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C 폴리머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4초

용융중합에 의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Branched Polycarbonates by Melt Polymerization)

  • 최수정;윤경화;김희승;유승윤;김연철
    • 폴리머
    • /
    • 제35권4호
    • /
    • pp.356-362
    • /
    • 2011
  •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에 화학적 구조가 다른 두 가지의 분지제를 첨가하여 용융중합으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branched PC, B-PC)를 합성하였다. 분지제의 함량은 0.001~0.005 mol% 내에서 조절하였다. 합성된 PC의 화학구조는 FTIR, $^1H$ NMR파 $^{13}C$ 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분자량, 유리전이온도 및 분해온도는 GPC, DSC와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hloro type의 분지제를 가지는 B-PC의 분자량에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유리전이온도는 분자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두 형태의 B-PC 모두 선형 PC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주파수(frequency) 영역에서 복합점도(complex viscosity)가 높게 나타났고, shear thinning 현상이 크게 나타났다. Shear thinning의 정도를 표시하는 power law index(n)는 선형회귀분석에 의해 계산되었고 0.483~0.996 범위의 값을 보여주었다. Phloro 타입의 B-PC가 높은 shear thinning 경향을 보였으며 이들 B-PC의 유변학적 특성은 동적유변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C/SAN 블렌드의 계면장력에 미치는 저분자량 성분의 영향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Species on the Interfacial Tension of PC/SAN Blend)

  • 양동진;손영곤
    • 폴리머
    • /
    • 제39권3호
    • /
    • pp.388-393
    • /
    • 2015
  • PC와 SAN 사이의 계면장력 및 친화도에 미치는 저분자량 성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용매 추출법으로 각 고분자에서 저분자량 성분을 추출하였다.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분자량 분포를 확인한 결과, 각 고분자의 저분자량 성분은 용매 추출법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된 것을 확인하였다. 저분자량 성분이 제거된 고분자를 이용하여 계면장력 및 형태학 분석 결과, 저분자량 성분이 제거된 PC와 SAN은 계면장력이 높아졌고 친화도가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저분자량 성분이 두 고분자 사이에 상용화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고분자 중 SAN의 저분자량 성분이 PC의 저분자량 성분보다 상용화 효과에 더 많이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서 PC/ABS 제조 시 저분자량 성분이 많이 포함된 SAN을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터카보네이트 블렌드의 파괴 거동 (Fracture Behavior of Polycarbonate/Polyestercarbonate Blends)

  • 이용범;이춘수;김대식;김종현;조재영;이상수
    • 폴리머
    • /
    • 제35권6호
    • /
    • pp.537-542
    • /
    • 2011
  • 폴리카보네이트(PC)에서 문제되는, 내충격성에서의 취약한 두께민감성을 보완하고자, PC와 구조적 유사성을 지니며 내충격성에서의 두께민감성은 보완된 폴리에스터카보네이트(PEC)와 PC의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다양한 조성의 PEC를 합성하여 PC/PEC 블렌드의 $T_g$를 측정한 결과, 카보네이트 구조의 함량이 10 mol% 정도로 적은 경우를 제외한 모든 PEC가 PC와 상용성을 보였으며, 그 중 카보네이트 단위와 방향족 에스터인 아릴레이트 단위의 함량비가 1:1인 PEC5와 PC의 블렌드에 대해 파괴 거동을 고찰한 결과, 3 mm 두께 시편에서는 PEC5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충격강도가 낮아졌으나, 이보다 두꺼운 6 mm 시편에서는 PEC5 함량이 많은 조성에서 PC와 PEC5 각각 보다 향상된 충격강도 결과가 발견되었다.

폴리머 마이크로렌즈 제작 (Polymer Microlens Fabrication)

  • 류근걸;김영근;전광석
    • 청정기술
    • /
    • 제11권4호
    • /
    • pp.205-211
    • /
    • 2005
  •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제작은 매우 다양한 재료와 방법이 제안되어 지고 있으나, 폴리머를 이용한 사출법은 광학적 특성, 내충격성, 가공성, 경량화 및 환경친화성 등의 장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사출법 템플레이트를 제작하기 위한 PR(Photo-Resist) reflow법은 형상제어가 용이하고 대량생산과 정밀가공의 측면에서 효율적이어서, 집적화가 용이하고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어 매우 환경친화적이다. 그러나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사출성형은 사용되는 폴리머재료의 성질에 따라 성형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성형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급가열/급냉각 사출을 통하여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제작하고 특성을 이해하였다. 템플레이트의 급격한 온도상승과 고온에서의 모양이 냉각으로 인한 변형이 없도록 급속히 냉각시켜 줌으로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사출성형을 구현 하였다. PC(Poly-Cabon ate)와 PMMA(Poly-Methyl-Meth-Acrylate)를 비교하여, PMMA가 낮은 용융점에 의해 성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사출시 압력과 속도를 변수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제작을 위한 사출조건을 도출하였다.

  • PDF

충전재 변화에 따른 PET 재활용 폴리머 콘크리트의 황산 부식에 관한 특성 (Characteristics of Sulfuric acid corrosion of Recycled PET Polymer Concrete with Different Filler)

  • 조병완;구자갑;박종화;박승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4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6권2호
    • /
    • pp.719-722
    • /
    • 2004
  • Resins using recycled PET offer the possibility of a lower source cost of materials for making useful polymer concrete products. The purposed of this paper is to form a part of reducing the damage of sulfuric acid, through investigating recycled PET polymer concrete, . immersed at sulfuric acid solution for 84 days. Recycled PET PC is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resulting in the role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 which consists of polymer chain structure accomplishes bond of aggregates and filler strongly. Also, Recycled PET PC, used fly-ash as filler, is stronger resistance of sulfuric acid corrosion than $CaCO_3$, because it is composed of $SiO_2$ and very strong glassy crystal structure. Therefore, Recycled PET PC, used fly-ash as filler, is available under corrosion circumstances like sewer pipe or waste disposal plant.

  • PDF

리튬 폴리머전지용 PVDF/PAN계 전해질의 이온 전도 특성 (Son Conduction Properties of PVDF/PAN based for Lithium Polymer Battery)

  • 이재안;김종욱;구할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4-37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develop solid polymer electrolyte(SPE) for Li polymer battery. This paper describes temperature dependence of conductivity, impedance spectroscopy,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VDF/PAN electrolytes as a function of a mixed ratio. PVDF/PAN based polymer electrolyte films were prepared by thermal gellification method of preweighed PVDF/PAN, plasticizer and Li salt. The conductivity of PVDF/PAN electrolytes was 10-3S/cm. 20PVDF5PANLiCIO$_4$PC$\sub$10//EC$\sub$10/ electrolyte shows the better conductivity of the others. 20P7DF5PANLiCI$_4$PC$\sub$10//EC$\sub$10/ electrolyte remains stable up to 5V vs. Li/Li$\^$+/. Steady state current method and ac impedanc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ransference numbers in PVDF/PAN electrolyte film. The transference number of 20PVDF5ANLICIO$_4$/PC $\sub$10//EC$\sub$10/ electrolyte is 0.48

  • PDF

PET와 재생골재를 이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Recycled PET Polymer Concrete with Demolished Concrete Aggregates)

  • 조병완;이두화;박승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35-342
    • /
    • 2005
  • 천연 건설자원이 고갈되어감에 따라,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는 각종 산업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해 새로운 건설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폐플라스틱과 폐 콘크리트를 재활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폐 PET를 재생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재생골재와 결합시켜, 재생골재 및 수지변화량에 따른 역학적 특성과 내화학성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 재생수지 및 골재를 사용한 폴리머콘크리트(RPC)의 강도는 수지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차츰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어느 수지량의 한계점 (대략 $13{\~}17\%$)에선 더 이상의 강도증가는 나타내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재생골재 함량이 증가할수록 강도와 탄성계수는 감소하였으나 수지량 $17\%$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선형대수회귀 분석을 통해 수지량 $9\%$일 때의 압축강도와 휨, 할렬 인장강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높은 신뢰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수지량이 증가함에 따라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재생골재를 사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내화학성에 따른 중량변화와 강도실험은 비교적 산과 염에 강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염산 $30\%$의 수용액에선 알칼리수용액 $40\%$ 보다는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었음을 압축강도 및 중량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O_2$ 플라즈마 전처리조건에 따른 폴리머 기판에 증착된 CdS 박막의 특성변화 (Effect of $O_2$ Plasma Treatment on the Properties of CdS films Fabricated on the Polymer Substrate)

  • 김정호;박승범;정태환;김병국;송우창;박재환;임동건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6-77
    • /
    • 2009
  • CdS 박막은 에너지 밴드갭이 상온에서 2.42 eV인 직접 천이헝 반도체로써 태양전지 및 광전도 셀과 광센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는 PC, PET, PEN등 폴리머 기판을 $O_2$ 플라즈마를 사용하고 RF Power 100W, 공정시간 60~1200s의 조건에서 전처리하고, 이 기판을 CBD법을 이용하여 CdS 박막을 증착시켰다. 폴리머 기판의 결정립크기는 180s의 처리시간 부터 증가를 보였으며, 전기적 특성은 60s 와 180s에서 이동도와 비저항이 반비례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고 광투과율은 처리시간에 따른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도전재 종류에 따른 리튬폴리머전지용 $LiFePO_4$ 정극활물질의 용량특성의 변화 (A Study on the Capacity Characteristic of $LiFePO_4$ Cathode for Lithium Polymer Batteries according to kinds of the conductive materials)

  • ;;;박경희;구할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6-316
    • /
    • 2007
  • 리튬폴리머 전지용 정극활물질인 $LiFePO_4$를 수열법으로 합성하였다. 제조한 정극활물질 $LiFePO_4$는 X-ray 회절분석을 통하여 olivine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전극 제조 시 첨가된 도전재의 종류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변화를 알기 위하여, Acetylene Black, Super-Black, Multi-Walled Carbon Nanotube(MWCNT), SP270을 도전재로 제조된 정극활물질과 PVDF를 결합제로 사용하였다. 셀은 제조된 정극과 고체전해질 $25PVDFLiCIO_4EC_{10}PC_{10}$를 사용하고, 부극은 금속리튬으로 coin 타입의 cell을 조립하여 충방전을 진행하였다. 충방전 진행결과, Multi-Walled Carbon Nanotube(MWCNT)를 도전재로 사용하였을 경우, 초기 방전용량은 94mAh/g, 100cycle 후에는 약 93mAh/g인 기타 도전재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안정하고 높은 방전용량을 나타내었다. 이때의 충방전 전류밀도는 0.1mAh/g이고 전압범위 는 2.5~4.3V이었다.

  • PDF

[ABS/PC/Triphenyl Phosphate/Transition Metal Chloride] 컴파운드의 열분해 거동 연구 (Study on the Thermal Decomposition Behavior of[ABS/PC/Triphenyl Phosphate/Transition Metal Chloride] Compounds)

  • 장준원;김진환;배진영
    • 폴리머
    • /
    • 제29권4호
    • /
    • pp.338-343
    • /
    • 2005
  • Chloride계 전이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서 ABS/PC/triphenyl phosphate 컴파운드의 열분해 거동을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를 통해서 조사하였다. Chloiide계 전이금속 촉매(cobalt chloiide, ferric chloride, nickel chloride 및 zinc chloride)는 ABS/PC/triphenyl phosphate 컴파운드의 열분해 과정에서 화학반응을 야기하여, 질소분위기에서 숯(char) 형성이 관찰되었으며, $600^{circ}C$에서 $3\~l3\%$의 비휘발성 눈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질소분위기에서의 ABS/PC/triphenyl phosphate 컴파운드의 숯 생성은 chloride계 전이금속 촉매의 가교효과(crosslinking effect)로 추정된다. 한편, 공기분위기에서는 생성된 숯은 고온 산화반응에 의해서 역분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