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Dietary Combined Probiotics(Any-Lac, ®) Supplementation Contained with Phaffia rhodozyma on the Growth Performances and Meat Quality of Pigs

Phaffia rhodozyma 균주를 포함한 복합생균제(Any-Lac, ®)의 급여가 돼지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 Kim, Kyeong-Su (Korea Bio Science Research Institute, Organic Bio Tech Co., Ltd.) ;
  • Lim, Jong-Cheol (Korea Bio Science Research Institute, Organic Bio Tech Co., Ltd.) ;
  • Shin, Myeong-Su (Korea Bio Science Research Institute, Organic Bio Tech Co., Ltd.) ;
  • Choi, Yang-Il (College of Agriculture, Life & Environment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 ;
  • Lee, Suk-Cheon (College of Agriculture, Life & Environment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 ;
  • Cho, Seong-Ku (College of Agriculture, Life & Environment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
  • 김경수 ((주)Organic Bio Tech 한국생명과학연구소) ;
  • 임종철 ((주)Organic Bio Tech 한국생명과학연구소) ;
  • 신명수 ((주)Organic Bio Tech 한국생명과학연구소) ;
  • 최양일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과학대학) ;
  • 이석천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과학대학) ;
  • 조성구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과학대학)
  • Published : 2008.10.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which contained antioxidant astaxanthin on growth performances and meat quality in two pigs farms. A total of 2,400 pigs were gilt and barrow with same number assigned to one of two treatments. The two treatments were control(commercial feed), treatment(probiotics 0.1% feed). Each treatment had 3 replicates.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were periodically recorded for 90 days. Survival ratio was shown 99.85% in treatment group. Average daily gain was higher in treatment group(0.91kg) than that of control(0.84kg). Back fat thickness was lower in treatment group than that of control, even though the treatment group tended to be higher carcass weight. The treatment group trended higher carcass weight, back fat thickness was lower in treatment group than control. The ratio of carcass grade A was shown higher in treatment than that of control, respectively. Treatment group showed higher value of fat content and water holding capacity. Treatment showed lower value than control in shear force and cooking loss. Hunter value(a and b) of treatment group in meat color was higher than control. Treatment group was lower cholesterol content than control. Control group was shown higher unsaturated fatty acid(stearic acid(C18:0)) value than treatment. Treatment group was shown lower saturated fatty acid(oleic acid(C18:1)) value than that of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probiotics contained Phaffia rhodozyma could be used effectively for increase productivity of livestock industry.

항산화물질인 astaxanthin을 함유한 생균제를 첨가하여 비육돈의 성장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암수동수의 10주령의 돼지를 대조구(200두)와 처리구(200두)로 나누어 총 2400두 9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육성률에 있어서 대조구 98.98%, 생균제 처리구 99.85%로 생균제 처리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구에서는 일당증체량이 평균 0.91kg으로 대조구 0.84kg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05), 사료효율도 처리구 2.72, 그리고 대조구 2.89로서 생균제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균제 첨가구는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도체중이 다소 무겁고, 등심단면적은 넓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체장은 다소 길게 나타났으나, 반면에 등지방두께는 얇은 경향이었다. 이러한 도체특성은 생균제 첨가구의 도체등급을 향상시켜 A등급 출현율이 높아져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냉도체 등급판정에서도 생균제 첨가구는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대조구에 비해 1+와 1등급 출현율이 높아져 냉도체 등급판정결과를 개선시켰으며, 물퇘지(PSE육) 판정율도 대조구는 물퇘지 발생율이 20~28%인데 비해 생균제 처리구는 10% 내외로 낮았다.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대조구에 비해 생균제 처리구가 등심육의 수분은 낮고 지방은 다소 높았으며, 높은 보수력으로 인해 육즙손실과 가열감량이 낮았고, 전단력이 낮아 고기의 연도가 개선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색측정에서도 진한 적색을 나타내어 생균제 처리구가 우수한 외관을 나타냈으며, 등심육의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 바람직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지방산함량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균제 첨가구는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포화지방산에서는 C18:0(steric acid)함량이 낮았으며, 반면에 불포화지방산에서는 필수지방산인 C18:1(oleic acid)와 C18:2(linoleic acid)의 함량이 높아 우수한 지방산 조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돼지에 대한 Phaffia rhodozyma 균주가 함유된 복합생균제의 처리는 도체 등급의 향상과 육질 특성, 지방산 조성 등에 있어서 효과가 인정되어 양돈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창수, 주원석, 깅동용, 임종선, 윤민성, 김유용. 2004. 규산염 광물질로 정수된 급이수 및 사료내 규산염광물질 첨가제의 급여가 돼지의 성장능력 및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6(5):743-752
  2. 권오석, 김인호, 홍종욱, 이상환, 정연권, 민병준, 이원백, 손경승. 2003. 이유자돈, 육성돈 및 비육돈에 있어 게르마늄흑운모의 급여 효과. 동물자원지. 45(3):355-368
  3. 김경수, 이준훈, 신명수, 조미선, 김영필, 조성구, 강연중. 2005. Astaxanthin을 생성하는 Phaffia rhodozyma를 포함한 미생물제제의 급여가 오리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가금학회지. 32(2):73-80
  4. 김경수, 지규만, 이상진, 조성구, 김상수, 이웅. 1991. Streptococcus faecium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장내세균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가금학회지. 18(2):97-119
  5. 김종원, 김종덕, 성기승, 강석남. 2003. 키토산 발효사료의 첨가가 비육돈의 도체특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5(3):463-472
  6. 박홍석, 엄태붕, 유경선. 1999. 가금 및 양돈용 Multi-probiotics의 개발. 농림부
  7. 유영모, 안종남, 조수현, 박범영, 이종문, 김용곤, 박형기. 2002. 인삼 부산물 급여 돼지의 도체 및 육질 특성.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4):337-342
  8. 이정일, 최진성, 박종대, 박준철, 김영화, 문홍길, 주선태, 박구부. 2001. Conjugated Linoleic Acid(CLA) 급여가 돈육 품질에 미치는 효과. 동물자원지. 43(5):735-746
  9. 이정일, 하영주, 곽석준, 이중동, 김두환, 강근호, 허선진, 박구부. 2003. Conjugated Linoleic Acid(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돈육의 조직감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5(6):1047-1060
  10. 이제룡, 허선진, 강근호, 주선태, 박구부. 2001. 키토산 급여가 돈육의 pH, 전단력, 수분함량 및 육색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1(3):200-207
  11. 조성구, 김경수, 이석천. 2005. 생봉독 처리가 돼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동물자원지. 47(2):293-304 https://doi.org/10.5187/JAST.2005.47.2.293
  12. 추교문, 안병홍. 2004. 비타민 C 및 비타민 E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도체등급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6(3):387-396
  13. 홍종욱, 김인호, 강종욱, 홍의철, 이상환, 권오석, 한영종. 2001. 사료내 비타민 E의 추가급여가 돈육질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1(4):344-348
  14.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gnton, DC
  15. Buckley, D. J., Morrissey, P. A. and Gray, J. I. 1995. Influence of dietary vitamin E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of pig meat. J. Anim. Sci. 71:3122-3130
  16. Burton, G. A. 1988. Antioxidant action of carotenoids. Amer. Inst. Nutr. 13:109-111
  17. Folch, J., Lees, M. and Stanley, G. H. 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497-509
  18. Jyonouchi, H., Zhang, C. and Tomita, Y. 1993. Studies of immunomodulating actions of carotenoids. II. Astaxanthin enhances in vitro antibody production to T-dependent antigens without facilitating polyclonal B-cell activation. Nutr. Cancer, 19:269-278 https://doi.org/10.1080/01635589309514258
  19. Kondo, N. and Wagai, B. 1968. Experimental use of clinoptilolite-tuff as dietary supplements for pig. Yonokai, May. 1-4
  20. Lawolor, S. M. and O'Brein, M. N. 1995. Astaxanthin: Antioxidant effects in chicken embryo fibroblasts. Nutr. Res. 15:695-704
  21. Lepage, G. and Roy, C. C. 1986. Direct transesterification of all classes of lipids in a one-step reaction. J. Lipid Res. 27:114-120
  22. Mik, W. 1991. Biological functions and activities of animal carotenoids. Pure Appl. Chem. 63:141-146 https://doi.org/10.1351/pac199163010141
  23. Mikj, W. 1991. Biological functions and activities of animal carotenoids. Pure Appl. Cem. 63:141-146 https://doi.org/10.1351/pac199163010141
  24. Sale, F. O., marchesini, s., Fishman, P. H. and Berra, B. 1984. A sensitive enzymatic assay for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in lipid extracts. Anal. Biochem. 142:347-35 https://doi.org/10.1016/0003-2697(84)90475-5
  25. SAS. 1999.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6.11, SAS Institute, Cary, NC, USA
  26. Steel, R. G. and Torrie, J. H. 1980.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Mcgraw-Hillbokk. N. Y.
  27. Tanaka, C., Morishita, Y., Suzu, M., Kojima, T., Okwura, A. and Mori, H. 1994. Chemoprevention of mouse urinary bladder carcinogenesis by the naturally occurring carotenoid astaxanthin. Carcinogenesis. 15:15-19 https://doi.org/10.1093/carcin/15.1.15

Cited by

  1. Effect of Feeding High Carbohydrate-Low Fat Fermented Feed on the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vol.30, pp.5, 2010, https://doi.org/10.5851/kosfa.2010.30.5.826