a more reliable and valid method for lumbar instability than the P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