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 효소 활성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페닐케톤뇨증의 효소치료 개발을 위한 phenylalanine ammonia-lyase 및 유전자 변이형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Phenylalanine Ammonia-Lyase and its Mutants to Develop an Enzymatic Therapy for Phenylketonuria)

  • 김우미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26-1231
    • /
    • 2009
  • 페닐케톤뇨증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phenylalanine-4-hydroxylase (PAH, EC 1.14.16.1)의 돌연변이에 의해 효소 불활성화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최근 유전자 재조합된 phenylalanine ammonia-lyse (PAL)에 의한 효소 대체요법이 보고된 바 있다. 이 효소를 경구용 약제로 개발하기 위하여 효소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최적 조건들을 알아야 하며, 위장관내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AL의 생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장관내 소화효소로부터 저항할 수 있는 변이형들을 만들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구조적 변화를 통하여 효소의 특이 활성도가 유지될 수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PAL의 특이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효소 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최적 pH, 온도 변화에 따른 효소 활성도, 단백분해효소에 의한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PAL의 Vmax는 페닐알라닌과 티로신에 대하여 각각 1.77, $0.47{\mu}mol$/ mg x protein로 나타났으며, Km은 페닐알라닌에 대하여 $4.77{\times}10^{-4}\;M$,티로신에 대하여 $4.37{\times}10^{-4}\;M$로 나타났다. 또한 pH 8.5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소장의 평균 pH와 유사하다. PAL의 효소 활성은 $-80^{\circ}C$에서 5개월 동안 유지되었으며, $4^{\circ}C$에서 1주일 동안 93.4%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PAL은 키모트립신에 의해 쉽게 분해되었으며, 이보다 약한 정도로 트립신, elastase, carboxypeptidase A, B에 의해 분해 되었다. 췌장 소화효소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트립신, 키모트립신 절단부위 아미노산을 변이시켜 유전자 변이형을 만들었고,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6개의 유전자 변이형은 모두 저하된 효소 활성도를 나타내었는데, Y110H는 0.084, Y110A와 Y110L은 0, R123A는 0.11, R123H는 0.074, R123Q는 0.03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트립신 및 키모트립신 절단부위 아미노산이 PAL의 효소 활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PAL 변이형은 단백분해작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전처치 방법이지만, 페닐알라닌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키기 위해서 효소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다음 단계의 처치가 필요하다.

Abscisic acid의 처리시기 및 횟수가 포도 '거봉'의 착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bscisic Acid Application Time and Times on Fruit Coloration of 'Kyoho' Grapes)

  • 한동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8-303
    • /
    • 2005
  • 포도 '거봉'의 착색을 조장하기 위해 적절한 ABA의 처리시기와 처리 횟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AL 효소의 활성은 변색기 처리구와 변색기 10일 후 처리구에서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색기 10일후 처리구가 변색기 처리구보다 약간 더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냈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 처리구 공히 생육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든 ABA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훨씬 높은 안토시아닌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변색기 10일후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안토시아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가용성당 함량에 있어서 과당과 포도당만이 검출되었으며, 처리구간에 함량의 차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 처리 횟수에 있어서 PAL 효소의 활성은 각 처리구 공히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회 처리구는 변색기 10일후의 2회째 처리 이후에도 급속한 PAL 효소 활성 증가가 이어져 최종수확기에서도 비교적 상당히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다. 변색기와 변색기 10일 후의 2회 처리구에서 안토시아닌 함량 증가가 가장 높아 최종수확기에 가서는 무처리구에 비해 5배 이상, 1회 처리구에 비해서는 2배정도 많았다. 1회 및 2회 ABA 처리구 모두 과당과 포도당 함량 공히 무처리구에 비해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냈지만 그다지 큰 차이는 없었다.

진균과 식물의 Phenylalanine Ammonia-lyase 그리고 세균의 Histidine Ammonia-lyase 간의 면역학적 관계 분석 (Immunological Relationships among Fungal and Plant Phenylalanine Ammonia-lyases and Bacterial Histidine Ammonia-lyase)

  • 현민우;윤여홍;서동연;한지혜;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5-212
    • /
    • 2011
  • 진균의 phenylalanine ammonia-lyase(PAL)와 식물의 PAL간 그리고 PAL과 histidine ammonia-lyase (HAL)간의 구조적 특성 관계에 대한 이해를 얻기 위해 옥수수병원균인 깜부기균(Ustilago maydis)의 PAL에 대한 면역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진균의 PAL 항체와 식물의 PAL 항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실험한 모든 종의 PAL 간에 교차반응이 나타났다. 알팔파 PAL 항체와 포플라 PAL 항체 모두 식물 PAL은 강하게 인식하였으나 진균의 PAL은 약하게 인식하였다. U. maydis PAL은 Rhodotorula glutinis 효모의 PAL만 약하게 인식하였다. U. maydis PAL은 식물의 PAL에 대해서 낮은 친화성을 보였으나 Pseudomonas 세균의 HAL에 대해서는 강한친화성을 보였다. 2종의 식물 PAL 항체들 또한 Pseudomonas 세균의 HAL에 대해 강한 친화성을 보였다. 진균과 식물의 PAL 항체는 PAL 효소의 활성 저해를 나타냈으며 세균의 HAL 효소의 활성에 대해서도 중도적 저해를 나타냈다. 세균의 HAL 항체는 식물과 효모와 Ustilago PAL 중에 Ustilago PAL 활성만 저해하였다. 식물의 PAL과 진균의 PAL 모두 효모의 PAL 활성은 저해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PAL과 HAL간에 면역학적 관계가 있음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벼와 고추에서 UV와 상처가 PAL 및 C4H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Phenylalanine Ammonia Lyase and Cinnamic Acid 4-Hydroxylase Activities of Rice and Pepper in response to UV and Wounding)

  • Kim, Mi-Young;Yoon, Yong-Hwi;Lee, Jung-Hoon;Kim, Hak-Yoon;Shin, Dong-Hyun;Lee, In-Jung;Kim, Dal-Ung;Kim, Kil-Ung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4-280
    • /
    • 2002
  • Phenylpropanoid pathway 생성물질은 식물의 self-defense에 관계하며 이러한 물질들은 UV뿐 아니라 wounding, pathogen과 같은 environmental stress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벼에서 PAL mRNA 는 UV 조사 후 12시간에서 48시간까지는 증가하였으나 48시간부터 60시간까지는 점점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PAL의 활성은 UV조사 후 24시간에서 가장 높았지만 상처에 의해서는 PAL의 활성이 벼에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고추에서는 UV조사와 상처를 준 후 24시간과 10시간에서 각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벼와 고추 모두 cinnamic acid 4-hydroxylase의 활성은 상처를 준 후 12시간에서 증가하였지만 UV 조사는 C4H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벼와 고추에서는 UV 조사와 상처가 모두 PAL, C4H 효소활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III. 벼 교잡종의 Allelopathy 효과 구명 (III. Investigation on Allelopathic Effect from Various Crosses of Rice Cultivars)

  • 이재현;신동현;이인중;김길웅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65-70
    • /
    • 2002
  • 본 연구는 allelopathic potential을 지닌 벼의 교잡종을 포장에서 재배하여 그 식물체의 잎을 생물검정에 이용하여 allelopathy 효과 유무를 검정하고, 생물검정으로 선발된 교잡종을 대상으로 phenolic compounds를 조사하여 allelochemical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phenolic compounds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측정과 이 효소의 작용에 의해 유도되는 phenolic compounds를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포장상태에서 피를 대상으로 생물검정을 실시한 결과 양친으로는 Kouketsumochi, Woo co chin yu에서 공통적으로 90% 이상의 높은 피뿌리 생장 억제율을 보였고, 교잡종에서는 Kouketsumochi/Woo co chin yu, Dongjinbyeo/Kouketsumochi, Dongjinbyeo/Woo co chin yu 조합에서 80% 이상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냈다. 2. Kouketsumochi의 PAL 활성은 protein 1kg당 $63.46{\mu}kats$로 타 공시품종보다 높았다. 또한 Kouketsumochi와의 교잡종도 타교잡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Kouketsumochi의 cinnamate 함량은 생체중 1g당 $2.64{\mu}g$으로서 다른품종이나 교잡종보다 2~5배 높았고, Kouketsumochi와의 교잡종도 타교잡종보다 높았다.

  • PDF

Abscisic acid의 처리농도가 포도 '거봉'의 착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xogenous Abscisic Acid Concentration on the Coloration of 'Kyoho' Grapes.)

  • 한동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3-297
    • /
    • 2005
  • 본 실험은 착색 불안정 때문에 재배적 어려움이 있는 '거봉'포도를 이용하여 변색기에 ABA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봄으로써 착색증진을 위한 최적의 처리 농도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BA의 처리 농도에 따라 과방중량과 과립중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물과 적정산 함량 역시 생장기간 내내 처리구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PAL 효소의 활성은 각 처리구 공히 처리후 급속히 증가 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ABA 처리농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증감의 폭은 더욱 커졌다. 또한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최종수확기에 가서도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ABA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ABA 1000 mg/L 처리구는 최종수확기에 무처리구에 비해 2.5배 이상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과피의 전페놀 함량은 안토시아닌 함량과 마찬가지로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기간 내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ABA의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가용성당 함량은 과당과 포도당만이 검출되었으며, 자당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과당과 포도당 함량 역시 변색기 이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구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Inactivation of Phospholipase $A_2$ and Inhibition of Histamine Release from Mast Cell by Biflavonoid

  • Lee, Jee-Hye;Son, Keun-Ho;Kim, Hyun-Pyo;Kang, Sam-Sik;Chang, Hyeun-Wook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57
    • /
    • 1995
  • 1) 효소원의 조제 :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관절액 및 rat platelet PLA$_2$는 장등의 방법으로 조재하여 사용하였으며, 기질은 1-pal- (1-$^{14}$ C) linoleoyl PE로 하여 Dole 변법으로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2) Histamine 유리반응 ; Rat복강으로부터 정제한 비만세포를 항원-항체 복합체로 자극하거나, $A_{23187}$등의 처리로 유리되는 histamine 을 methylation 시킨 후 유기용매법으로 추출한 후 scintillation counter로 측정하였다. 결과 : \circled1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5종의 biflavonoid (amentoflavone 및 그 유도체)의 PLA$_2$ 저해 활성을 검토한 결과 거의 유사한 IC50 (약 3$\mu\textrm{m}$)을 나타내었다. \circled2 이들 중 amentoflavone은 염증성 PLA$_2$(Group II형 PLA$_2$)에 비교적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해양식은 비경쟁적 이면서 비가역적이였다. \circled3 비만세포에서 histamine 유리 억제반응은 자극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억제작용을 나타내었으며, 기존에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Tranilast나 DSCG(disodium chromoglycate)에 비하여 10배 이상 강한 histamine 유리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다.

  • PDF

조직특이성 promoter를 이용한 Shiva 유전자의 식물체내 도입 (Introduction of Shiva Gene into tobacco and Potato Using Tissue-Specific Tomato PAL Promoter)

  • 이정윤;이신우;박권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9-11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상처, 병원균의 침입 등에 의하여 발현양이 크게 증폭되는 토마토 PAL유전자의 promoter에 giant silk moth(Hyalophora cecropia)로부터 분리한 lytic gene의 genetic code를 일부 변경한 Shiva 유전자를 부착하여 담배, 감자 등의 작물에 형질전환을 시도하였다. 형질전환된 담배로부터 얻은 종자에 대한 kanamycin저항성 유전자의 유전분석, PCR 증폭 혹은 genomic Southern blot hybridization에 의하여 tPAL5 promoter-Shiva fusion gene의 염색체내로의 integration을 확인하였다. Kanamycin 저항성 유전자의 유전분석에서 선발된 7개체를 PCR 분석 실시한 결과 모든 개체가 positive임이 확인되었으나, genomic Southern blot Hybridization으로는 4개체가 negative로 나타났다. 특히 한 개체의 경우는 chromosome rearrangement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감자의 경우는 남작(Irish Cobbler) 품종이 Zeatin 2.0 mg/L NAA 0.01 mg/L, GA$_3$ 0.1mg/L을 포함한 배지에서 callus형성율 및 shooting율이 가장 높아서 재분화된 형질전환체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GUS 유전자는 Shiva 유전자의 3' 말단에 존재하는 NOS terminator 때문에 translation까지의 발현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형질 전환하지 않은 담배에서보다 10배 이상의 GUS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감자 조직에 X-gluc을 사용하여 GUS($\beta$-glucuronidase)의 기질로 작용하게 하여 효소활성 자리를 염색한 결과 줄기, 잎, 뿌리 등의 도관 조직에 다량 발혈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함유황(含硫黃) 농약(農藥)이 토양중(土壤中) Arylsulfat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lfur-containing Pesticides on the Arylsulfatase Activity in Soil)

  • 이상팔;김장억;홍종욱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19-27
    • /
    • 1990
  • 농약(農藥)이 토양환경중(土壤環境中)의 생화학적(生化學的)인 변화과정중(變化過程中)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토양내(土壤內)에 요소시비(尿素施肥)의 유무(有無)에 따라 유황(硫黃)이 함유(含有)된 살균제(殺菌劑), 살충제(殺蟲劑), 제초제(除草劑)를 처리(處理)하였을 때 토양내(土壤內)의 arylsulfat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하지 않은 토양(土壤)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 모두 배양(培養) 7일(日)째 arylsulfatase의 활성(活性)이 가장 높았고 배양기간(培養期間)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漸次) 낮아져 배양(培養) 42일(日)째는 처음 수준(水準)으로 되었으며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에서는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하지 않은 토양(土壤)보다 전반적(全般的)으로 다소 높은 효소활성(酵素活性)을 나타내었다. 살균제(殺菌劑)인 captan, edifenphos, 살충제(殺蟲劑)인 acephate, 제초제(除草劑)인 asulam, bentazone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배양(培養) 7일(日)째 arylsulfatase의 활성(活性)이 가장 높았으나 배양초기(培養初期)부터 배양(培養) 42일(日)까지 전반적(全般的)으로 효소활성(酵素活性)을 저해(沮害)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며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에서도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살충제(殺蟲劑) EPN을 처리(處理)하였을때는 요소(尿素)를 첨가(添加)한 토양(土壤)이나 첨가(添加)하지 않은 토양(土壤) 모두 배양초기(培養初期)에는 활성(活性)이 저해(沮害)되었으나 배양후기(培養後期)에는 오히려 활성(活性)이 촉진(促進)되었다.

  • PDF

우식유발식품에 의한 인공타액내 pH 변화와 당 분해 효소 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tificiality Salivary pH and Sugar Fermentation Test of Caries Potentiality Foods)

  • 지윤정;박수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3-309
    • /
    • 2012
  • 청소년을 대상으로 간식섭취실태를 조사하고, 간식품의 총당도, 간식품의 pH, S. mutans의 산생성능과 당분해효소활성도를 측정하여, 치아우식유발지수가 낮은 간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치아우식유발지수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간식품 28종류의(고체군 21가지, 액체군 7가지) 당도를 측정한 결과 오레오가 43.5로 가장 높았고, 스윙칩과 마이쮸가 39.3, 땅콩카라멜 38.8, 츄파춥스 37.2, 소보루빵 33.9 순이었으며, 포카리스웨트와 녹차가 0으로 가장 낮았다. 설탕이 많이 함유된 음식에서 총당도의 값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S. mutans의 산생성능에 의한 pH 평균값은 pH 5.33이였으며, 실험군의 S. mutans 산생성능에 의한 평균 pH변화는 10분 배양 후 pH 5.27, 30분 후 pH 5.21, 1시간 후 pH 5.15, 24시간 배양 후에는 pH 4.80으로 S. mutans의 당분해효소활성에 의한 산생성도 증가로 대조군보다 pH값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 S. mutans의 당분해효소활성도를 비색법으로 관찰한 결과 glucose의 활성도는 78.58%, sucrose의 활성도는 75%, galactose의 활성도는 71.42%로 대부분의 시료에서 Positive인 orange & yellow color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