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rganic Meat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1초

Nitrate supplementation of rations based on rice straw but not Pangola hay, improves growth performance in meat goats

  • Paengkoum, Siwaporn;Khotsakdee, Jiravan;Paengkoum, Pramote;Schonewille, Thomas;Yuangklang, Chalermpon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6호
    • /
    • pp.1022-1028
    • /
    • 2021
  • Objective: Supplemental nitrate is known to be an effective tool to mitigate methane emission by ruminants.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supplemental nitrate can improve but also deteriorate the growth performance. The overall effect of supplemental nitrate on growth performance, however, is not yet known.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herefore to evaluate the effect of a higher dose of NO3- on overall growth performance when feeding either Pangola grass hay or rice straw. Methods: Thirty-two crossbred, 3-month-old Thai native×Anglo-Nubian crossbred male goats were used. The experiment had a 2×2 factorial design with an experimental period of 60 days. Eight goa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ach dietary treatment, i.e. a ration containing either Pangola hay (Digitaria eriantha Steud) or rice straw (Oryza Sativa) as a source of roughage, supplemented with a concentrate containing either 3.2% or 4.8% potassium nitrate. The rations were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The animals were weighed at the start of the experiment and at days 30 and 60. Feces were collected during the last five days of each 30-day period. Results: High-nitrate increased overall DM intake by approximately 3%, irrespective the source of roughage, but only the goats fed a rice straw-based ration responded with an increase in body weight (BW). Thus, the overall feed conversion ratio (kg feed/kg BW gain) was influenced by roughage source ×nitrate and decreased by almost 60% when the goats were fed rice straw in combination with a high versus a low dietary nitrate content. The digestibility of macronutrients was only affected by the source of roughage and the digestibility of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and neutral detergent fibre was greater when the goats were fed Pangola hay.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replacement of soybean meal by nitrate improves the growth performance of meat goats fed rations based on rice straw, but not Pangola hay.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Inhibition of Urease Activity and Fishy Smell in Mackerel (Scomber japonicu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Jeong, So-Mi;Kim, Han-Ho;Ryu, Si-Hyeong;Kang, Woo-Sin;Lee, Ji-Eun;Kim, Su-Ryong;Lee, Ga-Hye;Xu, Xiaotong;Byun, Eui-baek;Ahn,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6호
    • /
    • pp.808-815
    • /
    • 2022
  • In this study, gamma-irradiat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meat was stored in a refrigerator for 20 days to examine the physicochemical changes related to fishy smell.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inhibition of the activity of crude urease extracted from Vibrio parahaemolyticus was also evaluated. Increased levels of trimethylamine (TMA)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causing fishy smell,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day 20 of storage after gamma irradiation, indicating that freshness was maintained during storage. The ammonia nitrogen contents of 3, 7, 10, and 20 kGy gamma-irradi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6.5, 15.2, 17.4, and 23.9%, respectively, compared to non-irradiated groups on day 20 of storage. In addition, urease activity decreased in a gamma irradiation intensity-dependent manne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ere measured during the storage of gamma-irradiated mackerel meat. The contents of ethanol, 2-butanone, 3-methylbutanal, and trans-2-pentenal, which are known to cause off-flavors due to spoilage of fish,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day 20 of storage. Therefore, gamma irradiation can be considered useful for inhibiting urease activity and reducing fishy smell during fish storage.

Evaluation of the physicochemical, metabolomic,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kso and Hanwoo beef during wet aging

  • Dongheon Lee;Hye-Jin Kim;Azfar Ismail;Sung-Su Kim;Dong-Gyun Yim;Cheorun Jo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7호
    • /
    • pp.1101-1119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metabolomic, and sensory qualities of Chikso and Hanwoo beef during 28 days of wet aging. Methods: Rump and loins from Hanwoo and Chikso were obtained and wet-aged for 28 days at 4℃.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7-day interval (n = 3 for each period). Physicochemical qualities including pH, meat color, shear force value, and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 metabolomic profiles, and sensory attribut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relative taste intensities) were measured. Results: Chikso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hear force value than Hanwoo on day 0; however, no differences between breeds were found after day 14, regardless of the cuts. Overall, Chikso had more abundant metabolites than Hanwoo, especially L-carnitine and tyrosine. Among the volatiles, the ketone ratio was higher in the Chikso rump than the Hanwoo rump; however, Chikso had fewer alcohols and aldehydes than Hanwoo. Chikso rump showed higher taste intensities than the Hanwoo rump on day 0, and sourness decreased in Chikso, but increased in the Hanwoo rump on day 14. Wet aging for 14 days intensified the taste of Chikso loin but reduced the umami intensity of Hanwoo loin. Conclusion: Chikso had different metabolomic and sensory characteristics compared to Hanwoo cattle, and 14 days of wet aging could improve its tenderness and flavor traits.

Phaffia rhodozyma 균주를 포함한 복합생균제(Any-Lac, ®)의 급여가 돼지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ombined Probiotics(Any-Lac, ®) Supplementation Contained with Phaffia rhodozyma on the Growth Performances and Meat Quality of Pigs)

  • 김경수;임종철;신명수;최양일;이석천;조성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657-666
    • /
    • 2008
  • 항산화물질인 astaxanthin을 함유한 생균제를 첨가하여 비육돈의 성장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암수동수의 10주령의 돼지를 대조구(200두)와 처리구(200두)로 나누어 총 2400두 9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육성률에 있어서 대조구 98.98%, 생균제 처리구 99.85%로 생균제 처리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구에서는 일당증체량이 평균 0.91kg으로 대조구 0.84kg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05), 사료효율도 처리구 2.72, 그리고 대조구 2.89로서 생균제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균제 첨가구는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도체중이 다소 무겁고, 등심단면적은 넓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체장은 다소 길게 나타났으나, 반면에 등지방두께는 얇은 경향이었다. 이러한 도체특성은 생균제 첨가구의 도체등급을 향상시켜 A등급 출현율이 높아져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냉도체 등급판정에서도 생균제 첨가구는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대조구에 비해 1+와 1등급 출현율이 높아져 냉도체 등급판정결과를 개선시켰으며, 물퇘지(PSE육) 판정율도 대조구는 물퇘지 발생율이 20~28%인데 비해 생균제 처리구는 10% 내외로 낮았다.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대조구에 비해 생균제 처리구가 등심육의 수분은 낮고 지방은 다소 높았으며, 높은 보수력으로 인해 육즙손실과 가열감량이 낮았고, 전단력이 낮아 고기의 연도가 개선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색측정에서도 진한 적색을 나타내어 생균제 처리구가 우수한 외관을 나타냈으며, 등심육의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 바람직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지방산함량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균제 첨가구는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포화지방산에서는 C18:0(steric acid)함량이 낮았으며, 반면에 불포화지방산에서는 필수지방산인 C18:1(oleic acid)와 C18:2(linoleic acid)의 함량이 높아 우수한 지방산 조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돼지에 대한 Phaffia rhodozyma 균주가 함유된 복합생균제의 처리는 도체 등급의 향상과 육질 특성, 지방산 조성 등에 있어서 효과가 인정되어 양돈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태 셀레늄과 Vitamin E의 복합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계육 품질 및 Selenium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rganic Selenium and Vitamin E on Growth Performance, Selenium Retention and Quality of Meat in Broiler Chickens)

  • 나재천;김지혁;유동조;장병귀;강근호;김상호;서옥석;이원준;이종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3-149
    • /
    • 2007
  • 비타민 E 150 IU, selenium yeast로 셀레늄 1.2 ppm에 비타민 E를 100, 150, 200 및 300 IU로 복합 첨가하였을 때 육계의 사료 섭취량, 증체량, 사료 요구율, 계육 품질 및 selenium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sim}21$일의 증체량은 대조구와 비타민 E 150 IU 첨가구가 높았으며(P<0.05), 사료 섭취량은 비타민 E 150 IU 첨가구가 유기태 셀레늄 1.2 ppm에 비타민 E 150 IU와 200 IU를 복합 첨가한 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21{\sim}35$일의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가 유기태 셀레늄 1.2 ppm에 비타민 E 200 IU를 복합 첨가한 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시험 전기간의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2. 가슴 근육의 셀레늄 함량은 대조구와 비타민 E 150 IU 첨가구에 비하여 유기태 셀레늄과 비타민 E를 복합 첨가함으로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간조직의 셀레늄 함량 역시 대조구와 비타민 E 150 IU 첨가구에 비하여 유기태 셀레늄과 비타민 E를 복합 첨가함으로서 높게 나타났다(P<0.05). 3. 저장 기간별로 TBARS는 대조구와 비타민 E 150 IU 첨가구는 1일보다 3일차가 높게 나타났으나(P<0.05), 셀레늄 1.2 ppm에 비타민 E 100, 150, 200 및 300 IU 복합 첨가구는 1일과 3일간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3일차에는 대조구보다 비타민 E와 셀레늄 복합 첨가구가 낮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육계 사료에 유기태 셀레늄 1.2 ppm에 비타민 E를 100, 150, 200 및 300 IU를 복합 첨가시 생산성에는 차이가 없으나 계육 내 selenium 함량과 저장성은 향상되었다.

유기사료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eeding Organic Feed on the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전병수;송준익;전중환;곽정훈;장선식;권응기;조영무;조원모;최희철;박규현;유용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1-90
    • /
    • 2008
  • 본 연구는 유기사료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 및 도체 특성을 구명하고자 거세한우 30두에 대한 사양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거세한우에 대한 유기 조사료 및 농후사료 급여 시 관행구에 비해 유기구의 발육성적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양시험 종료 체중이 유기구의 T1 및 T2의 581.5kg 및 573.3kg으로 관행 597.5kg에 비해 $2.7{\sim}4.1%$ 감소하였다. 2.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유기구인 T1 및 T2의 0.80 및 0.78kg에 비해 관행구는 0.83kg으로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대조구에 비해 일당증체량이 $3.6{\sim}6.0%$ 감소되었다. 3. 도체등급에 있어서 1등급이상 출현율은 관행구 T1이 50%이었고 유기구인 T2 및 T3이 각각 50% 및 70%이었다. 4. 등심부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다즙성, 연도, 향미는 관행과 유기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기건초 및 유기 옥수수사일리지 위주의 양질 조사료 사육과 볏짚 위주의 일반 관행사육 간에 성장 및 도체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양질 조사료를 급여한 유기구에서 근내지방도가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한우 암소, 수소, 거세우의 비육단계별 발육성적과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among Bull, Steer and Heifer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omposit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attening Phase in Hanwoo)

  • 이상민;현종환;이신자;김언태;문여황;이성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31-944
    • /
    • 2016
  • 본 연구는 한우의 성별 발육성적,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12개월령 한우 수소구(4두, 체중 $339.8{\pm}18.5kg$), 거세우구(4두, 체중 $309.8{\pm}13.2kg$), 암소구(3두, 체중 $290.0{\pm}16.7kg$)를 개체 사료급여기가 부착된 우사에 배치하여 총 20개월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비육전기에는 한우 수소, 거세우 및 암소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비육중기부터 수소구가 높았으며 암소구가 가장 낮았다(p<0.05). 공시축의 체형차이는 24개월령부터 나타나, 한우 암소는 체고와 체장에서 가장 작았으나(p<0.05), 체고는 32개월령대에서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12개월령 공시축의 혈액성분 중, 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및 total protein함량은 암소구에서 높았으며, GPT 수준은 수소구에서 높았다(p<0.05). 혈청 GOT 수준은 처리구 공히, 비육후기에 높았으며, 수소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육량지수는 수소구와 암소구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거세우구가 가장 낮았다(p<0.05). 육질평가에서 근내지방도는 거세우구와 암소구가 수소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육질등급은 거세우구가 가장 높았다. 본 시험은 한우사양표준 개정에 있어서 성별간 비교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담수어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9. 천연산 미꾸라지의 정미성분 (Taste Compounds of Fresh-Water Fishes 9. Taste Compounds of Wild Loach Meat)

  • 양승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7-183
    • /
    • 1984
  • 미꾸라지의 정미성분을 밝힐 목적으로 미꾸라지배육중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유기염기, 유기산 및 무기질을 분석하고, 이 분석치를 기초로 하여 표준시약으로서 합성엑스분을 조제하여 천연엑스분과 맛을 비교하였으며 Omission test를 실시하여 각 성분들이 맛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histidine이 가장 많았고 그 외 threonine, glycine, lysine, alanine등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은 IMP가 117.7mg/100g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기염기중에는 creatinine이 353.7mg/100g으로서 가장 많았다. 유기산의 경우 브티르산이 월등히 많았으며 당류의 함량은 모두 극미량이거나 흔적량에 불과하였다. 무기질의 함량은 $K^+$$PO_4^{3-}$가 각각 250.0mg/100g, 283.2mg/100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의 무기질도 비교적 함량이 많았다. omission test 결과로 본 미꾸라지의 주된 맛성분으로는 arginine, glutamic acid, valine, IMP, 숙신산, $Na^+$$Cl^-$ 이었으며, 그 외 aspartic acid, $K^+,\;PO_4^{3-},\;Ca^{2+}$$Mg^{2+}$ 이 더욱 맛을 좋게 하였다.

  • PDF

유기태 셀레늄의 첨가가 육계 및 산란계의 생산성 및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rganic Selenium Levels on Performance and Selenium Retention in Broiler Chickens and Laying Hens)

  • 나재천;김상호;장병귀;김지혁;유동조;강근호;김학규;이덕수;이상진;이종찬;이원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5-262
    • /
    • 2006
  • 유기태 셀레늄의 수준별 첨가가 육계 및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닭고기와 계란 내의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차례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은 selenium yeast로 셀레늄을 0.60, 1.20, 1.80 및 2.40 ppm을 첨가하였을 때 육계의 사료 섭취량, 증체량, 사료 요구율 및 가슴근육과 간 내의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증체량, 사료 섭취 량 및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가슴살의 셀레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기태 셀레늄의 첨가 수준을 증가시킬수록 높았다(P<0.05). 간조직의 셀레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기태 셀레늄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높았으며(P<0.05),특히 유기태 셀레늄을 1.20 ppm이상 첨가할 경우에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P<0.05). 시험 2에서는 유기태 셀레늄의 첨가 수준이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 내 셀레늄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selenium yeast로 셀레늄을 0.30, 0.60, 0.90 및 1.20 ppm을 첨가하였을 때 산란율, 난중, 사료 섭취 량, 사료 요구율, 난질 및 계란 내 셀레눔 함량을 조사하였다. 산란율은 유기태 셀레늄 0.30 ppm과 0.90 ppm 첨가구에서 높았으나(P<0.05), 1일 산란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Haugh unit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난각 두께는 유기태 셀레늄 0.60 및 1.20 ppm첨가구가 각각 385 및 $386{\mu}m$으로 유기태 셀레늄 0.90 ppm 첨가구의 $368{\mu}m$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두꺼웠다(P<0.05). 계란 내 셀레늄 함량은 유기태 셀레늄 첨가 수준을 높일수록 더욱더 증가하였다(P<0.05).

담수어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8. 붕어의 정미성분 (Taste Compounds of Fresh-Water Fishes 8. Taste Compounds of Crucian Carp Meat)

  • 양승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0-176
    • /
    • 1984
  • 전보에 이어서 우리나라 주요 담수어의 정미성분을 밝힐 목적으로 붕어 배육중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유기염기, 당류, 유기산 및 무기질을 분석하였고 이 분석치를 기초로 하여 표준 시약으로 합성엑스분을 조제해서 천연엑스분과 맛을 비교하였으며 omission test를 통하여 각 성분들이 맛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검토하였다. 유리아미노산 중 histidine 함량이 월등히 많아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46\%$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glycine, lysine, alanine, taurine 등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 중에는 IMP 함량이 166.lmg/100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성분은 함량이 적었다. 유기염기로서는 총 creatinine 이 320.5 mg/100 g으로 가장 함량이 많았고 betaine은 21.6mg/100g이었으며 TMA 및 TMAO는 1mg/100g미만으로 극미량이었다. 유기산의 경우는 숙신산, 프로피온산, 보티르산, 발레르산등이 함량이 많았고 옥살산, 푸마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및 시트르산은 흔적량에 불과하였다. 당류의 함량으로는 포도당이 2.4mg/100g이었고 ribose, arabinose, fructose 및 inositol은 1 mg/100g미만이었다. 무기염류 중에는 $K^+$$PO_4^{3-}$이 각각 220.0mg/100g, 288.7mg/100g으로서 월등히 많았고 다른 무기염류는 32 mg/100g 이하이었다. omission test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에 의하면, 붕어의 주된 정미성분은 serine, glutamic acid, IMP, $Na^+,\;K^+$$PO_4^{3-}$이었으며 lysine, arginine, tyrosine 및 phenylalanine에 의해서 더욱 맛이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