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Policy

검색결과 976건 처리시간 0.029초

임파워먼트의 선행요인: 국립대 병원근로자들의 직종별 비교 연구 (Antecedents of Empowerment: A Comparative Study by Occupation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Employees)

  • 윤방섭;서영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9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anteceden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t hospital organizations, and also examined their differential effects among occupational groups within hospitals: doctors, nurses, engineers, and administrative workers. Various variables for multi-level factors were examined as antecedents: tenure, income, work centrality, and career goal as personal factors, job variety, job clarity, job significance, and job fitness as job factors, and security, reward justice, and organizational support as organizational factors. Data were collected from 8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and 1,289 data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or the whole groups, all antecedents except reward justi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nd explained large amount of variance of empowerment. Results from the analysis for each occupational group showed that income, career goal, and job significa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empowerment at all occupational groups, while reward justice had not at any groups. The effects of other variables depended on occupational groups. 1bis study found some important antecedents of empowerment which have been less considered in previous research: career goal, work centrality, security, and organizational support. The finding that differential effects of antecedents on empowerment by occupational groups suggests that group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for studying empowerment. In this study, for example, personal factors rather than both job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were more effective for empowerment in the engineering group whose job is relatively simple and clear, while job factors were most effective in other group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antecedents on empowerment by occupational groups also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empowerment at hospitals. For empowerment, personnel management efforts would be more required for administrative workers than other occupational groups, because they perceived least job clarity, job significance, job fitness among the groups, all of which were found to be important determinants of empowerment for them.

지방자치단체의 건강증진사업 활성화 방안 -교육적 접근을 중심으로- (Facilita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the Local Level: An Educational Approach)

  • 이명순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7-203
    • /
    • 1999
  • This paper will discuss about how we can foster educational support mechanisms to facilitate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the local level. Health promotion in Korea is in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 it has only been since the Health Promotion Act was legislated in 1995,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have been planned and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the recent decentralization process, local health departments have a major responsibility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the local level. The short history of health promotion in Korea has meant that local public health departments have limited experience and organizational capacity for health promotion planning & practice. The results of one survey for investigating the progress of health promotion at the local level are instructive. The survey demonstrated that the public health workers recognized that the lack of personnels, insufficient budget, the lack of policy & the organizational support, the lack of skill & knowledge to be effective health promotors, the lack of guidance for health promotion practice were major barriers to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the local level.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ome ways of overcoming barriers to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the local level This paper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supports as well as environmental supports - legislative, policy, organizational, economical - in building the organizational capacity and infrastructure of local health department for health promotion. It suggests some ways of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s to the public health workers at the local level. and supports the positions that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raining in health promotion can be better provided to the public health workers at the provincial level rather than at the national level. It argues that the educational &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 assessment;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ain educational principles & theoretical models for health promotion be us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public health workers; and that professional health organizations should make plans to provide more educational programs at their annual conferences or at other convenient times. These kinds of educational supports facilitate the ability of public health workers to improve their capacity for health promotion practice at the local level and help to alleviate some of the pressure on state resources.

  • PDF

건강가정사의 업무몰입과 직무만족을 통해 파악한 조직생활경험 및 역량강화 방안 (The Empowerment Plan and Organizational Experience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through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 조영희;송혜림;박정윤;정지영;이현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1호
    • /
    • pp.139-161
    • /
    • 2015
  • The number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has increased and the services for enhancement of family strength have extended during the past ten years since the Framework Act on Healthy Families was enacted. It is time to pay attention to the empowerment for Healthy Family Specialist because their capability is directly link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which means the satisfaction of family services and the quality of family policy.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 organizational experience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and suggest the empowerment plan to enhance their capabilit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9 Healthy Family Specialists who is currently working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s a manager status during June 2014. We analyzed organizational experiences through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empowerment plans through their strength and weakness. Our findings revealed that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Healthy Family Specialist are relatively low due to a poor working condition and a low brand awareness. Also, the capability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ir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it can impact on the long serv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ayroll system, increment of salary, career recognition, employee benefit, systematic operation, and motivation are needed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There are various ways to improve professional capability of Healthy Family Specialists besides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contributes to make the plan of empowerment for Healthy Family Specialists and it also contributes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family policy.

창조산업의 공간적 특성과 기관별 네트워크구조 변화 분석 : 디자인산업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nter-organizational Network Structure Change in the Creative Industry: Focused on Design Industry)

  • 최해옥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6-130
    • /
    • 2012
  • 성장동력산업의 육성 정책에 따라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을 광역 경제권단위에서 육성하는 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이 분석의 목적은 창조산업의 대표적 분야인 디자인산업을 발전시키고 있는 지식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과 기관별 네트워크 구조를 도출하고, 2000년에서 2010년까지의 시간적 변화에 초점을 두어 분석함으로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먼저 전국 디자인산업의 변화와 시도별 광역별 성장을 살펴보고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기관별 네트워크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산업과 관계된 공동연구 데이터를 가공하여 구조적, 공간적, 시간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판단으로 공간적 특성과 기관별 네트워크 구조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그룹분석에 활용되는 지표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밀도, 링크수, 집중도를 기준으로 다른 그룹과 상대적으로 변화하는 하는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지방자치단체의 건강증진사업 활성화 방안 - 교육적 접근을 중심으로 - (Facilita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the Local Level: An Educational Approach)

  • 이명순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999년도 3rd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165-183
    • /
    • 1999
  • This paper will discuss about how we can foster educational support mechanisms to facilitate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the local level. Health promotion in Korea is in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 it has only been since the Health Promotion Act was legislated in 1995,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have been planned and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the recent decentralization process, local health departments have a major responsibility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the local level. The short history of health promotion in Korea has meant that local public health departments have limited experience and organizational capacity for health promotion planning & practice. The results of one survey for investigating the progress of health promotion at the local level are instructive. The survey demonstrated that the public health workers recognized that the lack of personnels, insufficient budget, the lack of policy & the organizational support, the lack of skill & knowledge to be effective health promotors, the lack of guidance for health promotion practice were major barriers to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the local level.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ome ways of overcoming barriers to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the local level This paper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supports as well as environmental supports - legislative, policy, organizational, economical - in building the organizational capacity and infrastructure of local health department for health promotion. It suggests some ways of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s to the public health workers at the local level. and supports the positions that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raining in health promotion can be better provided to the public health workers at the provincial level rather than at the national level. It argues that the educational &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 assessment; that the application of the main educational principles & theoretical models for health promotion be us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public health workers; and that professional health organizations should make plans to provide more educational programs at their annual conferences or at other convenient times. These kinds of educational supports facilitate the ability of public health workers to improve their capacity for health promotion practice at the local level and help to alleviate some of the pressure on state resources.

  • PDF

직장인의 '졸혼' 찬반 관련 요인 : 판별분석의 적용 (Factors related to the pros and cons of 'Jol-hon' of workers : the application of discriminant analysis)

  • 이창식;장하영;유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439-448
    • /
    • 2019
  •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졸혼 찬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남지역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2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졸혼 찬반 여부에 따른 희망, 성장 마인드셋, 조직소통의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희망, 성장 마인드셋 및 조직소통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판별 분석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미혼자인 경우, 희망이 낮을수록, 조직소통이 낮을수록 졸혼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자의 경우 졸혼 찬반 집단 간 주요 변수의 차이가 없었으나, 미혼자의 경우 조직소통이 낮을수록 졸혼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졸혼을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음을 밝혔다.

뿌리기업 진정성리더십이 조직원 역할 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과 내국인의 조절효과 분석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Employee's In-role Performance in Ppuri Company :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s between Foreigner and Native)

  • 신승한;박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93-104
    • /
    • 2019
  • 뿌리산업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기술적 중요성이 증가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내국인 전문인력 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외국인 근로자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뿌리기업에서 근무하는 외국인과 내국인의 역할내 성과 향상을 위한 조직 몰입 방안을 제시하고, 집단간 비교를 통한 차별화 지원 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뿌리기업의 외국인과 내국인이며, 설문을 통하여 유효샘플 393개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외국인의 경우 균형잡힌 정보처리가 조직몰입을 통해 역할 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국인의 경우 관계적 투명성, 균형잡힌 정보처리과정, 내재화된 도덕적 관점이 조직몰입을 통해 역할 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집단별 역할 내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향을 제시한다.

사회적기업의 공유가치창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hared Value Creation of Social Enterpris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이용재;엄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69-379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공유가치창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요 분석결과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 공유가치창출과 조직성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기업이 다양한 조직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형성 또는 창출하고 있는 공유가치나 조직성과는 차이가 없는 것이다. 급격한 사회적기업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공유가치창출과 조직성과의 차이는 없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조직성과에 대한 공유가치창출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성과에 대해서는 공유가치창출의 하위 요인 중에서 제품 시장 재인식과 지역클러스터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대해서는 공유가치창출의 하위요인 중에서 제품 시장 재인식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적기업의 전체 조직성과에 대해서는 공유가치창출의 하위요인 중에서 제품 시장 재인식과 지역클러스터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적기업에서도 일반기업과 마찬가지로 공유가치창출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향후 사회적기업에 대한 공유가치창출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통하여 기업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병원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A Study on Related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Employees)

  • 한지영;양종현;장동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337-348
    • /
    • 2014
  • 본 연구는 병원종사자들이 인지하는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3년 7월 3일부터 7월 19일까지 부산 및 경남지역 2개 대학병원과 2개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병원종사자 553명을 조사하였으며, Amos 21.0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로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조직몰입에는 직접적인 영향과 직무만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이직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과 함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직의도에는 조직몰입을 통한 간접영향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직접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직무만족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 부분매개효과로 작용하였고,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 완전매개효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관리가 가장 중요하므로 병원경영자는 병원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사기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제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해야 할 것이다.

직업훈련이 조직몰입의 영향에 관한연구 -자격증 취득자 중심으로- (Vocational Training Study on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Certification of Qualification-)

  • 이재규;김경화;윤이중;임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7호
    • /
    • pp.23-29
    • /
    • 2012
  • 본 연구는 자격증 취득이 조직몰입과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직업교육훈련생의 인구사회학적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변인에 따른 조직몰입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첫째, 여자보다는 남자가, 연령대는 20대가 학력수준은 고졸 그리고 결혼유무에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훈련경로와 연령에 관한 차이분석에서는 20대 16명(31.4%), 30대 14명(27.5%), 40대(33.3), 50대 3명(5.9%), 60대 1명(2.0%)로 순으로 나타났으며 훈련생들은 5~6시간 장시간 교육받은 것을 선호하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정서적 규범적 몰입에서 높은 조직 몰입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로는 40대와 50대가 조직몰입이 20대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격증만족도와 훈련만족도는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자격증훈련은 조직몰입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격증취득 후 만족도는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상기 수치는 정책당국의 대책마련에 시사점 줬다는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